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익산 미륵사지 석탑을 만든 돌, 전라북도 익산에서 생산되는 황등석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 익산 황등에서 나는 화강암을 ‘익산 황등석’이라고 한다. 익산 황등석은 황등과 낭산을 중심으로 함열, 삼기, 여산, 금마를 아우른 지역에서 주로 채취된다. 예로부터 익산의 화강암은 전국 최고의 품질을 자랑할 정도로 우수성을 인정받아 왔다. 조선 철종 9년(1858)경부터...
-
전라북도 익산시 인화동2가에 있는 다리. 나룻교는 목천포천을 넘어다닐 수 있는 나룻2교와 이어진다. 인근에 대동철강, 대진전기, 금호정밀, 디에스 미래테크 등 산업단지 업체들이 밀집하고 있어서 인화동 산업단지 내 교류 역할을 한다. 나룻교의 교량명은 과거 만경강의 나루터가 있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94년 12월 1일 동산동의 ‘나룻가...
-
전라북도 익산시 인화동2가에 있는 다리. 나룻교는 목천포천을 넘어다닐 수 있는 나룻2교와 이어진다. 인근에 대동철강, 대진전기, 금호정밀, 디에스 미래테크 등 산업단지 업체들이 밀집하고 있어서 인화동 산업단지 내 교류 역할을 한다. 나룻교의 교량명은 과거 만경강의 나루터가 있던 곳이라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94년 12월 1일 동산동의 ‘나룻가...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나바위성지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성당. 1882년 나바위공소가 설립되었고, 나바위성당이 1897년 5월 8일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때는 화산성당이었다가,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는 화산성당과 이름이 같아 1989년에 ‘나바위성당’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서품과 귀국을 기념하는 성당으로, 나바위...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에 있는 천주교 성지. 나바위성지는 1845년 10월 우리나라 최초 신부인 김대건[안드레아] 신부가 중국 상하이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페베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첫발을 내딛은 곳을 기념하는 천주교 성지다. 나바위성지에는 김대건 신부를 기념하는 나바위성당과 김대건 순교 100주년 기념비 등이 있다. 나바위성당은 독특한 건축 양식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나바위성지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성당. 1882년 나바위공소가 설립되었고, 나바위성당이 1897년 5월 8일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본당으로 설립되었다. 설립 때는 화산성당이었다가, 전라북도 완주군에 있는 화산성당과 이름이 같아 1989년에 ‘나바위성당’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김대건[안드레아] 신부의 서품과 귀국을 기념하는 성당으로, 나바위...
-
전라북도 익산시에 함라산의 풍수와 삼 부잣집에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나산괘염 터의 바리 자리에 집터를 잡은 삼 부잣집」은 함라산(咸羅山)[240.5m]의 풍수와 관련하여 삼부잣집이 부자가 된 내력을 설명하고 있는 이야기이다. 나산괘염(羅山掛念)은 조선 시대에 함라현의 아름다운 경치를 묘사한 〈함라팔경〉에 7번째로 등장하는 어구로, ‘함라산 중턱에...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조선말 유학자 소승규의 문집. 『난곡유고(蘭谷遺稿)』는 조선 후기와 개항기에 활동한 학자 소승규(蘇昇奎)[1844~1908]의 문집이다. 소승규는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학문에 뜻을 두었고 글재주가 뛰어나서 이름이 널리 알려졌으나, 과거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이에 관직에 미련을 버리고 인산(仁山) 소휘...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두곡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서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와 접하고 있다. ‘난포(蘭浦)’라는 명칭은 갈대가 많은 포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난포리(蘭浦里)는 과거에 포구가 있던 마을로, 배가 자주 드나들었던 곳이어서...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석상. 남궁찬묘 석상(南宮璨墓石像)은 조선 전기의 문신 남궁찬(南宮璨)의 묘소에 조성된 2기의 석상이다. 남궁찬의 본관은 함열, 자는 여헌(汝獻), 호는 호은(壺隱), 창랑(滄浪)이다. 개국공신 남궁계(南宮啓)의 증손이고, 이조참판 남궁순(南宮順)의 아들이다. 1472년 생원시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1489...
