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0575
한자 鏡浦全鰒粥
영어공식명칭 Gyeongpo abalone gruel
영어음역 Gyeongpo jeonbokjuk
영어의미역 rice porridge with abalone of Gyeongpo
이칭/별칭 삼복전복죽(蔘鰒全鰒粥),생복전복죽(生鰒全鰒粥)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강원도 강릉시
집필자 황재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재료 전복|쌀|무|다시마|땅콩|통잣|깨소금|참기름|소금|간장|마늘
계절 가을

[정의]

전복을 참기름으로 볶다가 불린 쌀, 전복 내장을 넣고 물을 부어 쑨 죽.

[만드는 법]

먼저 전복의 창자를 떼 내어 깨끗하게 씻어 놓는다. 전복 내장을 잘게 다진 다음 물에 불린 쌀에 넣고 푸르스름한 색깔이 날 때까지 바락바락 주물러 준다. 냄비에 다시마와 무를 넣고 삶아 육수를 만든다. 전복 살은 잘게 썰어 참기름을 두른 냄비에서 볶다가 쌀을 넣고 같이 볶으면서 불을 줄인다. 여기에 다시 물과 쌀 씻은 물을 넉넉하게 부어 잘 저은 후 푹 끓인다. 이때 물은 쌀의 5~6배 정도를 넣는다. 충분히 끓으면 땅콩가루를 넣어 다시 한 번 저어 준다. 걸쭉하게 풀어진 죽에 통잣, 곱게 간 땅콩가루, 굵은 소금을 넣어 맛을 낸다.

[역사적 관련사항]

중국의 진시황이 유능한 동자(총각)들에게 전래되는 불로장수 식품을 찾아오도록 했다고 한다. 그 중 서복(徐福)이라는 동자는 멀리 우리나라의 봉래섬[제주도의 옛 이름]까지 와서 전복을 따서 진상을 했다고 한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전복을 일명 천리광(千里光)이라 하고 껍질에 구멍이 아홉 있는 것을 석결명(石決明)이라 하여 눈을 밝히는 약이요, 삶은 것은 숙복(熟鰒)이다.’라 하고 있다.

[용도]

경포전복죽은 주로 관광객들이 조식으로 많이 먹고 있으며 환자식, 노약자식, 이유식 등으로 쓰인다.

[효능]

전복은 지방질이 아주 적고 단백질이 많기 때문에 당뇨병, 고혈압 등 성인병에 매우 좋으며 특히 노약자나 허약한 사람에게 영양 보충과 원기 회복 식품으로 우수하다. 또한 아르기닌(arginine)이라는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몸에 좋다고 한다.

[현황]

전복은 강릉 지역의 동해안에서 많이 잡히며 길이가 10~20㎝ 미만이라고 한다. 전복의 암컷은 진한 녹색을 띠고 수컷은 노란색을 띠는데 산란기에 그 색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난다. 전복은 생식용으로 쓸 때는 진한 녹색을 띠는 암컷이 좋고 찜, 조림에는 노란색을 띠는 수컷이 좋다.

경포전복죽에 쓰이는 전복은 경포 바닷가 부근에서 많이 잡히고 있다. 강릉 지역에서 전복죽을 쑬 때 특징적인 것은 반드시 내장을 다져서 충분히 치대어 넣고 푸르스름하게 죽을 끓이는 것이다. 또한 전복죽에 들어가는 재료가 다른 지역과 약간 다르며 담백한 맛이 일품이다. 강릉 지역에서 채취하는 전복은 양식과 자연산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양식은 사철 생산되므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자연산은 생산량이 적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