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음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1039
한자 感陰縣
영어공식명칭 Gameumhye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시대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배상현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에 속하였던 고려 시대 군현의 명칭.

[개설]

감음현(感陰縣)은 현재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일대의 고려 시대 지명에 해당한다. 이곳은 신라 시기에는 남내현(南內縣), 여선현(餘善縣)으로 불렸다. 고려 초에 비로소 감음현으로 불리게 되었다. 1161년(의종 15) 10월 자화(子和)와 의장(義章) 등의 무고 사건으로 부곡(部曲)으로 강등된 바 있으며, 1390년(공양왕 2)에 읍격을 회복하고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관련 기록]

『삼국사기(三國史記)』 권34, 지리 거창군 조에 다음의 기사가 있다. "여선현은 원래 남내현으로 경덕왕이 고쳐 부른 이름이다. 현재[고려 인종 대] 감음현이다."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와 지리지에 다음의 기사가 있다.

"감음현 사람들인 자화, 의장 등이 거짓말로 정서(鄭叙)의 아내 임씨(任氏)가 고을의 향리 인량(仁梁)과 함께 임금과 대신을 저주한다고 하였다. 이에 왕이 합문지후(閤門祗侯) 임문분(林文賁)을 시켜 조사하게 하고 그 결과를 받아보니 자화가 인량과 사이가 벌어져 인량을 음해하려는 것이었다. 이에 자화의장을 강에 던져 죽였다."[권18, 세가 의종 15년(1161) 10월 병오]

"감음현은 본래 남내현으로 신라 경덕왕이 이름을 여선(餘善)으로 고치고 거창군(居昌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으며, 현종 9년(1018)에 본 주에 소속하게 하였으며, 의종 15년 이 고을 사람 자화 등이 허위로 고발하기를 정서의 처가 고을의 향리 인량과 함께 왕과 대신들을 저주한다고 하였으므로, 자화를 잡아서 강에 던져 버리고 고을을 낮추어 부곡으로 만들었다. 공양왕 2년에 다시 감무를 두고 이안현(利安縣)을 이 현에 소속시켰다."[권57, 지리2 경상도 감음현]

한편, 동일한 내용을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에는 다음과 같이 썼다.

"감음현 사람 자화, 의장 등이 ‘정서의 아내 임씨가 그 고을의 향리 인량과 더불어 왕과 대신을 저주한다.’고 무고하여 왕이 합문지후 임문분에게 명하여 심문하게 하였더니, 자화가 인량과 사이가 나빠 인량을 모함하려던 것이었다. 자화의장은 강물에 던져 죽이고, 감은현은 격을 낮추어 부곡으로 만들었다."[의종 15년 10월]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경상도 안음현(安陰縣)의 건치 연혁을 언급하면서 "감음현은 본래 신라 남내현이었다. …중략… 공양왕이 다시 감무를 두고 이안현을 내속시켰다. [조선] 태종조에 관아(官衙)를 옮기고 지금의 명칭[이안현]으로 하였다."[권31]라고 하였다.

[변천]

감음현은 신라 시기 남내현이었다. 경덕왕이 이름을 여선현으로 고치고 거창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여선현은 감음현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018년(현종 9) 합주(陜州) 관할에 들게 하였다. 1161년 자화와 의장의 무고 사건으로 부곡으로 강등되었다. 1390년 감음 부곡이 감음현으로 환원되었고 이안현을 영현으로 삼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고려 시대 감음현의 변천 과정은 향리의 주도권 다툼이 읍격(邑格)의 강등으로도 이어졌음을 보여 준다. 이는 그만큼 거창 지역의 향권 다툼이 치열했다는 반증이기도 할 것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