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강릉문화대전 > 강릉향토문화백과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전승 > 무가
-
무속의례에서 무당이 부르는 사설이나 노래. 굿을 하는 무당의 무가와 독경무의 무경이 있다. 그렇지만 강릉 지역에는 주로 무당이 굿에서 가창하는 무가가 전승된다. 강릉 지역의 무가를 기능적으로 나누면 신을 청하는 청배무가, 신을 기쁘게 하기 위해 부르는 오신무가, 축원무가 등이 있고 신들린 무당이 신의 위치에서 말하는 공수가 있다. 문학적 분류를 하면 서사무가, 서정무가,...
-
강원도 강릉시에서 황천무가(黃泉巫歌)의 일종으로 망자를 위해 부르는 서사 형식의 사령굿. 사령굿의 일종으로 오구굿이라는 특별한 굿 절차에서 행해지는 한계성을 지니며, 망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과정에서 구연된다. 이러한 점에서 보편적인 굿놀이라기보다는 제한된 전승의 기원제의 양식을 보여준다. 「바리데기무가」는 ‘바리 공주’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무가...
-
꽃노래굿에서 부르는 무가. 「꽃굿노래」는 꽃 이름을 나열하는 꽃 풀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노래를 하는 동안에 무녀들 여러 명이 양 손에 꽃을 갈라 쥐고 함께 노래를 부르며 원무를 춘다. 강릉단오굿에서의 꽃노래굿은 대관령국사성황신을 보낼 때, 마지막으로 신을 즐겁게 하여 보낸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 꽃 저 꽃을 가 다루실 적 붉은 꽃 푸른 꽃 누른...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강릉 단오굿이나 서낭굿, 별신굿, 개인 재수굿 등에서 하는 세존굿 때 부르는 무가. 생산신으로 신앙되는 세존(世尊)과 삼신(三神)으로 좌정한 당금애기의 일대기를 창한다. 여자주인공 당금애기의 이름을 따서 「당금애기노래」라고 부른다. 무녀는 창과 말을 교체하면서 무가를 부른다. 당금애기는 양가집 규수로서 부모님과 일곱 오라버니와 함께 살고 있다. 어느...
-
등굿을 할 때 부르는 무가. 등굿은 동해안 별신굿과 강릉단오굿·오구굿 등에서 행해지는 제차의 하나이다. 강릉단오굿에서는 굿청에 달아놓았던 호개등을 떼어 내려 가지고 등굿을 하는데, 이 등은 갑인년 사월 초여드렛날에 석가여래가 하늘에서 타고 내려온 관등을 상징하며, 무녀들은 대관령국사성황(大關嶺國師城隍)이 바로 이 호개등을 타고 단오 때 내려왔다가 굿이 끝나면 다시 타고 올라간다고...
-
부정굿에서 부르는 무가. 부정굿은 굿을 할 때 제청의 불결하고 부정한 것을 깨끗하게 가셔내기 위하여 행하는 제차로, 전국적으로 널리 행해지며 일명 ‘「부정거리」’ 또는 ‘「부정풀이」’라고도 하며 대개 굿의 맨 처음에 한다. 영정부정을 가셔내자 드릅고 위치하는 부정님네요 부정님네 난데 본은 그 어디 본일런고 대천지 지하마다 물거품이 본일레라 영정님네 난데 본은...
-
성주굿을 할 때 무녀가 부르는 무가. 성주굿은 가신(家神)인 성주신에게 식구들의 재앙을 물리치고 행운이 있게 해달라고 비는 굿으로, 영동지역의 서낭굿이나 별신굿에서는 제석을 모신 후 성주굿을 한다. 무녀는 반주에 맞추어 성주가 산에 올라가 좋은 나무를 골라 집을 짓는 과정을 서술하고 축원하는 내용의 「성주굿노래」를 부른다. 성조님 난데본은 천상천궁 가시다가 글...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마마와 홍역을 앓게 하는 신인 손님을 모시는 굿에서 부르는 무가. 강릉 단오굿이나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의 별신굿이나 서낭굿에서 손님굿을 한다. 동해안별신굿에서 무녀는 손대를 들고 갓을 쓰고 굿을 하며 손님풀이를 부르는데 말과 창(唱)을 섞어서 구연한다. (말) 저 옛날에 큰님 잣님 압시기 흔욕(홍역)손도 손이요, 시두손도 손이요, 명신손도 손이...
