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486
한자 聯芳錄
영어공식명칭 Yeonbangnok
이칭/별칭 진주 형씨 연방록(晋州 邢氏 聯芳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정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간행 시기/일시 1853년연표보기 - 『연방록』형진춘이 간행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소장처 전남 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동 300
성격 전적
저자 형사보(邢士保)
간행자 형진춘(邢震春)
권책 3권 2책
행자 10행 20자
규격 반곽(半郭) 23.8×16.3㎝|광곽(匡廓) 33.1×21.4㎝|사주 단변(四周單邊)
어미 상하 내향 삼엽화문 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
권수제 연방록(聯芳錄)
판심제 진주 형씨 연방록(晋州邢氏聯芳錄)

[정의]

조선 후기에 형진춘이 진주 형씨 선현의 행적을 모아서 엮어 간행한 책.

[개설]

『연방록(聯芳錄)』은 형진춘(邢震春)이 진주 형씨 선현의 행적들을 실기 형태로 엮어 1853년에 간행한 책이다.

[저자]

형진춘은 진주 형씨(晋州邢氏)의 후손으로, 『연방록』의 편찬 및 간행자다.

[편찬/간행 경위]

극재(克齋) 형종하(邢宗夏)가 처음으로 진주 형씨 선현이 행적과 남긴 글을 모아서 실기 형태로 간행하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별세하였다. 이후 극재공의 유훈에 따라 형진춘이 1853년에 목활자본(木活字本)으로 간행하였다.

[형태/서지]

3권 2책의 목활자본으로, 규격은 반곽(半郭)이 23.8×16.3㎝이고, 광곽(匡廓)은 33.1×21.4㎝이다. 사주 단변(四周單邊)[지면의 네 둘레를 하나의 선으로 돌림]에 어미는 상하 내향 삼엽화문 어미(上下內向三葉花紋魚尾)[물고기 꼬리 모양의 검은 2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며, 어미 부분에 3개의 화문이 있는 형태]이다. 권수제(卷首題)[본문 앞에 나오는 제목]는 ‘연방록(聯芳錄)’이며, 판심제(版心題)[책장의 가운데 접힌 곳인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는 ‘진주형씨연방록(晋州邢氏聯芳錄)’이다. 각 면은 10행 20자로 되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 전남 대학교 도서관 등에 원본이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서문(序文)은 1850년 송래희(宋來熙)가 쓴 것과, 1852년 홍직필(洪直弼)이 쓴 것이 있다. 1권에서 3권까지의 본문은 진주 형씨 문중의 여러 인물에 대한 행적을 시대별로 모아서 엮었다. 1권에는 지지당 선생 행적(止止堂先生行蹟)[邢士保[1482~?]], 도곡공 행적(道谷公行蹟)[邢世英], 경암공 행적송(敬菴公行蹟松)[邢龍城], 송촌공 행적(松村公行蹟)[邢凓], 백촌공 행적(栢村公行蹟)[邢潔], 제안재공 행적(濟安齋公行蹟)[邢璉], 우락당공 행적(憂樂堂公行蹟), 효은공 행적(孝隱公行蹟), 극재공 행적(克齋公行蹟), 영모당공 행적(永慕堂公行蹟)이 수록되어 있다. 2권에는 지지당 선생 실기(止止堂先生實記)[邢士保], 도곡공 실기(道谷公實記)[邢世英], 경암공 실기(敬菴公實記)[邢龍城]가 수록되어 있다. 3권에는 송촌공 실기(松村公實記)[邢凓], 백촌공 실기(栢村公實記)[邢潔], 제안재 실기(濟安齋實記)[邢璉[1624~1657]], 효은공 실기(孝隱公實記)[邢世績], 극재공 실기(克齋公實記)[邢宗夏[1712~1787]], 영모당 실기(永慕堂實記)[邢國胤[1777~1835]]가 각각 수록되어 있다. 발문(跋文)은 1853년 후손 형석원(邢錫元)과 1852년 후손 형진춘이 모의재(慕義齋)에서 쓴 것이 있다.

[의의와 평가]

『연방록』은 진주 형씨 문중 인물의 행적과 시문 등을 한 권으로 엮은 책으로, 진주 형씨의 역사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