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이 가지고 있는 정신적 육체적 활동을 통해 그림·모양·빛깔·소리·글·표정·인형 등으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한 총칭으로 세분하여 화가, 조각가, 공예가, 음악가, 시인, 소설가, 수필가, 사진가, 무용가, 국악인, 연극인 등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예향(藝鄕)’이라 불린 강릉 지방에는 예로부터 많은 시인묵객이 찾았고, 그들이 남긴 작품도 많다. 시인묵객들...
문학인
-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시인. 구영주의 본적은 충청남도 서천군이며 출생지는 서울 정릉이지만, 강릉을 중심으로 활동한 시인이다. 1944년 1월 28일 아버지 구병시(丘秉時)와 어머니 유영애(劉永愛)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 군산여자고등학교를 거쳐 1965년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그 뒤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다....
-
「강릉관노가면극」의 보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강원도 강릉시 유천동 출신으로 1993년 8월 2일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김동하와 차형원 보유자의 뒤를 이은 인물이다. 본래 강릉시 유천동농악대 상쇠로 활동하다가 1983년 강릉문화원 조기현 원장의 권유로 「강릉관노가면극」을 맡아서 활동하였다. 강릉단오제 때 「강릉관노가면극」을 공연하여 널리...
-
강원도 강릉 지역에서 아동 문학에 헌신하고, 아동 문학 단체의 발전에 생애를 바친 문인. 김교현(金敎鉉)[1945~2002]은 춘천 고등학교, 춘천 교육 대학을 나와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강원도 영동 지역, 특히 강릉에 기거하면서 주로 활동을 하였는데, 활동한 아동 문학 단체는 초등 교사들로 이루어진 조약돌 아동 문학회와 솔바람 동요 문학회이다. 김교현은...
-
강원도 강릉 출신의 시인. 김동명의 아버지는 김제옥(金濟玉)이며, 어머니는 신석우(申錫禺)이다. 1900년 6월 4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하노동리 5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원산으로 이주하였다가 1947년에 홀로 월남하였다. 1968년 1월 21일 세상을 떠났으며, 호는 초허(超虛)이다. 1925년 일본에 유학을 가서 낮에는 도쿄...
-
「강릉관노가면극」의 기예능보유자. 「강릉관노가면극」은 1967년 1월 16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된 강릉 단오제의 일환으로 연희되는 가면극이다. 김동하의 아버지는 김규옥, 어머니는 김씨, 부인은 최원주이다. 강릉시 용강동 28번지에서 살았다. 김동하는 21세 때 「관노가면극」을 보았다고 진술하였다. 김동하와 차형원(車亨元)은 「관노가면극...
-
강릉의 초당두부 제조 및 보급에 앞장선 인물. 고(故) 김상흔은 1979년 강릉초당두부점을 개업하여 부인인 박응순과 함께 약 20여 년 간 수공업 방식으로 두부를 제조했으며 직접 만든 두부로 음식을 만들어 판매하는 음식점을 운영하면서 강릉에 초당두부의 보급 원조가 되었다. 초기에는 2평 남짓한 식당에서 소규모로 시작하였으며 점차 소문이 나고 자동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식당...
-
강릉단오제의 기예능보유자 강릉동진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 강원도 정선군 동면 면장 등 공직생활을 하였다. 1958년은 강릉향교 전교에 피선되고 강릉 경찰행정고문위원에 피선되는 등 사회활동을 했으며, 1965년에서 1967년까지 성균관 전교와 고문으로 피선되어 유교와도 인연이 있었다. 강릉단오제의 제관은 지방 수령이 담당하던 것인 만큼 지방...
-
강릉농악 기예능보유자. 1989년 12월 1일 강릉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라호] 부쇠의 기능으로 기예능보유자가 되었고 이후 사천 하평답교농악의 상쇠가 되어 활동하다가 2003년 7월 6일 사망하였다.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하평리에 거주한 김용현은 15세 때부터 하평마을 농악대에서 끝상모로 시작하여 꽹과리를 배우고 50년이 넘게 농악대원으로 활동하면서 농악의...
