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440
한자 南宮璨墓石像
영어공식명칭 Namgungchan's Tomb Stone Statu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목사동길 48[갈산리 산70]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양은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9년 11월 19일연표보기 - 남궁찬묘석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남궁찬묘석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남궁찬묘석상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목사동길 48[갈산리 산70]지도보기
성격 석상
관련 인물 남궁찬
크기(높이,길이,둘레) 250㎝[왼쪽 석상 높이]|65㎝[왼쪽 석상 머리 높이]|75㎝[왼쪽 석상 밑부분 너비]|81㎝[왼쪽 석상 어깨 너비]|250㎝[오른쪽 석상 높이]|70㎝[오른쪽 석상 머리 높이]|75㎝[오른쪽 석상 밑부분 너비]|81㎝[오른쪽 석상 어깨 너비]
소유자 함열남궁씨 문중
관리자 전라북도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석상.

[개설]

남궁찬묘석상(南宮璨墓石像)은 조선 전기의 문신 남궁찬(南宮璨)의 묘소에 조성된 2기의 석상이다. 남궁찬의 본관은 함열, 자는 여헌(汝獻), 호는 호은(壺隱), 창랑(滄浪)이다. 개국공신 남궁계(南宮啓)의 증손이고, 이조참판 남궁순(南宮順)의 아들이다. 1472년 생원시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1489년 문과에 병과급제를 하여 예문관검열로 관직에 올랐다. 1489년 사관으로 있으면서 왕명을 어긴 죄로 추국당하였고, 1495년 사간원헌납, 홍문관교리를 역임하였다. 1497년 문신정시에서 1등을 차지하고, 1498년 홍문관부응교가 되었다. 1499년 의정부사인, 지제교 겸 승문원교감으로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00년 제주목사, 1504년 강원도관찰사로 나갔으나 연산군의 미움을 받아 유배되었다. 이후 대제학과 이조판서로 조정의 부름을 받았으나 다시 나가지 않고 은거하다가 사망하였다. 남궁찬의 묘가 고향인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에 조성되었는데, 사신(四神)을 갖추고 석상 2기를 건립하였다.

[건립 경위]

남궁찬묘석상이 조상된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석상이 남궁찬의 묘석으로 있기 때문에 남궁찬의 묘를 조성할 때 같이 제작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석상의 얼굴 등이 이국적인 점에 주목하여 중국에서 가져왔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으나, 제주도의 돌하르방과 관련되어 있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위치]

남궁찬묘석상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 산70에 있다.

[형태]

남궁찬의 묘는 봉분의 둘레를 돌로 쌓았고 제단을 설치하였으며, 비석도 세워졌다. 남궁찬묘석상은 2개의 석상이 매우 이국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왼쪽 석상은 전체 높이 250㎝, 머리 높이 65㎝, 밑부분 너비 75㎝, 어깨 너비 81㎝이다. 오른쪽 석상은 전체 높이 250㎝, 머리 높이 70㎝, 밑부분 너비 75㎝, 어깨 너비 81㎝이다.

[현황]

남궁찬묘석상은 1999년 11월 19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76호로 지정[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어 관리 및 보존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전기 묘소에 조성된 석상은 현존하는 것이 거의 없다. 남궁찬묘석상은 안면이나 의습(衣褶) 등이 잘 드러나 있어 조선 전기 조상(造像)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