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301286
한자 末屹里
영어공식명칭 Malheul-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홍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개설
성격 법정리
면적 4.84㎢
가구수 257세대
인구[남/여] 493명[남자 246명, 여자 247명]

[정의]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에 속하는 법정리.

[개설]

말흘리(末屹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의 중앙에 자리하고 있으며, 진산리, 지동리, 주암리, 창촌리, 원말흘리 등 5개의 행정리와 진산 마을, 지동 마을, 주암 마을, 창촌 마을, 원말흘 마을, 송림 마을 등 6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명칭 유래]

‘말흘’이란 지명은 마을과 관청의 옛말인 ‘마을’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또한 『마리면지』에는 ‘비교적 평평하면서도 길게 능성이가 진 곳’이란 뜻의 ‘말리’를 한문적 의미로 표기한 것에서 ‘말흘(末屹)’이란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진산은 옛날에는 지동 아랫담이라 하다가 마을 뒷산인 마이봉으로 나가는 길이 있어 진살미라 불리다가 ‘진산(進山)’으로 칭해졌다. 지동은 옛날 백제로 사신을 보내면서 꼭 돌아오라는 뜻에서 회동(回洞), 도롱골이라고 하였는데, 1928년 마을 주민들이 풍수지리적으로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인 마을의 위치에서 부족한 땅의 기운를 보완하기 위해 못[지(池)]을 만들었고, 이후 일제 때 마을 이름을 고치면서 ‘지동(池洞)’이 되었다. 주암은 마을 뒷편 소류지 우측 작은 산 아래에 배 모양의 바위가 있어, ‘배바우’라 하고 그 바위에 ‘주암(舟岩)’이라 새겨 있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창촌은 안의현의 동창(東倉)이 있어 창말이라 불리다 ‘창촌(倉村)’이 되었다. 원말흘은 말흘리에서 가장 크고, 먼저 생긴 으뜸되는 마을이라는 뜻이며, 먹골, 오곡이라 불리다가 일제 때 ‘원말흘(元末屹)’이라 하였다. 송림(松林)은 마을 뒷편에 있었던 신라 시대 사찰인 송림사에서 연유된 명칭이다.

[형성 및 변천]

본래 안의군 동리면 지역이었으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지동, 창촌동, 사동 일부를 병합하고 말흘리라 부르고 마리면에 편입됨에 따라 형성되었다.

[자연환경]

말흘리마리면 고학리에서 발원한 마리천[주암천]에 의해 남북으로 구분된다. 말흘리의 서쪽은 오두산의 산줄기가 뻗어 내려온 기슭으로 크고 작은 구릉이 있으며, 말흘리의 남쪽은 진산 마을의 뒷산인 마이봉이 자리 잡고 있다. 마리면 영승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동쪽은 마리들이 넓게 펼쳐져 있다.

[현황]

2015년 12월 현재 전체 면적은 4.84㎢이며, 임야가 2.63㎢으로 50% 이상이고, 논 1.09㎢, 밭 0.35㎢, 과수원 0.01㎢ 등의 경지 면적이 있다. 마리면의 면사무소로 마리면의 다른 마을보다 대지 0.12㎢, 공장 용지 7469㎡ 등의 면적이 넓게 나타난다. 인구는 2016년 4월 30일 현재 257세대, 493명[남자 246명, 여자 247명]의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농업에 종사하여 벼농사를 짓고 있으며, 일부 주민들은 시설 재배를 통해 딸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1928년 7월 13일 마리 초등학교가 개교하였으며 1948년 1월 12일 마리면사무소월계리 222번지에서 말흘리로 이전해 오고, 마리 중학교[1972년 3월 4일 개교]·마리 치안 센터·우체국·농협과 같은 면의 중심지에 위치하는 다수의 기관들이 들어서면서 말흘리마리면의 중심지가 되었다.

말흘리는 함양군으로 이어지는 동서 방향의 국도 3호선위천면·무주군으로 이어지는 남북 방향의 국도 37호선이 교차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주요 문화 유산으로는 말흘고성이라고도 불리는 마리성말흘리 고분군, 말흘리 지동 고분군, 말흘리 송림 고분군, 송림사지 등이 있다. 송림사지에서는 1974년에 송림사지 석조 여래 좌상[경상남도 유형 문화재 제311호]이 발견되어 마리 중학교에 잠시 보관하였다가 현재는 거창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