-
강릉 출신의 시인. 1937년 1월 4일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에서 출생하였다.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방송통신대학을 졸업했다. 초등학교 교감을 거친 후 평창군 호명초등학교 교장과 강릉교육지원청 장학사를 역임했다. 1962년 『한국일보』신춘문예에 「아기와 바람」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1974년 『현대시학』으로 시단에 데뷔하였다. 강릉 경포호수 주변에 그의...
-
강릉 출신의 시인. 김유진은 1926년 강릉시 구정면에서 출생하여 강릉 지역 문단에서 활동한 시인이다.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1958년 1월에 창립된 관동문학 회장을 비롯하여 1980년 초기 엄창섭, 구영주 시인의 권유로 『해안문학』[동인지]의 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강릉중앙초등학교 교장, 고성군교육장과 한국예술문화단체 총연합회 강릉지부장을 역임하였다....
-
강원도 강릉 출신의 시조 시인이자 서예가. 교육자이면서 서예와 시조 발전에 생애를 바친 작가로 시조의 발전에 남다른 열정을 갖고 힘써 지역 문학사에 자취를 남겼다. 김좌기(金佐起)[1926~2004]는 강릉 농업 고등학교, 성균관 대학교 유학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직에 종사하면서 1989년 『시조 문학』에 시조 부문으로 문단에 등단하였고, 또한 서...
-
「강릉학산오독떼기」의 예능보유자. 1925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서 출생하여 어려서부터 마을의 소리꾼 황석관 옹에게서 「오독떼기」 소리를 배웠다. 1945년에서 1980년에 이르는 동안 농사철에 따라 들에서 농사일을 하며 「오독떼기」를 불렀다. 1985년에서 1995년에 걸쳐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 10회 출연하였다. 1988년에 「학산오독떼기」 보유자로 선정되었으며...
-
강릉 출신의 시인. 1908년 강원도 강릉시 임당동에서 출생하여 1978년 12월 17일 작고하였다. 호는 야청(也靑)이다. 일본으로 건너가 1928년 니혼대학(日本大學) 문과대학을 졸업하였다. 귀국 후 일제 강점 하에서 『조선일보(朝鮮日報)』, 『조선중앙일보』, 『동아일보』 기자를 역임하고, 광복 후 『독립신문』 창간위원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평화신문』...
-
일제강점기 강릉에서 활동했던 서예가. 자는 일원. 호는 강재, 강옹, 차강. 차강으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관향은 강릉이고 삼사공파의 33세손이다. 박기정은 경상북도 성주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6세부터 이미 마을에서 신동이라 불렸다. 12살 때 경상우도에서 이름 높은 진주향교의 집필사(執筆士)로 발탁될 만큼 서예의 자질이 뛰어났다. 우연히 강릉 선교장에 놀러...
-
국가 무형 문화재인 강릉 농악의 예능 보유자. 박기하는 1920년 강릉에서 태어났으며, 강릉 농악의 상쇠로서 강릉 농악의 전승·보급에 노력하고 있으며, 후계자 양성에도 노력하여 강릉 농악 예능보유자로 인정·예고된 정희철 등 제자들을 키워냈다. 강릉시 6개동(洞) 농악대와 초·중·고 10개교 농악대를 출장·지도하고 있으며, 매년 어린이 농악 경연 대회를 개최하고...
-
강원도 강릉 출신의 국가 무형 문화재 제13호 강릉 단오제 무가 부문 예능 보유자. 본관은 밀양(密陽). 강원도 강릉 출신으로 첫 예능 보유자였던 장재인(張在仁) 무녀가 사망한 뒤에 그 자리를 계승한 무당이다. 강릉 단오굿에서 「대관령 서낭 축원가」를 비롯하여 부정굿·서낭굿 등 열두거리를 잘 불렀다. 온화한 성품으로 후배들과 함께 며칠 동안 계속되는 강릉 단오굿을 잘 이...
