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1123 |
---|---|
한자 | 全北盲兒學校 |
영어공식명칭 | Jeonbuk School for the blind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서동로46길 41[석암동 358-25]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혜진 |
개교 시기/일시 | 1962년 4월 6일 - 전북맹아학교 개교 |
---|---|
이전 시기/일시 | 1971년 3월 27일 - 전북맹아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507번지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 105-10번지로 이전 |
이전 시기/일시 | 1993년 10월 - 전북맹아학교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 105-10번지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동 358-25번지로 이전 |
최초 설립지 | 전북맹아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22길 14-8[남중동 507] |
주소 변경 이력 | 전북맹아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중앙로29길 9-1[마동 105-10] |
주소 변경 이력 | 전북맹아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서동로46길 41[석암동 358-25] |
현 소재지 | 전북맹아학교 - 전라북도 익산시 서동로46길 41[석암동 358-25] |
성격 | 사립 특수학교 |
설립자 | 권태용 |
전화 | 063-833-2621[교무실]|063-835-0646[행정실] |
홈페이지 | http://jbb.sc.kr |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동에 있는 사립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목표는 ‘풍부한 정서와 강인한 체력을 기른다[건강한 학생], 창의적인 학습을 통해 실력을 기른다[실력 있는 학생], 장애를 극복하고 진로를 개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자주적인 학생]’이다. 교훈은 ‘근면·명랑·성실’이다
[변천]
전북맹아학교는 권태용 목사가 1951년 전라북도 익산시 상신동에 개원한 맹아학원에서 시작되었다. 1962년 4월 6일 6학급 규모의 전북맹아학교로 정식 인가를 받고 개교하였다. 전북맹아학교는 1971년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 507번지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 105-10번지로 이전하였다가, 1993년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동 358-25번지로 이전하였다. 1980년에 중학부, 2000년에 고등부, 2009년에 유치부가 설립인가되었다.
[교육 활동]
유·초·중·고·전공과 시각장애 특수학교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직업교육으로 ‘이료 직업교육, 중도 중복 장애 직업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색사업으로는 ‘시각장애 거점지원센터, 확대 핵심 교육과정[ECC, Expanded Core Curriculum]’을 운영하고 있다. ECC는 보조공학(補助工學), 점자, 일상생활 기술, 보행 기술, 감각 효율 기술 등 총 9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2시간씩 전교생을 분반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전북맹아학교의 교가[한정웅 작사, 김영수 작곡]는 다음과 같다.
금만경 넓은 벌판 기름진 터전/ 삼남의 빛나도다 우리의 학교/ 배산봉 우뚝 솟아 희망도 벅차/ 스승의 가르치심 우리의 피다/ 한두 자 밤낮으로 익히고 익혀/ 길이길이 빛내세 전북맹학교
전북맹아학교의 교목은 소나무이고, 교화는 매화이며, 교조는 까치이다.
[현황]
2019년 8월 기준 18학급에 78명의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전체 교원 수는 31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