-
강릉단오굿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 서낭굿이나 별신굿 가운데 심청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심청굿은 무가구연과 촌극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무녀가 장고잡이와 단둘이 서사무가 「심청가」를 부른 뒤 촌극으로 장님놀이를 한다.「심청굿노래」는 바로 앞부분에 장고반주에 맞추어 창과 아니리를 섞어가면서 무녀가 노래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구연되는 「심청굿노래」의...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제면굿을 할 때 부르는 무가. 제면굿은 무당신인 ‘제면할머니’에 대한 굿으로, 무조(巫祖)의 내력을 밝히는 서사무가가 구연된다. 단골들을 위한 굿이며, 골계적인 내용이 많다. 말명의 넋이를야 불라주자 양반의 집안에야 신이 난다고 장고 거게야 미를 써도 신이 나고 양반의 집안에 신이 나네 이정승집에야 신이 나는데 아들하나 딸하나를 키우는데 무남독자야...
-
조상굿을 할 때 부르는 무가. 조상님네요 조상님네요 조상님네요 단오장에 조상님네요 남산부주 대한민국이고 강원도라 이십육관에 스물여섯 총독하는 이르는 한조상이요 강릉시 남대천 단오장에 년년오는 명절에 여루 열명 조상님네를 상전에다 모시는 뜻은 다른 뜻이가 아니오라 죽음에 조상이 있는 반면에 사네 조상님들도 있사옵니다 백년 이전에 세월이 흘러 단오장에다 범일국사 서왕당을 전...
-
오방토주지신(五方土主地神)에 대하여 축원하는 지신굿에서 부르는 무가. 지신님네를 모시자 지신님네를 모실 적에 동방에는 청제지신아 남방에는 적제지신님네 서방에는 벽제지신이 북에는가 흑제지신이 한 가운데 황제지신님네 오방지신님네를 위로 합니다 이 명당 이 터전에 낡을 다려도 지신님의 전에다 다리시고 땅을 다려도 지신님 앞에서 다리고 물을 먹어도 이 터전이요 자손을 키워도 이 터전이올시...
-
축원굿에서 부르는 무가. 강릉단오굿의 축원굿은 두 가지 형태로 나뉠 수 있다. 첫째는 독립된 거리로 연행되는 것인데, 보통 10회 이상씩 연행된다. 둘째는 모든 거리에서 축원대목으로 연행되는 것이다. 이때는 청배무가와 춤으로 신을 청한 다음에 놀이굿으로 즐겁게 해드려서 대접을 하고, 이어서 축원으로 인간의 소망을 말한다. 남산 부중아 대한국이요 강원도 이십육관이고 스물아...
-
북두칠성과 관련되며 인간의 수명장수를 기원하는 칠성굿에서 부르는 무가. 칠성은 인간의 수명장수를 관장하는 신이다. 하지만 무속 고유의 신으로 보기는 어렵고, 도교의 영향으로 생긴 신앙으로 생각된다. 무가의 내용은 오방개념이 끼어들어와 동도칠성, 남도칠성, 북도칠성, 서도칠성이 인간의 수복을 돌봐준다고 되어 있다. 칠성님네가 나래오신다 칠성님네를 위로하자 남도 칠성 서도 칠성 동도...
-
강릉단오굿의 마지막 거리인 대맞이에서 부르는 무가. 대개의 별신굿은 거리굿이라고 하여 양중이 혼자 일인극을 하면서 잡귀를 풀어먹이는 의례를 행한다. 하지만 강릉단오굿은 유교식 송신제에 이어 다시 대내림을 하여 국사서낭님이 굿을 잘 받았는지 확인한 연후에 굿에 사용했던 모든 것을 태우는 환우굿으로 마친다. 마주자 마주자 마주자 강릉시 대동안 국사서왕님 모시고 여국사 서왕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