-
강원도 강릉에서 문단 활동을 한 수필가. 박종철(朴鍾徹)[1940~2020]은 삼척에서 태어나 성장기를 보냈으며,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학과를 수료했다. 1969년 삼척권 문인들로 주축이 된 두타문학회 발기 회원으로 참여하면서 삼척권에서 문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1991년 월간 『수필 문학』에 「남한산성 가는 길」이 당선되면서 수필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92년 강...
-
종가집의 음식을 보급 및 전수하여 강릉의 음식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 1920년 성삼문(成三問)을 배출한 창녕 성씨 집안의 셋째 딸로 태어나 1940년 전주 이씨 효령 대군의 후손이며 선교장 종손인 이기재(李起載)와 결혼하여 3남 2녀를 두었다. 성기희는 전주 이씨 완풍종가인 강릉 선교장의 14대 종부로 강릉의 음식 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경기 여자 고등학교를 졸업...
-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시, 드라마, 영화, 희곡 등 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펼친 작가. 대하 드라마 「조선왕조 500년」으로 널리 알려진 신봉승(辛奉承)[1933~2016]은 시인으로 출발해 문학 평론가, 라디오 및 TV 드라마 작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 역사 에세이스트, 대중가요 작사가, 희곡 작가 등 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펼친 전방위...
-
국가 무형 문화재 제13호 강릉 단오제 굿 부문 예능 보유자. 삼척에서 출생하였지만 강릉으로 이사와 살면서 강릉 단오굿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세습무로 일가를 이루어 현재 남동생 신동해(申東海)[악사], 아들 김명익[악사]·김명광[악사]·김명대[악사], 며느리 빈순애(賓順愛)[세습무], 외손주 박현수, 외조카 김장길 등이 대를 이어 단오굿을 계승하고 있다....
-
강릉 출신의 민족 시인. 심연수는 1918년 5월 20일 강릉시 경포면 난곡리 399번지에서 삼척심씨 심운택과 최정배 씨 사이에서 5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25년 3월경 가족과 함께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였다. 1945년 8월 8일 영안현에서 용정으로 귀환하던 중 왕창현 춘양진에서 일제 앞잡이에 의해 피살되었다. 2000년 7월 중국 용정시 길흥8...
-
일제강점기에 강원도 강릉시에서 주로 활동한 서예가. 1888년 12월 7일 강원도 동해시 북평동 단곡에서 태어나고 성장하였으나 강릉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자는 시택(時澤), 호는 계남(桂南)이다. 고려 말 예의판서, 집현전 대제학을 지낸 심동로(沈東老)의 18대손이며, 명주군왕의 후손인 강릉 김병익의 외손이다. 어려서 백부인 심진하 아래에서 수학했고, 15세부터 20세까지 5년간...
-
강릉 출신의 아동문학가. 엄성기는 1940년 강릉 출생으로 1959년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했다. 1970년 『월간문학』에 동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으며, 1987년 제9회 아동문학작가상을 수상하였다. 조약돌아동문학회, 한국문인협회, 관동문학회, 강릉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초등 교직에 몸담았다. 1959년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초등학교 교직에 종사하...
-
강원도 강릉에서 활동한 문학가이자 언론인. 지역 특유의 모습을 묘사하여 지역의 특색을 살리고 시골의 분위기에 알맞은 시어를 사용하였으며, 작품의 형식면과 수사의 기법은 7·5조의 탄력적 운용, 의인법, 반복법, 문답법, 의성 의태법 등을 활발하게 사용한 작가였다. 염근수(廉根壽)[1907~2003]는 1921년 양정 고등 보통학교 2학년 때 『동아일보』에 동시...