-
조선 전기 익산 출신의 문신. 남궁침(南宮枕)[1513~1573]의 본관은 함열(咸悅)이고 자는 성중(誠仲)이다. 할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남궁찬(南宮璨)이고, 아버지는 동복현감 남궁익(南宮翼)이다. 어머니는 김인각(金麟角)의 딸 연안김씨(延安金氏)이다. 형은 사섬시첨정 남궁희(南宮憘)이고, 동생은 지평현감 남궁개(南宮愷)이다. 남궁침은 1513년(중종 8)...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의 8대명당(八大明堂)의 하나로 꼽히던 남당산의 명칭을 따서 남당리(南堂里)라 하였다. 남당산에는 명당을 찾아 묏자리로 썼다는 청송심씨(靑松沈氏) 가문의 2세조 심연(沈淵)의 묘가 있다. ‘평지 명당의 대표는 ‘남당산’이라고 할 정도로 남당산은 풍수지리상의 명소로 꼽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정리(上亭...
-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에 있는 사립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고결한 인격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고, 교훈은 ‘성실, 신의, 조화’이다. 1946년 3월 5일 재단법인 화성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3월 7일 남성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51년 3월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8월 남성중학교와 남성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53년 남성고등학교를 분리하여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에 있는 사립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고결한 인격을 갖춘 민주 시민 육성’이고, 교훈은 ‘성실, 신의, 조화’이다. 1946년 3월 5일 재단법인 화성학원으로 설립인가를 받아 3월 7일 남성중학교로 개교하였다. 1951년 3월 「교육법」이 개정되면서 8월 남성중학교와 남성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 1953년 남성고등학교를 분리하여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남성고등학교에서 만든 고등학교 배구팀. 남성고등학교 배구부는 1963년 1월 남성중·고등학교 배구팀으로 창단되었다. 배구부 창단 초기에 감독 이갑득 지도 아래, 장재규·박갑용·이길균·이동관·안병남·김남성·이종원 선수 등이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하며 전국적으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1963년 전국춘계연맹전과 전국학생선수권대회에서 우승...
-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에 있는 사립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고결한 인격을 갖춘 유능한 민주 시민 육성’이고, 학교 생활 목표는 ‘아름답고, 성실하고, 새로워지자’이다 1946년 재단법인 화성학원에서 설립한 남성중학교가 1956년에 여자부 2학급 인가를 받으면서 설립 기반이 마련되었다. 남성중학교에 병설되었던 여자부가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와 이리남성여자중학교로 분리되면서 19...
-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에 있는 사립중학교. 교육목표는 ‘21세기 유능한 글로벌 민주 시민으로 양성’이며, 교훈은 ‘아름답게, 성실하게, 더욱 새롭게’이다. 이리남성여자중학교는 1946년 재단법인 화성학원에서 설립한 남성중학교에 여자부 2학급 인가를 1956년에 받으면서 설립 기반이 마련되었다. 남성중학교에 병설되었던 여자부가 이리남성여자고등학교와 이리남성여자중학...
-
전라북도 익산시 신동에 있는 사립중학교. 교훈은 ‘성실(誠實), 신의(信義), 조화(調和)’이다. 건학 이념은 ‘교육보국의 이념으로 고결한 인격을 갖춘 유능한 민주 시민을 육성함으로써 국가와 사회에 이바지한다.’이다. 재단법인 화성학원이 1946년 3월 5일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이리시 창인동[현 익산시 창인동] 옛 호남국토건설국 자리에 가교사를 마련하...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다리. 남외천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낭산저수지에서 흐르는 물길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며, 낭산리의 도로 아리랑로와 연결되어 있다. 2차선의 교량으로 길이는 13.0m, 교폭은 8.5m, 유효 폭은 7.1m, 교량의 높이는 4.1m이다. 교량의 경간 수는 1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13.0m이...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다리. 남외천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낭산저수지에서 흐르는 물길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며, 낭산리의 도로 아리랑로와 연결되어 있다. 2차선의 교량으로 길이는 13.0m, 교폭은 8.5m, 유효 폭은 7.1m, 교량의 높이는 4.1m이다. 교량의 경간 수는 1개이고, 최대 경간장은 13.0m이...
