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1389 |
---|---|
한자 | 明心寶鑑-孝子洪耆燮 |
영어공식명칭 | Hong-Kiseop, a Filial Son in the Myeongsimbogam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신송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11년 1월 18일 -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 김기철에게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7년 -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5-13 전라북도 익산시 편에 수록 |
관련 지명 | 익산시 - 전라북도 |
채록지 | 삼정마을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
![]() |
성격 | 설화 |
주요 등장 인물 | 홍기섭|도둑 |
모티프 유형 | 도둑의 개과천선 |
전라북도 익산시에 홍기섭의 인품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은 『명심보감(明心寶鑑)』 염의편(廉義篇)에 실린 홍기섭(洪耆燮)에 관한 이야기이다. 홍기섭은 조선 후기 헌종(憲宗)[1827~1849]의 장인 홍재룡(洪在龍)의 아버지인데, 청렴한 사람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은 홍기섭의 인품에 도둑이 개과천선(改過遷善)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은 2011년 1월 18일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 삼정마을에서 김기철에게서 채록하였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는 2017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5-13 전라북도 익산시 편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홍기섭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젊은 시절에 홍기섭의 집은 몹시 가난하였는데, 어느 날 집의 계집종이 돈 일곱 냥을 솥 안에서 발견하고 놀라서 가져왔다. 일곱 냥은 당시로서 큰돈이었으나 홍기섭은 욕심을 부리지 않고 주인을 찾아 주기 위하여 공고를 하였다. 그러자 어느 날 유씨라는 사람이 찾아와 글을 써 붙인 사연을 물었다. 홍기섭이 깨끗한 사람인 것을 안 유씨는 자신이 그 돈을 가져다놓았다고 고백하였다. 사실 유씨는 도둑으로 다른 집에서 돈을 훔친 후, 홍기섭의 집에도 마저 도둑질을 하러 들어왔다가 가세가 극도로 빈한한 것을 알고 훔친 돈을 솥에 넣어 두고 간 것이다. 유씨는 홍기섭의 됨됨이에 크게 감복하여 자신의 잘못을 고하고 빌었다. 후일 홍기섭은 판서에 오르고 유씨도 개과천선하여 벼슬에 올랐다고 한다.
「명심보감에 나오는 효자 홍기섭」은 ‘도둑의 개과천선’이 주요 모티프이다. 청렴한 인물의 행동에 감동한 도둑이 개과천선하였다는 내용이다. 더불어 홍기섭이라는 역사 속 실존 인물의 청렴함을 말하고 있기도 하다. 효자와 관련된 내용은 제보자[김기철]의 이야기에는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