-
강원도 원주시 문막 출신으로 강릉에서 활동한 시인. 시인 원영동(元永東)[1930~2003]은 강릉 사범 병설 중학교와 강릉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폭넓은 문단 활동을 펼쳤고, 많은 후배 문인들을 길러냈다. 이산(耳山), 다호(茶戶), 흰돌 등의 호를 썼다. 1960년 『자유 문학』에 김용호, 김광섭, 신석정의 추천으로 「눈의 작업」을 발표하면서 등단한 원영동은 황금찬...
-
강릉에서 교사로 재직하며 문학 활동을 펼치고, 많은 문인 제자들을 길러낸 시인. 윤명[1926~2015]은 등단 초기를 제외하고는 작품 활동을 활발히 하지 않았으나 강릉에서 교사로 근무하며 많은 문인 제자들을 길러냈다. 평양 출생으로 동국 대학교 문리대 국문과를 졸업했고, 1958년 『자유문학』에 「흑인상(黑人像)」, 「산가모경(山家暮景)」, 「밤바...
-
강릉 출신으로 1970~80년대에 강릉과 서울에서 활동한 시인. 강릉 사범 학교[7기]와 고려 대학교 교육 대학원을 수료한 시인 이영섭[1937~1988]은, 평생을 교육계에서 보내며 고향의 가치와 진면목을 드러내는 시들을 남겼다. 강릉 사범 학교 재학 시절, 교사였던 시인 황금찬, 최인희, 윤명, 원영동 등의 영향을 받았다. 강릉 사범 학교 동기로...
-
강릉 갈골 과줄의 전통 제조 기술을 전수하고 보급한 사람. 한국식 전통 과자인 과줄은 예로부터 궁중 음식에 사용하는 고급스런 과자로서 일반 서민들은 명절이나 잔칫날이 아니고서는 맛볼 수 없는 귀한 음식이었다. 달짝지근한 조청과 포동포동한 밥풀이 혀 끝에서 녹아드는 맛으로 간식거리가 별로 없었던 옛날에는 과자 중에서도 상품(上品) 대접을 받았다. 또한 부스스 밥풀이 불어나듯 집안의...
-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성장한 시인. 시인 이인수(李仁秀)[1928~2003]는 화천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성장했다. 황금찬, 함혜련, 최인희, 김유진 등과 함께 강릉 현대시단의 출발이라 할수 있는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했다. 이인수는 강릉 농업 고등학교[현 강릉 중앙 고등학교]와 국학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강릉 농업 고등학교에서 발간한 문예지...
-
강원도 강릉을 포함한 영동 지역에서 활동한 아동 문학가. 장영철(張榮喆)[1947~2006]은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에서 태어나 삼척 공업 고등학교, 강릉 교육 대학 부설 교원 양성소, 한국 통신 대학교 초등 교육과를 졸업하였다.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문학 활동을 왕성하게 하였는데, 1987년에 첫 작품 「산골에서 온 아이」와 「가게 앞을 지날 때」를 『솔...
-
강원도 강릉에서 활동한 시조 시인이자 교육자. 민족 고유의 전통 문학 장르인 시조 발표 이후 시, 시조, 수필, 동화, 평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에서 작품 활동을 전개하였다. 현대 시조 시인으로 순수 문학을 지향한 정태모(鄭泰謨)[1927~2010]는 1949년부터 1988년까지 40여 년간 초등학교 교사로서 현직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평창 초등학교 교장으로 정년을...
-
강원도 강릉 출신의 현대 시인. 최명길(崔明吉)[1940~2014]은 1940년 강릉에서 태어나 강릉 사범 고등학교를 거쳐 경희 대학교 교육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교직에서 후학들을 지도하면서 문학 활동도 왕성하게 하였는데, 1975년 『현대 문학』에 「해성에 서서」·「은유의 숲」 등의 추천 등의 추천으로 문단에 등단하였다. 퇴직한 다음 속초에서 물소리 시낭송...
