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468
한자 礪山鄕校大成殿
영어공식명칭 Yeosan Hyanggyo Main Hall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교동길 23-2[여산리 10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선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403년 - 여산향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임진왜란 - 여산향교 소실
개축|증축 시기/일시 1917년 - 여산향교대성전 중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1956년 - 여산향교대성전 중수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연표보기 - 여산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94년 - 여산향교대성전 보수
개축|증축 시기/일시 2001년 - 여산향교대성전 지붕 보수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여산향교대성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재지 여산향교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교동길 23-2[여산리 101-1]지도보기
성격 전각
양식 익공계 건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관리자 향교재단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향교에 있는 조선 후기 전각.

[개설]

여산향교대성전(礪山鄕校大成殿)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여산향교의 전각이다. 향교는 고을의 크기에 따라 대설위(大說位), 중설위(中設位), 소설위(小設位)로 나뉘었는데, 여산향교는 중설위로 여산향교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다섯 명의 성인(五聖)[공자, 안자, 증자, 자사, 맹자]과 공자의 제자 10명, 송나라의 유학자 6명을 모시고 있다. 그리고 동무와 서무에는 우리나라의 유학자 18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여산향교대성전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여산향교대성전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101-1에 있다. 여산면 소재지에서 지방도799호선을 따라 남쪽으로 가다가 천호동굴 방향으로 좌회전하여 지방도740호선을 따라 460m 정도 가다 보면 왼쪽 산기슭에 여산향교을 확인할 수 있다. 교동마을로 진입하여 220m 정도 들어가면 여산향교가 있다.

[변천]

여산향교는 1403년(태종 3) 당시의 여랑현[현재 낭산면]에 향교를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이후 현 위치로 옮기면서 중건하였다고 하나 기록이 없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1917년 지방 유림들이 힘을 모아 대대적으로 중수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보수하였다. 1956년 중수하였고, 1994년 보수하였으며, 2001년 지붕 보수를 하였다.

[형태]

여산향교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로서 일반적인 향교 대성전의 모습을 보여 준다. 기단은 화강석을 잘 다듬은 장대석을 사용하였으며 위에 주좌를 도드라지게 다듬은 원형 주춧돌을 놓았다. 기둥은 원기둥을 사용하였으며 기둥 상부에 여러 부재들로 짜여진 공포는 1출목 2익공 구조이다. 주심첨차(柱心檐遮)[기둥 위에 있는 첨차]는 대첨차로 하단을 초각(草刻)[화초무늬를 새기는 것]하였고 출목첨차는 소첨차로 형태는 주심첨차와 같다. 쇠서의 형태는 모두 위쪽으로 살짝 치켜올린 모습이다. 초익공과 이익공은 하나로 이어지듯 초각하였는데 안쪽은 보를 받치는 보아지(甫兒只)[기둥과 보아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해 주는 받침목]의 역할을 한다. 익공 상부에는 구름 모양의 운공을 끼워 장식성을 높였다. 배면에 있는 공포는 정면과 유사하나 단순하게 처리하였다.

문은 정면에만 있는데 가운데 칸에는 2짝 판문을 달았으며, 좌우 칸에는 외짝 판문을 달았다. 문인방 위에는 격자 모양의 고창을 달아 통풍이 잘 되도록 하였으며 문인방 하부는 판벽으로 구성하였다. 나머지 삼면은 모두 회사벽으로 마감하였다. 가구구조는 1고주 5량 형식이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사람인(人) 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며, 처마는 서까래와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이다.

[현황]

여산향교는 경사지에 있으며 여러 단을 조성하여 외삼문, 명륜당, 내삼문, 대성전이 약간씩 축을 달리 하며 배치되어 있다. 대성전은 맨 윗단에 있으며 대성전 아랫단에는 동무와 서무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 명륜당의 동쪽에는 향교를 관리하는 건물인 교직사가 있다. 여산향교에는 동재(東齋) 2칸, 서재(西齋) 3칸, 제기고(祭器庫) 2칸, 전사청(典祀廳)이 있었으나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여산향교대성전은 조선 시대 향교의 보편적인 형태로 조선 후기의 건축 수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