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669
한자 蔡龍臣
영어공식명칭 Chae Yongshin
이칭/별칭 대유(大有),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채동근(蔡東根)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인물/예술인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50년 2월 4일연표보기 - 채용신 출생
활동 시기/일시 1886년 - 채용신 무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888년 - 채용신 사과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90년 - 채용신 돌산진수군첨절제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891년 - 채용신 금부도사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893년 - 채용신 부산진수군첨절제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00년 - 채용신 칠곡도호부사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01년 - 채용신 고종 어진 모사
활동 시기/일시 1904년 - 채용신 정산군수 부임
활동 시기/일시 1905년 - 채용신 가선대부로 승진
활동 시기/일시 1906년 - 채용신 지금의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로 낙향
활동 시기/일시 1909년 - 채용신 지금의 익산시 금마면으로 옮이주하여 금마산방 운영
활동 시기/일시 1914년 - 채용신 『봉명사기』와 『석강실기』 편찬
활동 시기/일시 1923년 - 채용신 정읍 신태인으로 거처를 옮기고 채석강도화소 운영
몰년 시기/일시 1941년 6월 4일연표보기 - 채용신 사망
추모 시기/일시 1943년 - 서울 화신화랑에서 「고 석강 채용신씨 유작전」 개최
추모 시기/일시 2001년 -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분관에서 「석지 채용신전」 개최
추모 시기/일시 2011년 -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석지 채용신 붓으로 사람을 만나다」 개최
추모 시기/일시 2011년 - 원광대학교 승산기념관에서 「어진화가 석지 채용신 학술대회」 개최
출생지 삼청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거주|이주지 광암리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지도보기
거주|이주지 금마산방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지도보기 원촌마을
거주|이주지 채석강도화소 -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읍
묘소 평강채씨 선산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포전마을 지도보기
성격 관료|화가
성별
본관 평강(平康)
대표 경력 정산군수

[정의]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활동한 관료 출신 화가.

[개설]

채용신(蔡龍臣)[1850-1941]의 본관은 평강(平康)이고 자는 대유(大有), 호는 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이다. 어릴 적 이름은 채동근(蔡東根)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 채권영(蔡權永)이다.

[활동 사항]

채용신은 1850년(헌종 14)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태어났다. 1886년(고종 24) 무과에 급제하였다. 1890년 돌산진수군첨절제사, 1891년 금부도사, 1893년 부산진수군첨절제사 등을 역임하고 1895년 가을부터 전주 우북면 장암리[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에서 거주하였다.

채용신은 1900년 조선 태조와 영조 등의 어진를 모사하였고, 1901년에는 고종의 어진을 그렸다. 1904년 정산군수로 부임하였고 1905년 종2품 가선대부로 승진하였다. 1906년 관직에서 물러나 전주 우북면 장암리[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로 낙향하여 서화에 정진하였다. 1909년 금마면으로 거처를 옮기고 금마산방(金馬山房)을 운영하였다. 1923년에는 지금의 정읍시 신태인읍으로 이주하여 채석강도화소(蔡石江圖畵所)를 만들고 주문 제작 방식의 초상화 전문 공방을 운영하였다.

채용신은 전통 기법과 서양화법의 응용, 사진을 활용한 사실화 구현 등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였으며, 초상화 외에도 산수화·화조화·영모화 등 다양한 장르의 150점이 넘는 작품을 남겼다. 1941년 6월 4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채용신의 저서로는 1914년 어진 제작에 참여한 경위를 기록한 『봉명사기(奉命寫記)』와 문집인 『석강실기(石江實記)』가 있다. 작품으로는 「대한제국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1899], 「태조어진(太祖御眞)」[1900], 「숙종어진(肅宗御眞)」[1900], 「영조어진(英祖御眞)」[1900], 「정조어진(正祖御眞)」[1900], 「순조어진(純祖御眞)」[1900], 「익종어진(翼宗御眞)」[1900], 「헌종어진(憲宗御眞)」[1900], 「고종어진(高宗御眞)」[1901], 「최익현상」[1905], 「칠광도(七狂圖)」[1910], 「황현상」[1911], 「삼국지연의도(三國志演義圖) 10폭」[1912], 「평생도(平生圖)」[1914], 「춘우정 투강순절도」[1922] 등이 있다.

[묘소]

채용신의 묘소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포전마을의 평강채씨 선산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43년 서울 화신화랑에서 ‘고 석강 채용신씨 유작전’, 2001년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분관에서 ‘석지 채용신전’, 2011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석지 채용신 붓으로 사람을 만나다’, 2011년 전북도민일보사 주최로 ‘어진화가 석지 채용신 학술대회’ 등이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