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1274
한자 喪輿-
영어공식명칭 Song of Bier
이칭/별칭 「만가」,「향도가」,「상부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11년 1월 18일 - 「상여소리」 제보자 김석환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11년 1월 20일 - 「상여소리」 제보자 최규태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11년 3월 22일 - 「상여소리」 제보자 조상호에게 채록
채록 시기/일시 2011년 8월 19일 - 「상여소리」 제보자 전태인에게 채록
채록지 상조경로회관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상조길 33[남당리 661-3]지도보기
채록지 제보자 최규태 자택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 지도보기
채록지 제보자 조상호 자택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안정교동길 18[함열리 617-1] 교동마을지도보기
채록지 중왕마을회관 - 전라북도 익산시 은기동 지도보기
성격 장례의식요
기능 구분 장례의식요
형식 구분 선후창 형식
가창자/시연자 김석환|최규태|조상호|전태인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장례의식요.

[개설]

전라북도 익산시에서는 사람이 죽었을 때 죽은 이의 친지들은 죽음을 슬퍼하며 애도의 시간을 가지고 나서 죽은 이의 시신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여꾼들이 선창자의 가사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가 「상여소리」[「상엿소리」]이다. 「상여소리」는 과거에 장례 현장에서 많이 불렸던 노래로, 가사와 장단의 구성에서 강한 지역적 특이성을 띤다.

[채록/수집 상황]

전라북도 익산시에서는 「상여소리」가 2011년 1월 18일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 상조1마을의 제보자 김석환, 2011년 1월 20일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의 제보자 최규태, 2011년 3월 22일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교동마을의 제보자 조상호, 2011년 8월 19일 익산시 은기동 중왕마을의 제보자 전태인에게서 채록되었다. 「상여소리」의 가락과 노랫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채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상여소리」는 장례의식요로서 엄숙한 분위기에서 슬픔의 정한을 전하는데, 선소리꾼이 가사를 선창하면 상두꾼들이 후렴을 따라 부르는 선후창 형식으로 진행된다.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상엿소리」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가사와 장단이 다양하며, 특히 선소리꾼의 가창 능력에 따라 가사의 내용에 변화를 보인다. 익산 지역에서 채록된 「상여소리」의 가사는 죽은 이의 떠남을 아쉬워하고, 이승에서 이루지 못한 삶을 풀어 주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선소리꾼은 죽은 이가 되어 이승에서 못다 푼 한을 가사로 구성하여 살아 있는 사람에게 전하기도 한다.

[내용]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 상조1마을 「상여소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북망산천이 멀다더니/ 이제 가면은 언제 오나/ 오는 날이나 일러주요/ 청사초롱 불 밝혀라/ 잊었던 낭군이 다시 온다// 허어허허허야 허어허어허이.”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 「상여소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 어머니 불러본들 어느 누가 대답을 하나/ 어머니 간다고 서러 말고 형제지간에 우애하고/ 동기지간에 화목하며 어머니 생전에 보다 더 들 잘 살소//어허어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 이별 별(別) 자를 내었거든 사랑의 애(愛) 자를 내지를 말지// 어허어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야// 이별 별 자를 내었거든 사랑의 애 자를 내지를 말지// 에어허 어허헤 어나리 넝차 어허헤// [빨리 갈 때 부르는 소리라며 부르기 시작한다.] 어허 어헤 어허 어헤// 잘도 간다 잘도 간다 어허 어헤// 먼디 사람은 보기는 좋고/ 가까운디 사람은 보기나 좋게 어허 어헤// 요령 소리에 발맞추어 조근 조근이 잘도 간다// 어허 허헤 어허 허헤// [채록조사자가 상여를 매고 처음 나갈 때 시작하는 소리를 요청하자 다시 중중모리장단으로 부르기 시작한다.] 우혀 우혀 우혀 우혀 우혀 우혀// 허허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 가네 간다 나는 간다//정든 님 버리구서 나는 가네// 허허허허헤야 허허허허헤야// 안양이 계세요 안영히 계세요// 동네 어르신들 안영히 계세요// 어허허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 떴다 보아라 만학은 천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白沙地)로다// 어허허헤야 어허허헤야// 어허허 헤야 어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 산천 갑자 동방석이 산천 갑자를 사자고 했더니// 동풍 낙엽이 되얐더라// 어허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야// 이랬다가 도련님 가실 적에 어이 하여 나를 두고 어디를 가나// 어허허허헤야 어허어허헤야// 이별 없이 사자구[살자고] 했더니 오늘로서 이별이네// 어허허허헤야 어나리 넝차 어허헤야.”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교동마을 「상여소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루 가자 어 어 헤 어어허 헤// 이제 가시면 언제나 올까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어루 가자 어 어 헤 어어허 헤// 일산대는 어데다 두고 명정공포만 앞세웠느냐/ 이제 가면은 언제나 올까 오실 날이나 일러 주오// 어루 가자 어 어 헤 어어허 헤/”

전라북도 익산시 은기동 중왕마을 「상여소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네 가네 인제나 가면은 언제나 올까// 허어 허어어 어어헤// 가네 가네 나는 가네 인제 가면은 언제나 오나// 어 허허 어 허야 어나리 넘네 어헤// 어젯밤은 집이서 자고 오늘 밤은 어디 가 자나// 허허 허허 허어야 허나리 넘네 어허어// 잔디 이불 지붕 삼고 화초초령 수목들을 벗을 삼고 고향 삼네// 허어 허어 허어야 허나리 넘차 허어야// 간다 간다 나는 간다 인제나 가면 언제나 오나// 명년 요때 훈삼월이[춘삼월이] 꽃도 피고 잎도 피면 또 다시 오려니 될 것이다// 허어 허어 허어야 허나리 넘차 어허야// 명사십리 해당화야 네 꽃 진다고 서러[설워] 마라// 니 일생이 서럽다니 내 일생도 슬프구나// 허어 허어 허어야 허나리 넘차 허어야// 석가여래 공덕으로 아버님은 뼈를 빌고 어머님은 살을 빌어// 공수래 공수로 태어나서 어야 둥둥 인생 가네// 우지 마라 우지 마라 니가 무엇이 그리워 우느냐// [자손들이 서러워 울면서 상여를 못 가게 붙잡으면] 잡지 마라 잡지 마라 나 갈 길을 걸고[걷고] 간다// 아이고 아이고 우리 부모 이렇게 갈 줄을 나는 몰랐네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소리를 고만허고 니 맘속을 잘 먹어라// 우지 마라 우지 마라 인생 한 번 가는디는 어디 누가 막을쏘냐.”

[의의와 평가]

「상여소리」는 장례문화의 변화로 현대의 일상에서 차츰 사라져 가고 있지만, 현재까지도 「상여소리」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많다. 「상여소리」 또는 「상엿소리」는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널리 전승되어 온 노래이다. 즉,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가창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변형되지만, 전체적인 정서는 전국이 다 비슷하다. 이는 「상여소리」가 죽음이라는 인간의 공통된 운명에 관한 노래이기 때문일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