-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에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에 이르는 국도.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을 기점으로 전라북도 익산시를 거쳐 전라북도를 남동에서 북서로 지나, 충청남도 서해안을 따라 가다가, 충청북도를 지나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까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도로이다. 국도21호선은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순창군~정읍시~김제시~전주시...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말사. 1968년 남원사의 주지였던 이동원이 절 안에 세운 사적비에 따르면 남원사는 신라 흥덕왕 원년(831)에 진감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창건 당시에는 수십 채의 건물을 갖춘 큰 절로 사찰 명칭은 ‘법당사’였다. 이후의 연혁은 전하는 것이 없다가 1592년(선조 25)에 윤 공이 남원부사에 임명되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 남원사에 있는 불전. 남원사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1968년 이동원이 세운 사적비에 따르면 남원사는 통일신라 831년(흥덕왕 6)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창건하였다고 하며, 본래 수십 동에 이르는 큰 사찰로 ‘법당사’라 불렸다고 한다. 1591년(선조 25) 남원부사 윤공...
-
전라북도 익산시에 삼부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을 그르게 가르쳐서 벌 받은 삼부자」는 다른 사람을 이용하여 욕심을 채우다 변을 당한 삼부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남을 그르게 가르쳐서 벌 받은 삼부자」는 2011년 8월 9일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서 정병갑에게서 채록하였으며, 2017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증편 한...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미륵탑과 왕궁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남자가 쌓은 왕궁탑과 여자가 쌓은 미륵탑」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왕궁리석탑과 미륵사지석탑 건립에 관한 이야기이다. 「남자가 쌓은 왕궁탑과 여자가 쌓은 미륵탑」은 2011년 8월 15일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서 이병철에게서 채록하였으며, 2017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있는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 교회. 남전교회는 1897년에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군 오산면 남전리에 설립된 익산 지역 최초의 교회이다. ‘남참문교회’라는 이름으로 출발하였으며, 도남학교를 설립하여 민족의식을 교육했다. 1919년 4월 4일 익산 솜리장터에서 열린 만세운동을 주도하였고, 1970~1980년대 인권운동과 농민 권익운동에 적극적...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남전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 동쪽으로 목천리, 남쪽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 동계리, 서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남참리(南參里)에서 ‘남’ 자와 야전리(野田里)의 ‘전’ 자를 따서 ‘남전리(南田里)’가 되었다. 남참리는 ‘남...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활동한 서예가이자 대학교수. 최정균(崔正均)[1924~200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남정(南丁)이다. 원광대학교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예학과를 개설하여 서예와 문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최정균은 1924년 4월 20일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에서 태어났다. 1956년 원광대학교 문학부 교학과를 졸업한 뒤 원광중...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공립중학교. 자율과 책임을 다하는 사람,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사람, 자기 존중과 타인을 이해하는 사람, 문화예술적 감성을 실천하는 사람 육성을 교육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하고 건강하며 능력이 있는 한국인이 되자’이다. 이리남중학교는 1961년 12월 1일 설립인가를 받아 1962년 4월 4일 개교하였다. 2000년...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익산시청의 소재지로 익산의 행정 및 주거의 중심지이다. 또한 전국 두 번째 규모의 북부 재래시장[1975년 개설]이 있다. 북쪽으로 익산시 신동, 동쪽으로 익산시 영등동, 남쪽으로 익산시 마동, 서쪽으로 익산시 모현동과 접하고 있다. 북일면 남중리일 때는 주로 ‘남바우(南岩于)’’라고 불렀는데, 옛 이리 지역을 대표...
-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이리여자고등학교 교정에 있는 고려 후기 석탑. 남중동 오층석탑(南中洞 五層石塔)은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이리여자고등학교 교정에 있는 고려 시대 석탑이다. 일제 강점기에 전라북도 완주군 고산면 삼기리 봉림사지에서 익산시 남중동 이리여자고등학교로 옮겨 온 것이다. 남중동 오층석탑은 한 개의 석재로 이루어진 기단부와 완만한 체감의 5층 탑신...
