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투노래」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1297
한자 花鬪-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 방축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박세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2011년 1월 14일 - 「화투노래」 제보자 호순자에게 채록
채록지 방축마을회관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 방축마을 지도보기
성격 유희요
기능 구분 도구유희요
형식 구분 독창|달거리[월령체]
박자 구조 굿거리장단
가창자/시연자 호순자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에 전하여 오는 유희요.

[개설]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 방축마을에서 불리는 「화투노래」는 화투의 열두 패를 1년 열두 달에 비유하여 노래한 도구유희요이다. 화투에는 정월부터 섣달까지 각 달을 상징하는 열두 종류의 그림이 있다. 「화투노래」는 1년 열두 달이라는 시간의 흐름을 열두 종의 화투 그림에 투영하여 각 달의 특색과 부르는 이의 속마음을 재치있게 노래하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1년 1월 14일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 방축마을의 제보자 호순자에게서 채록된 「화투노래」의 가락과 노랫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구성 및 형식]

「화투노래」는 4음보를 기조로 하는 독창 형식의 굿거리장단 노래이다. 정월부터 섣달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각 달을 노래해 가는 달거리[월령체] 형식으로, 두 달이 서로 호응하며 하나의 문장 구조를 이룬다.

[내용]

방축마을 「화투노래」의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월 솔아 속 썩인 마음 이월 메주에 맺어나 볼까/ 삼월 사구라 사랑방에 사월 흑싸리 홀로 앉어/ 오월 난초 오는 나비 유월 목단에 날아든다/ 칠월 홍싸리 허리를 감고 팔월 공산에 달 밝은 밤/ 구월 국진 굳은 마음 시월 단풍에 다 떨어진다/ 오리 동동추야 달이 밝어 저절씨구나 잘 넘어간다/ 공산 삼십을 때리고 나니 개평꾼만 달려들고/ 사구라를 때리고 나니 삼포 갈 일만 남았구나.”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화투놀이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19세기 말 혹은 20세기 초에 일본을 통해 우리나라에 전해졌다고 보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유입된 이후에는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놀이의 종류도 다양해졌는데, 이 과정에서 「화투노래」 또는 「화투타령」과 같은 민요가 여러 지역에서 유행하였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도 비슷한 과정을 통해 「화투노래」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화투놀이는 일본적 색채와 도박적 성격 때문에 사회적으로 비판을 받기도 하였으나,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어서 오늘날에도 대중이 애호하는 놀이로 자리 잡고 있다.

[의의와 평가]

「화투노래」는 새로 유입된 외래문화와 달거리라고 하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노래 형식이 결합하여 근대 시기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중적인 민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