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958
한자 慧峰院
영어공식명칭 Haebongwon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군익로11길 29-11[모현동1가 719-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귀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94년 - 삼곤사 창건
개칭 시기/일시 1955년연표보기 - 삼곤사에서 혜봉정사로 개칭
중수|중창 시기/일시 1955년 - 금산사 중창
개칭 시기/일시 1956년 11월 5일연표보기 - 혜봉정사에서 혜봉원으로 개칭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 - 모현동부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9월 21일 - 혜봉원목조석가여래삼존상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02년 12월 14일 - 혜봉원 목조보살입상 익산시 향토유적 제13호 지정
최초 건립지 삼곤사 - 전라북도 익산시 군익로11길 29-11[모현동1가 719-1]
현 소재지 혜봉원 - 전라북도 익산시 군익로11길 29-11[모현동1가 719-1]지도보기
성격 사찰
창건자 강묘시화 등
전화 063-855-5091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대한불교화엄종 소속 사찰.

[건립 경위 및 변천]

혜봉원은 조선 인조 때의 승려 연화당(蓮花堂)을 추모하기 위하여 1894년(고종 31)에 연화당의 법제자들과 신도 강묘시화 등이 동참하여 창건한 절이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삼곤사(三坤寺)’였다. 그 뒤 폐사에 이르렀으나 1955년 금산사 승려 혜봉(慧峰) 하규호(河圭鎬)가 중창하여 자신의 법호를 따서 혜봉정사로 명명하였다가 1956년11월 5일 혜봉원으로 사찰 명칭을 변경하였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혜봉원은 대한불교화엄종 소속 사찰로 경내에는 법당[不二精舍]과 요사채, 우화루, 해탈문 등이 있고 유물로는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 혜봉원 목조보살입상, 모현동 부도, 오층석탑, 부도 밭에 혜봉원 사적비 등이 있다. ‘우화루’와 ‘해탈문’ 편액의 글씨는 여산 권갑석[1924~2008]이 1977년에 쓴 것이다.

[관련 문화재]

혜봉원 대웅전 불이정사에는 2001년 9월 21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0호로 지정된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과 2002년 12월 14일 익산시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된 혜봉원 목조보살입상이 봉안되어 있고, 경내 부도 밭에는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된 모현동 부도가 있다.

삼존불인 혜봉원 목조석가여래삼존상은 본존인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측의 보현보살좌상은 조선 후기에 조성된 것이다. 우측의 문수보살좌상은 도난을 당하여 최근에 제작된 작품으로 문화재에서 제외된다. 석가여래좌상은 높이 76㎝, 무릎 폭 57.5㎝이고, 좌측의 보현보살좌상은 높이 75㎝, 무릎폭 49㎝로 1712년(숙종 38)에 제작되었다. 석가여래좌상과 보현보살좌상 내부에서 발견된 백지묵서(白紙墨書)로 된 조성 발원문에는 1712년 전라북도 변산 개암산 도솔암에 봉안하기 위하여 조각승 초오(楚悟)와 신옥(信玉)이 석가여래삼존상을 제작하였다고 쓰여 있다. 그러나 두 장의 발원문의 지질과 필체가 다르고 신체, 비율, 착의법 등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아 각각의 사찰에 봉안되었던 불상으로 추측되며 불상 양식의 특징을 보면 석가여래좌상이 보현보살좌상보다 늦게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들이 언제 개암산 도솔암에서 혜봉원으로 이운되었는지 알 수 있는 문헌은 전하지 않는다.

대웅전 좌측 불단 위에 봉안되어 있는 혜봉원 목조보살입상은 총 높이 153㎝로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 손으로 연꽃을 받들고 서 있다. 혜봉원 목조보살입상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문에 따르면 조각승 원오(元悟)가 제작하였다고 한다.

모현동 부도는 조선 인조 때 승려 연화당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자들이 건립한 것이다. 군산의 보천사에 있던 것을 1960년에 혜봉원으로 옮긴 것으로 높은 기단 위에 공모양의 탑신을 올린 후 8각의 옥개석과 상륜을 갖춘 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