-
고려 후기 익산 출신의 문신. 이공수(李公遂)[1308~1366]의 본관은 익산(益山)이고 자는 남촌(南村),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인종 때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를 지낸 이주연(李周衍)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상서좌복야 이주(李湊)이고, 할아버지는 언부전서(讞部典書)를 지낸 이행검(李行儉)이다. 아버지는 감찰규정(監察糾正)을 지낸 이애(李崖)이다. 이공수의 고모...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와 석천리 경계에 있는 산. 낭산은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의 낭산리와 석천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이다. ‘쟁벽산’이라고도 불리는 낭산은 해발 162m이다. 낭산 정상에는 전라북도 기념물 제13호인 익산 낭산산성(益山郎山山城)이 있다. 익산 낭산산성은 낭산의 정상을 둘러싼 형태를 띠고 있다. 북쪽은 거의 정상을 감싸고, 남쪽은 일부 골...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있는 농공 단지. 농촌 지역이 많은 전라북도 익산시에서는 농가에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농가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농공단지를 조성하였다. 익산시 낭산면은 전형적인 농업 중심의 지역으로, 농공단지의 조성 목적과 잘 어울리는 지역이다. 전라북도 익산시는 1992년 10월 16일에 낭산농공지구를 지정 고시하였다....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인근에 위치한 여산(礪山)의 옛 이름이 낭산(朗山)이었기에 때문에 ‘낭산리’라 불리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 상랑리(上朗里), 하랑리(下朗里), 우금리(牛今里)를 포함하여, 내산리(內山里), 장평리(長坪里)와 서사면(西四面)의 돈산리(敦山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낭산면 낭산리로 개설되었다.1995...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은 북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동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남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삼기면, 서쪽으로 익산시 함열읍과 접하고 있다. 면 소재지가 있는 삼담리를 포함하여, 호암리, 석천리, 낭산리, 성남리, 구평리, 용기리의 7개 법정리가 있다. 마을의 주산(主山)인 낭산(朗山)에서 낭산면(朗山面)의 이름이 유래...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있는 저수지. 낭산저수지는 일제 강점기인 1945년 2월에 착공하여 광복 후 1947년 1월에 준공되었다. 일명 미륵저수지라고도 불린다. 낭산저수지는 빗물에 의존하여 농사를 짓던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일대 농민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업용수를 확보하고자 건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호암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따뜻한 마음과 창의력을 갖춘 행복한 미래 인재 육성을 교육 비전으로 삼고 자주적인 어린이, 창의적인 어린이, 교양 있는 어린이, 더불어 사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튼튼한 몸을 길러 알차게 배워서 올바르게 행하자’이다. 낭산초등학교는 1927년 6월 2일 낭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촌(內村)은 주위의 마을보다 안쪽에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안동네’로 불리다가 한자로 ‘내촌’으로 표기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촌리(內村里)와 함께 신흥리(新興里), 방축리(方築里), 미동(米洞) 등의 지역과 지장리(只長里), 교항리(橋項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면 내촌리로 개설되었...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에 맞이하는 우리나라 명절. 한식은 동지에서 105일째 되는 날인 4월 5일이나 6일 무렵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꼽는 날이다. 냉절(冷節)이라고도 한다. 민간에서는 이날을 전후하여 쑥탕, 쑥떡을 만들어 먹었다. 한식날 먹는 메밀국수를 ‘한식면(寒食麵)’이라 하고, 한식 무렵 잡...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소속 교회. 대장교회는 익산군[현 익산시] 춘포면에서 1902년에 시작되어 최순표와 최재연이 모여 예배를 드리다 1905년에 예배당을 세웠다. 예배당이 세워진 춘포면은 호남평야의 중앙부에 자리 잡고 있어 일제 강점기에는 일제의 미곡 창고나 다름없었을 정도로 쌀 수탈의 전초기지였다. 대장교회는 민족의식이...
