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398 |
---|---|
한자 | 華山里磨崖三尊佛 |
영어공식명칭 | Rockcarved Buddha Statue at Hwasan-ri |
분야 | 종교/불교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나바위1길 146[화산리 1159-2] |
시대 |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안여진 |
제작 시기/일시 | 고려 시대 - 화산리 마애삼존불상 조각 |
---|---|
원소재지 | 화산리 마애삼존불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나바위1길 146[화산리 1159-2]![]() |
성격 | 마애불상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 460㎝[암벽 높이]|300㎝[불상 높이]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에 있는 고려 시대 마애삼존불.
화산리 마애삼존불상(華山里磨崖三尊佛)은 익산 나바위성당 뒷쪽에 위치한 망금정(望錦亭) 아래 화강암 바위[높이 460㎝] 표면에 높이 300㎝의 불상 1구와 좌우 협시보살상이 얕은 저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마애불은 암벽의 바위 표면에 부조 혹은 양각으로 조각한 불상을 말한다.
화산리 마애삼존불은 조각의 깊이가 매우 얕고 마멸이 심하다. 좌우에 협시보살을 둔 중앙 본존불상은 주형거신광배(舟形擧身光背)를 갖추고 사각형 대좌에 치맛자락이 드리워진 상현좌(裳懸座) 형식의 불좌상이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은 무릎 아래로 내리고 왼손은 가슴 앞에 올려 둔 모습으로 확인된다. 본존불 좌상의 좌우협시보살상은 상반신만 저부조로 조각되어 있다. 오른쪽 보살상은 원형의 두광을 갖추었고 얼굴형은 네모진 모습이며 목에는 삼도(三道)[불상의 목에 표현된 3개의 주름]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수인은 마모로 확인이 어렵다. 본존불 좌상의 왼쪽 보살상은 얼굴이 비교적 큰 편이며 두광(頭光)[부처의 신성을 강조하는 불상의 머리에서 발하는 빛]을 갖추고 있고, 왼손은 올리고 오른손은 내린 모습이지만 마모가 심하여 정확한 수인은 확인되지 않는다.
화산리 마애삼존불은 고려 시대에 조성된 불상이지만 고식의 상현좌 형식을 갖춘 점이 특징적이다. 좌우협시보살상은 본존불좌상과는 달리 상반신만 조각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고려 시대 마애불삼존불상으로 비록 풍화와 마모로 인하여 정확한 세부 형식을 확인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본존불좌상은 상현좌 형식을 갖추고 있다. 화산리 마애삼존불은 익산 지역에서도 고려 시대 전라북도 지역에서 나타나는 복고 양식의 불상이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