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목발노래-산타령」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501285
한자 益山木-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전라북도 익산시|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회선길 80-15[대선리 173-1] 회선마을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정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3년 6월 30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지정
문화재 해지 일시 2005년 6월 12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지정 해지
채록 시기/일시 2011년 8월 25일 - 「익산목발노래-산타령」 채록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4월 27일 -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재지정
채록지 제보자 이증수 자택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회선길 80-15[대선리 173-1] 회선마을지도보기
성격 민요
형식 구분 선후창
박자 구조 진양조장단
가창자/시연자 이증수

[정의]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일대에 전하여 오는 민요.

[개설]

「익산목발노래-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두 번째 노래이다. 노동 현장을 묘사하며 인생사의 회한을 토로하는 내용이기에 느린 진양조장단에 맞춰 구성지게 부르고, 노래를 마치면 풍물을 치고 다음 노래인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로 넘어간다.

1973년 6월 30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익산목발노래」는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총 여섯 편의 민요를 모아 하나의 구성으로 묶은 것이다. 지게를 지고 나무하러 오갈 때 장단에 맞춰 작대기로 지겟다리를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익산목발노래」는 보유자 박갑근의 사망 후 2005년 지정 해지되었으며, 2009년에 익산목발노래보존회가 결성되어 2012년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익산목발노래」는 보유자 박갑근이 구성한 6편으로만 구성돼 있지만, 조사자나 지역에 따라 5편으로 구성되거나 9편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채록/수집 상황]

김익두가 조사한 노랫말은 『한국민속문학사전』의 「익산목발노래」 항목 중에 「산타령·긴육자배기」라는 이름으로 실려 있다.

[구성 및 형식]

「익산목발노래-산타령」은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이다. 긴육자배기 가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창자가 사설을 길게 부르면 후창자들이 “거나아 헤” 부분을 제창으로 부르는 선후창 형식이다. 선창자의 능력에 따라 가사의 내용은 유동적인데, 산과 들에서 일을 하면서 인생사의 회한을 노래 가사에 얹어서 풀고 있다. 「익산목발노래-산타령」「익산목발노래」 구성에서 맨 처음에 배치되어 있다.

[내용]

김익두가 채록한 「산타령·긴육자배기」의 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사램이 살며는 몇 백 년이나 사더란 말이/ 죽어 무덤으 들어 남녀노소 있나/ 살어서 각기 맘 대루만 놀아 볼// 거나나 헤-// 낮에는 나무허고 밤이면 밤마다 새끼 꼬기/ 주야 장철 일만 허네/ 청산아 너는 어이 말이 없을// 거나아 헤.”

[의의와 평가]

「익산목발노래-산타령」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 「익산목발노래」 중 한 편이다. 「익산목발노래-산타령」를 비롯한 「익산목발노래」는 계승·보존에 어려움을 겪던 기존 전승민요들을 하나로 묶어 근현대적으로 편집한 민요군으로, 전통적인 옛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살리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