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고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0633
한자 黃皐集
영어공식명칭 Hwanggojip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2]|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8]|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산60-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상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45년연표보기 - 『황고집』 초간본 간행
현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산60-1
현 소장처 한국학 중앙 연구원 도서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490-8
현 소장처 계명 대학교 도서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신당동 1000-2]
성격 문집
작가 신수이(愼守彛)

[정의]

1845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출신 문인 신수이의 문집.

[개설]

『황고집』신수이(愼守彛)[1688~1768]의 증손 신필우(愼必祐)가 유고를 수집하였고 홍직필(洪直弼)이 편차하여 1845년에 간행되었다.

『황고집』의 저자 신수이의 자는 군서(君叙), 호는 취한당(就閒堂)·황고(黃皐),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현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上川里)에서 태어났다. 도암(陶菴) 이재(李縡)에게 수학하였다. 학문과 효행으로 조정에서 쌀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1749년 동몽교관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767년 통정대부에 올랐고 첨지중추부사에 제수되었다. 1768년 자인 현감(慈仁縣監)에 임명되었다. 1808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 구연 서원(龜淵書院)에 배향되었으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형태 및 구성]

『황고집』은 8권 3책의 목판본으로, 반곽은 20.2×14.2㎝이고 광곽은 29.2×18.8㎝이다. 사주 단변(四周單邊)이고, 상 이엽 화문 어미(上二葉花紋魚尾)이다. 각 면 10행 20자이며 경계선이 있다. 표제와 판심제 모두 ‘황고집(黃皐集)’으로 되어 있다.

『황고집』 1책은 서문, 권1, 권2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은 1845년 홍직필(洪直弼)이 지었다. 권1에는 오언(五言), 칠언(七言), 사언(四言) 순으로 차운시와 만시(輓詩)를 포함한 한시가 실려 있다. 권2에는 칠언의 절구시, 고시(古詩), 만사 등이 실려 있다. 2책은 권3과 권4인데, 모두 편지글이다. 3책은 권5부터 권8까지이다. 권5에는 서(序), 발(跋), 기(記), 설(說), 상량문, 제문 등이 실려 있다. 권6에는 애사(哀辭), 고축문(告祝文), 주자(朱子)의 어록을 기록해 놓은 잡저 등이 실려 있다. 권7에는 묘갈명, 묘표, 행장이 실려 있다. 권8은 부록으로 김종후(金鍾厚)가 지은 행장, 1845년 홍직필이 지은 행장이 실려 있다. 발문은 없다.

[의의와 평가]

『황고집』은 현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에서 태어나 활동한 신수이의 학행(學行)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