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501
한자 華巖書院
영어공식명칭 Hwaam Seowon|Hwaam Private Confucian Academy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길 145[기양리 산49-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성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552년연표보기 - 화암서원 건립
훼철|철거 시기/일시 1869년연표보기 - 화암서원 훼철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7년 - 화암서원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2014년 4월 15일연표보기 - 화암서원 익산시 향토유적 제15호 지정
현 소재지 화암서원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길 145[기양리 산49-1]지도보기
성격 서원
양식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2칸
문화재 지정 번호 익산시 향토유적 제15호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개설]

화암서원은 1552년(명종 7)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이공수(李公遂)[1308~1366]를 추모하기 위하여 세워진 서원이다. 이공수는 고려 시대 학자이자 문신으로 여러 관직을 거쳐 고려 공민왕 때인 1365년 익산부원군(益山府院君)에 봉해진 익산 출신 인물이다. 화암서원은 1869년(고종 6)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1977년 복원되었다.

[위치]

화암서원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산길 145를 따라가면 미륵사를 오른편에 끼고 미륵산의 등산로로 가는 도로 왼편에 있다. 여름에는 수풀이 우거져 있으며 표지판도 없어 찾기 어렵다. 미륵산 쉼터에서 50m쯤 올라가면 왼편에 집이 2채가 있으며 뒤쪽 측면에 화암서원이 있다.

[변천]

화암서원은 1552년경 지방 유림의 공의로 이공수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이후 1623년(인조 1) 소세량(蘇世良)·소세양(蘇世讓)·이약해(李若海)를 배향하고, 1719년(숙종 45) 소동도(蘇東道)·소영복(蘇永福)·소광진(蘇光震) 등을 추가 배향하였다. 모두 익산에 본관을 둔 이씨와 소씨이다. 화암서원은 선현 배향과 익산 지역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다가 1869년경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이때 서원의 전답은 익산향교로 귀속되었다. 1977년 익산군 내 유림에 의하여 복원되었다.

[형태]

화암서원의 경내의 건물로는 맞배지붕의 정면 3칸, 측면 2칸의 사우(祠宇)와 3칸의 내삼문이 있다.

[현황]

화암서원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 미륵산 기슭에 있으며 콘크리트 기둥의 내삼문을 지나면 1977년 복원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사당이 있다. 사당 옆에 강당이 있었으나 붕괴되었다. 주위에는 대나무 숲이 무성하여 외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화암서원에서는 매년 2월 중정(中丁)[두 번째 정일(丁日)]과 8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나 현재는 재정상의 문제로 봄에만 지내고 있다. 재산으로는 대지와 전답 4,000㎡[1,200여 평] 등이 있다.

화암서원 내에는 윤하병 공적비(尹河炳功績碑)가 있다. 이 비는 조선 후기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된 화암서원을 다시 복원하는 데 공을 세운 윤하병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대좌는 2단의 화강암으로 조성되었고, 비신의 높이는 80㎝이다. 비문은 김형규(金炯規)가 글을 짓고 소세양의 후손 소진기(蘇鎭己)가 글씨를 썼다.

화암서원은 2019년 화암서원보존회 김종선 원장을 필두로 익산 유림 35명이 보전하고 있다. 서원 앞 울창한 대나무 숲과 인근 전답 등 6만 3000㎡[1만 9000여 평]의 땅도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암서원은 익산 최초의 서원으로 익산 지역의 선현 이공수, 소세양 등을 배향하고 있다. 조선 시대 지방 사림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익산 지역 사회 운영을 주도한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