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황2리 구등골 동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1187
한자 大皇二里-洞祭
영어공식명칭 Daehwang2ri Gudeunggol Dongje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여수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중단 시기/일시 1970년대 - 대황2리 구등골 동제 경비 문제로 중단
중단 시기/일시 1990년대 - 대황2리 구등골 동제 당목인 소나무 벌목으로 중단
재개 시기/일시 1980년대 - 대황2리 구등골 동제 재개
의례 장소 소나무|입석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구등골 마을 뒷산지도보기
성격 민간 신앙|동제
의례 시기/일시 음력 정월 보름 0시
신당/신체 소나무|입석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구등골 마을에서 지내던 마을 제사.

[개설]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구등골 마을에서 음력 정월 보름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위하여 지냈던 마을 제사이다.

[연원 및 변천]

대황2리 구등골 동제에 대한 정확한 연원은 확인하기 어렵다. 1970년대 동제 제의 경비 문제로 중단되었다가 이후 마을에 우환과 사고가 발발하여 1980년대에 재개되었다. 1990년대 당산으로 모신 소나무가 벌목되면서 다시 중단된 후 2021년까지 지내지 않는다.

[신당/신체의 형태]

마을 뒷산에 있는 소나무 1본과 입석 1기이다. 제당이 있는 곳을 마을 사람들은 당산 또는 당뫼라 부른다. 소나무 1기는 수령 300년이 넘었다고 하지만 1990년대에 벌목되어 그 흔적을 확인할 수 없다. 당목 아래 있었던 서낭당이라 불리는 입석 1기이다.

[절차]

음력 정월 13일 제관 1명, 축관 1명, 소임 3명을 선출한다. 제의에 참석할 5명은 모두 비슷한 연령대이며, 집안에 우환이 없고 임신부가 없는 사람들로 선택된다. 제관과 축관의 선정 기준은 좀 더 까다롭다. 제일 오전 제관을 비롯한 주민들이 모여 제당 주변과 마을 입구 등을 청소하고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린다. 제관 집 대문 앞에 역시 황토를 뿌리고 금줄을 두른 후 솔가지를 꽂아 둔다. 이때 마을로 들어온 사람은 제가 끝날 때까지 나갈 수 없다. 청소를 마친 제관들은 제수를 준비한다.

1980년대까지 돼지 온마리와 삼실과[사과·배·감], 대추, 밤 등을 준비하였지만, 중단하기 몇 해 전부터 돼지머리로 대체하였다. 밤 11시경 제당 앞에 모인 제관들은 진설을 마친 후 0시가 되면 제의를 진행한다. 제의는 유교식 절차에 따르며, 잔을 올린 뒤 축문을 읽고 절을 올린 후, 당신(堂神)과 참석자 그리고 마을 사람들을 위한 소지를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축문]

1990년대 사용한 축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세차병인정월경신삭초삼일임술유학000감소고우(維歲次丙寅正月庚申朔初三日壬戌幼學000敢昭告于), 용산당령(龍山堂靈), 설지우단(設之于壇), 괘동남북(掛洞南北), 세천일제(歲薦一祭), 영차병인(迎此丙寅), 순선진두(順善疹痘), 연사대등(年事大登), 가축학역(可逐瘧疫), 상횡재백(商橫財帛), 명폐제각(鳴吠蹄角), 전촌득식(全村得識), 구위번식(俱爲蕃殖), 일년여수(一年如水), 가안호태(家安戶泰), 주과지천(酒果祗薦), 우신상향(于神尙饗)”

[부대 행사]

제의를 마친 아침이 되면 마을 주민들은 모두 마을 회관을 찾아 제관들에게 인사를 전한다. 이장은 제의 비용과 함께 동네 비용에 대해서 결산한다. 그리고 이장의 임기가 마무리되면 이장 선출 선거를 함께 행한다.

[현황]

대황2리 구등골 동제는 1990년대 당신이었던 소나무가 벌목되면서 중단되었다. 지금은 소나무 주변 입석만 전해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