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700 |
---|---|
한자 | 崔正均 |
영어공식명칭 | Choi Jeonggyun |
이칭/별칭 | 남정(南丁)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출생 시기/일시 | 1924년 4월 20일 - 최정균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56년 - 최정균 원광대학교 문학부 교학과 졸업 |
활동 시기/일시 | 1956년 - 최정균 원광중학교 교사로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965년 - 최정균 대한민국미술대전 서예부 문교부장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1971년 - 최정균 한국예술인총연합회 이리지부장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72년 - 최정균 원광고등학교 퇴직 |
활동 시기/일시 | 1974년 - 최정균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80년 - 최정균 한국문인화연구회 창립 |
활동 시기/일시 | 1981년 - 최정균 작품전 |
활동 시기/일시 | 1982년 - 최정균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87년 - 최정균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위원 역임 |
활동 시기/일시 | 1987년 - 최정균 국제예술문화교류협회 한국회장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89년 3월 1일 - 최정균 원광대학교 서예학과 창설 |
활동 시기/일시 | 1994년 - 최정균 원광대학교 퇴직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5년 - 최정균 추사서예대상 수상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96년 - 최정균 옥관문화훈장 수훈 |
몰년 시기/일시 | 2001년 10월 20일 - 최정균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2003년 10월 20일 - 최정균 추모비 건립 |
출생지 | 금평리 -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 |
학교|수학지 | 원광대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460[신동 272] |
묘소 | 금평리 -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 |
성격 | 서예가|문인화가|대학교수 |
성별 | 남 |
본관 | 전주(全州) |
대표 경력 | 원광대학교 서예학과 교수 |
[정의]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활동한 서예가이자 대학교수.
[개설]
최정균(崔正均)[1924~200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남정(南丁)이다. 원광대학교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예학과를 개설하여 서예와 문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활동 사항]
최정균은 1924년 4월 20일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에서 태어났다. 1956년 원광대학교 문학부 교학과를 졸업한 뒤 원광중학교 교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1972년까지 원광중학교와 원광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8년부터 1960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3회 입선하였다. 1960년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1903~1981]을 만나 스승으로 섬기며 15년간 서예를 배웠다. 1961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 6회 특선하였고, 제14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서는 문교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1969년부터 1984년까지 대한민국미술전람회와 대한민국미술대전의 추천작가 및 초대작가, 심사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81년 서울 백상기념관에서 작품전을 개최하였다.
최정균은 1989년 원광대학교에 서예학과를 만들고 문인화를 정식 교과과정으로 개설하였다. 1994년 원광대학교를 퇴직하였고, 고희 기념 『서예술논문집』이 봉정되었다. 1996년 원광대학교는 최정균에게 명예 문학박사 학위를 수여하였다. 우관 김종범, 아석 소병순, 근암 송병석, 남천 정연교, 현담 조수현, 효봉 여태명, 민이식, 이돈흥, 정태희 등이 최정균의 문하에서 공부한 서예가이다. 최정균은 2001년 10월 20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최정균의 저서로는 1994년 간행한 작품집 『정창여회(靜窓餘懷)』와 명사의 서화를 엄선한 『서화동원(書畵同源)』이 있다. 전라북도 부안군 서림공원에 있는 ‘매창시비(梅窓詩碑)’의 글씨를 썼다.
[묘소]
최정균의 묘소와 추모비는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 선영에 있다.
[상훈과 추모]
최정균은 1995년 추사서예대상을, 1996년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7년 예술의전당은 유족이 2006년 기증한 서화 대표작 82점을 ‘남정 최정균 유작 서화전-텅 빈 충만’이라는 주제로 서울서예박물관에서 전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