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0471
한자 深谷寺大雄殿
영어공식명칭 Daeungjeon Hall of Simgok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유적/건물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장암길 113[낭산리 176]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선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819년연표보기 - 심곡사대웅전 건립
이전 시기/일시 19세기 전반 - 심곡사대웅전 이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4월 1일연표보기 - 심곡사대웅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7호 지정
개축|증축 시기/일시 1985년~1986년 - 심곡사대웅전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심곡사대웅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현 소재지 심곡사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장암길 113[낭산리 176]지도보기
성격 불전
양식 이익공계 팔작집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심곡사
문화재 지정 번호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심곡사에 있는 불전.

[개설]

심곡사대웅전(深谷寺大雄殿)심곡사의 중심 불전이며, 불전 내부에 심곡사 목조삼존불좌상[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52호]을 봉안하고 있다. 심곡사대웅전은 1984년 4월 1일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위치]

심곡사대웅전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176에 있다. 금마면 소재지에서 미륵산용화산 사이에 있는 아리랑로를 따라 낭산 방면으로 가다 보면 왼쪽에 장암마을이 있다. 장암마을로 진입하여 산길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미륵산 중턱에 심곡사가 있다.

[변천]

심곡사는 통일신라 문성왕(文聖王)[재위 839~856] 때 무염대사(無染大師)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뒷받침할 만한 유물이나 기록이 없어 신빙성이 떨어진다.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심곡사에 대한 기록이 보이는데 ‘신증’이란 표기가 없음을 볼 때 1486년(성종 17) 이전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문신 박태한(朴泰漢)이 1693년 심곡사에 들러 읊은 시가 『박정자유고(朴正字遺稿)』에 수록되어 있어 당시까지 절이 존재하였음을 알려 준다. 그러나 1799년(정조 23)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는 폐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18세기 후반에 폐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후 19세기 초반에 승려 허주(虛舟)에 의하여 200m 정도 떨어진 현재의 위치에 다시 중창되었다. 심곡사대웅전은 1819년(순조 19) 건립하였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었다.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옛 건물을 허물고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로 확장 중건하였다.

[형태]

심곡사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건물이었으나 1985년부터 1986년에 걸쳐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새로 지었다. 축대를 높게 조성한 후 잘 다듬은 장대석을 사용하여 기단을 설치하였으며 기단 위에 원형 주춧돌을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공포는 1출목 이익공 형식이다.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팔(八) 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며, 처마는 서까래와 부연을 사용한 겹처마이다.

[현황]

심곡사에는 대웅전을 비롯아여 명부전, 보제루, 삼성각, 범종각, 요사채 등 여러 건물들이 있는데 명부전을 제외하고 대부분 신축한 건물이다. 대웅전 앞마당에는 심곡사 칠층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92호]이 서 있다. 대웅전 아래 경사지에는 정정렬 명창을 기리기 위해 2012년 떡목공연장을 건립하여 매년 떡목음악회를 진행하고 있으며, 방문객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달나찻집을 운영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심곡사대웅전은 1984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87호로 지정된 이후 건물을 다시 지으면서 옛 기법을 잃어 버려, 문화재 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