-
전라북도 익산시에 넓적다리를 베어 아버지를 봉양한 효자에 관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넓적다리 살을 베어 아버지를 봉양한 효자」는 아버지가 병이 들자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서 삶아 먹이고, 돌아가신 뒤에는 3년의 시묘살이를 한 효자에 대한 이야기이다. 「넓적다리 살을 베어 아버지를 봉양한 효자」는 2011년 8월 18일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남을 위하여 착한 일을 하는 세시풍속. 정월대보름 무렵에 액막이로 돈을 넣어 길가나 개울에 버리는 풍속이 적선(積善)이다. 적선이 더 다양하게 변화하여, 남을 위하여 착한 일을 하면 그해에 닥쳐올 액운을 미리 막아 준다고 믿는 풍속이 생겨났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그런 미풍양속 중의 하나로, 정월 열나흗날 또는 대보름...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경기도 지역 신민요. 「노들강변」은 1930년대 초에 신불출이 노랫말을 짓고 문호월이 작곡한 신민요로, 발표된 이후 여러 경기민요 명창들에 의해 불러지면서 전국적으로도 널리 애창되며 크게 유행하였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의 장암마을과 상낭마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의 신촌마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의 상조...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정월대보름 무렵에 남을 위하여 착한 일을 하는 세시풍속. 정월대보름 무렵에 액막이로 돈을 넣어 길가나 개울에 버리는 풍속이 적선(積善)이다. 적선이 더 다양하게 변화하여, 남을 위하여 착한 일을 하면 그해에 닥쳐올 액운을 미리 막아 준다고 믿는 풍속이 생겨났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그런 미풍양속 중의 하나로, 정월 열나흗날 또는 대보름...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노환(盧桓)[1916~1994]은 1916년 12월 13일 지금의 익산시 황등면 율촌리에서 태어났다. 전주북중학교 교사로 재직 당시 일제의 패망을 예견하며 다가올 조국 독립의 미래를 위해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불어넣다가 1942년 10월 31일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1943년 9월 20일 일제는 유치장에 있는 노환에게 교...
-
전라북도 익산시에 지혜로운 임금의 통치에 대하여 전해 내려오는 노자의 이야기. 「논어 위정편의 애공」은 중국 춘추시대의 사상가인 공자(孔子)[B.C.551~B.C.479]와 노나라 임금인 애공(哀公) 이 정치에 대하여 나눈 대화에 관한 이야기이다. 『논어(論語)』 위정편(爲政編)에 실려 있는 내용이 설화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논어 위정편의 애공」...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와 완주군 비봉면 대치리 일원에 걸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천호산성(天壺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에서 가장 높은 천호산[해발 500m]의 주봉을 감싸며 쌓은 테뫼식 산성으로 ‘대성(臺城)’, ‘농성(農城)’, ‘태성(台城)’이라고도 부른다. 산성의 축조와 연관하여 관련된 문헌 자료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천호산의 현상에 대해 단편적...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에 속하는 마을. 농소마을의 옛 명칭은 ‘농막’이었다. 농소마을은 들 가운데 위치하였는데, 농사철에만 이용하였던 농소(農所)[농막(農幕)]가 많아 ‘농소마을’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또는 금강과 가깝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덧붙여 농소마을을 문 안쪽에 마을이 있다는 뜻의 ‘문안’, 그리고 농수를 사투리로 발음한...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에 속하는 마을. 농소마을의 옛 명칭은 ‘농막’이었다. 농소마을은 들 가운데 위치하였는데, 농사철에만 이용하였던 농소(農所)[농막(農幕)]가 많아 ‘농소마을’이라 불리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또는 금강과 가깝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덧붙여 농소마을을 문 안쪽에 마을이 있다는 뜻의 ‘문안’, 그리고 농수를 사투리로 발음한...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농산물의 재배와 품질 관리 활동. 전라북도 서북단에 자리 잡은 전라북도 익산시는 자연지리적으로 보면 한반도의 남서부에 있다. 한반도, 특히 남한의 서쪽은 평야지대가 많은데, 익산시는 그중에서도 거의 중앙부에 있다. 함라산 줄기가 서북부에서 남서쪽으로 이어져 구릉과 크고 작은 하천이 비옥한 평원을 이루고 있다. 북으로는 금강을...
-
전라북도 익산시 송학동에 있는 농촌진흥청 소속 공공기관. 농업과학 기술분야 연구 개발 성과의 신속한 영농 현장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설립하였다. 2009년 9월 7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수원에 설립하였다. 2010년 7월 5일 농림수산식품 분야 최초의 기술 거래기관·기술 평가기관으로 지정[농림축산식품부]되었다. 2012년 8월 1일 발명 평가 기관으로 지정[특허청]되...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에 속하는 마을. 천호산의 북쪽에 삿갓이 뒤집힌 형태[원추형(圓錐形)]로 생긴 천호동굴이 있는데, 비가 내리면 동굴 속으로 빗물이 흘러 들어갔다. 이를 ‘시어목’, 즉 ‘물이 새어 들어가는 목’이라 하였다. 이후 ‘시어목’을 한자로 표기해 ‘샐 누(漏)’, ‘목 항(項)’을 써서 누항(漏項)마을이라 불렀다. 누항마을이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