-
강원도 강릉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1926년 강원도 삼척에서 출생하였다. 대구대륜중학교를 졸업하였고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오대산에서 한문과 불경 등을 수학하였다. 강릉여자고등학교, 강릉사범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교사 등을 지냈다.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문예』지를 통해 등단했다. 중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1958년 8월 31일...
-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성장하고 활동한 시인. 시인 함혜련(咸惠蓮)[1931~2005]은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성장하고 강릉 사범 학교를 졸업했다.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하며, 현대 강릉 시단의 초석을 놓았다. 함혜련은 1951년부터 1952년까지 황금찬, 최인희, 이인수, 김유진 등과 함께 현대 강릉 시단의 출발인 '청포도' 동인으로 활...
기·예능 보유자
-
강릉단오제 굿 부문 최초의 예능보유자. 장재인(張在仁)은 1967년 1월 16일 강릉단오제가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면서 굿 부문 예능보유자로 선정되었다. 일명 장대연이라고도 하는데, 구술했던 무가는 전해지지 않는다. 강릉단오굿의 최초 보유자로서 단오굿을 비롯하여 동해안 지역에서 평생토록 무속활동을 했던 무녀이다....
-
「강릉학산오독떼기」의 예능보유자.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서 출생하여 평생 농사를 지으며 들에서 「오독떼기」 소리꾼으로 살았던 인물이다. 1988년 5월 18일 「강릉학산오독떼기」가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면서 조원, 동기달, 김철기와 함께 최초의 예능보유자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1989년 12월 15일 학산리 602번지 자택에서 사망함으로써 보유자 인...
-
「강릉학산오독떼기」의 보유자 후보. 조규은(曺圭殷)은 1971년 강릉방송국 초청 「학산농요」 녹음 작업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강릉학산오독떼기」의 공연 활동을 100여 회 이상 펼쳤다. 1979년부터 매년 강릉단오제의 향토민요경창대회에 출연하여 6회 1등상을 받았다. 1993년 12월 23일 정완화, 구기오와 함께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5호 「강릉학산오독떼기...
-
「강릉관노가면극」 기예능보유자. 「강릉관노가면극」의 연희자로 1967년 1월 16일 국가지정무형문화재 기예능보유자로 인정을 받았다. 부친은 차인실(車仁實) 모친 배씨의 아들로 강릉시 성남동 132번지에 거주하였다. 1967년 강릉단오제가 국가지정무형문화재 13호로 지정되어 「강릉관노가면극」의 전승기반이 마련되었으나 차형원은 1968년 부산으로 이주한 관계로 전...
-
강릉농악의 사천하평답교농악대 회장을 지낸 인물. 천순경(千順卿)은 1935년 11월 18일 사천진리 30번지에서 출생하였으며 운양초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85년 강릉농악이 중요무형문화재 제11-라호로 지정되면서 1985년부터 2000년까지 사천하평답교농악대의 회장을 맡았다. 또한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 및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7회 출연하였다. 천순...
-
「강릉학산오독떼기」의 예능보유자. 최찬덕(崔燦德)은 1923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575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마을의 소리꾼 황석관 옹에게서 「오독떼기」 소리를 배웠다. 1945년부터 1980년까지 농사철에 들에서 농사일을 하며 「오독떼기」를 불렀다. 1985년부터 1995년까지 매년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였다. 1991년 5월 2일 「강릉학...
-
학산농요보존회의 초대 회장 및 교육자. 황근각은 1921년 3월 7일 강릉시 구정면 금평로 42-33[명주군 구정면 학산리 751번지]에서 태어났다. 강릉공립농업학교에서 2년을 마치고 중퇴하였다. 그 후 강원도 시행 국민학교 준교사 자격검정시험에 합격하여 1945년부터 구정국민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시작하였다. 1952년 경포국민학교 교장을 거친 후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