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문학 작품
-
강릉 지방의 정월대보름 달맞이의 내용과 망월 풍속을 노래한 가사. 이 가사는 작자 불명의 여성이 정월대보름 풍속을 노래한 것으로, 고소설 필사본 「강릉 추월 옥소전(江陵秋月玉簫傳)」의 안쪽 면에 필사된 것이다. 정월대보름 명절을 맞이하는 여성의 기쁜 심정을 가사로 표현한 것이며, 망월의 풍속을 전하려는 의도도 들어 있다. 전체 194행의 장편가사로 기승전결이...
-
강릉을 배경으로 한, 옥피리에 의해 부자가 만난다는 기봉류(奇蓬類)의 고소설. 「강릉추월전」은 우리의 고소설 중에서 강릉 지명을 제목으로 삼고 있는 창작소설이다.「강릉추월(江陵秋月)」 또는 「강릉추월옥소전」·「강능츄월젼」이라고도 하며, 필사본은 매우 많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강릉추월」1책, 「강릉추월옥소전」1책, 「강릉추월전」 1책, 「강능츄월젼」하권 1책...
-
조선 중기의 학자 이이(李珥)가 열 살에 지은 부(賦)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에 1748년 경포대가 기울자 부사 조하망(曺夏望)이 누각의 모습을 옛 모습 대로 단장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때 오죽헌에 보관 중이던 「경포대부」를 찾아 그 내용을 가래나무에 새겨 경포대 기둥과 기둥 사이인 문설주 윗부분에다 걸었다고 한다. 「경포대부」는 『율곡전서(栗谷全書)』에 실려 있...
-
고려 말의 문신 안축이 지은, 강릉 등 관동 지방의 절경을 읊은 경기체가. 근재 안축[1283~1348]은 충혜왕 원년에 강릉도존무사가 되어 부임하여 『관동와주』를 지었다. 『관동와주』는 근재 안축의 시문집이다. 「죽계별곡」은 시문은 아니고 노래[경기체가]의 형식이므로 『관동와주』에는 실려 있지 않고 『근재집』에 실려 있다. 충혜왕 원년은 충숙왕 17년이기도 하다. 그래...
-
조선 중기의 문인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로 강릉 등 동해안의 절경을 읊은 작품. 정철[1536~1593]은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계함(季涵), 호는 송강(松江)이다. 인종의 귀인이 된 첫째 누이와 계림군의 부인이 된 둘째 누이 덕택으로 어려서부터 궁중 출입이 잦았는데, 1545년 을사사화 때 계림군이 연루되면서 아버지가 유배되고 큰형이 죽는 화를 당하였다. 이때...
-
1582년 율곡 이이가 강릉 출신의 김시습에 관하여 쓴 인물전. 율곡 이이(李珥)[1536~1584]는 강릉 오죽헌에서 태어났으며,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이며 사상가이다. 「김시습전(金時習傳)」은 『율곡전서(栗谷全書)』권14 「잡저(雜著)」에 실려 있는 이이의 작품이다....
-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제8권 문부에 들어 있는 5편의 작품으로 「홍길동전」과 쌍벽을 이루는 전기체 소설이다. 이 작품은 남궁두(南宮斗)라는 인물의 도교적 삶을 바탕으로 쓴 것으로 허균의 자아가 반영된 작품이다. 허균은 1608년(선조 41) 가을 공주에서 파직되어 부안에 살고 있었는데, 8...
-
허균(許筠)이 김유신(金庾信) 장군이 대관령 산신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기리는 뜻에서 쓴 글 허균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14 문부 11 「대령산신찬병서」에는 대관령 산신으로 좌정한 김유신[595~673] 장군의 연유와 그를 기리는 시를 쓴 두 편의 글이다. 이 글에 의하면 강릉단오제 초기에는 산신제를 중심으로 개최되었음을 알 수 있다....
-
고려 후기의 학자 이곡(李穀)[1298~1351]이 지은 기행문. 이곡의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찬성사 이자성(李自成)의 아들이며, 이색(李穡)의 아버지이다. 1317년(충숙왕 4) 거자과(擧子科)에 합격한 뒤 예문관검열이 되었고, 원나라에 들어가 1332년(충숙왕 복위 1) 정동성(征東省) 향시에 수석으로 선발되었다. 그 뒤 본...
-
1740년 채지홍이 강릉 등 관동 지역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쓴 기행문. 채지홍(蔡之洪)[1683~1741]은 조선 후기의 학자로서 자신의 호를 딴 『봉암집(鳳巖集)』을 남겼으며, 여기에 강원 영동 지역 기행문인 「동정기(東征記)」가 수록돼 있다. 채지홍은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자신의 수양을 위한 실천적 학문에 더 힘썼기에 다른 학자들로부터도 추앙을 받았다. 「동정기」는 1740...
-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이 지은 별연사의 고적에 대한 기록. 「별연사 고적기」는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7에 수록되어 있다. 강릉에 있는 별연사에 전승되는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여기에는 강릉김씨의 시조인 김주원(金周元)의 어머니인 연화부인(蓮花夫人) 박씨의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허균이 기록한 이 글은 서술 전개상 다섯 개의 문단으로 나뉜다...
-
조선 중기의 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이 오빠 허봉(許篈)이 유배되는 아픔을 쓴 시. 허난설헌은 함경남도 북동부 두메산골인 갑산으로 귀양 가는 둘째오빠 하곡을 생각하며 중국 전한 때의 문장가 가태부(賈太傅)가 장사로 귀양을 가다가 죽은 것을 생각하며 지은 혈육애가 담긴 시이다. 경기도 순무어사로 나갔던 하곡 허봉은 병조판서 이이(李珥)를 탄핵하다가 창원부사로 좌천되고, 종...
-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이 지은 규방가사. 허난설헌의 본관은 양천이며, 본래 이름은 허초희(許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이다.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허엽(許曄)의 딸이고, 허균(許筠)의 누이이다. 「염지봉선화가」는 『난설헌집』에 실려 있다. 이 작품은 봉선화 꽃잎을 따서 손톱에 물들이던 고유한 풍속을 소재로 하여 여인의 아...
-
조선 전기의 문인 김시습(金時習)이 쓴 소설. 「용궁부연록」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에 들어 있는 5편 가운데 하나로, 주인공이 용궁에 다녀온 일을 삽입시로 표현하며 서술한 소설작품이다. 글재주가 뛰어난 한 인물이 용궁에 초대받아 누각의 상량문을 써주고 돌아와 세상에서 자취를 감추었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용궁부연록」은 생육신의 한...
-
1541년(중종 36) 신사임당(申師任堂)이 지은 한시. 「유대관령망친정시」는 신사임당의 아들 이이(李珥)가 지은 「선비행장(先妣行狀)」에 실려 전한다. 신사임당의 부모는 딸만 다섯 두었는데, 신사임당이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버지 신명화(申命和)가 세상을 떠났다. 신사임당은 홀로 된 어머니를 보살피기 위해 친정에서 지내는 때가 많았는데, 이 시도 어머니와 함께 친...
-
조선 전기 문인 율곡 이이가 강릉 청학동 소금강의 절경을 유람하고 쓴 기행문. 이이(李珥)[1536~1584]는 강릉 오죽헌에서 출생했으며, 13세의 나이로 진사시에 합격했다. 16세에 어머니를 잃고 3년 시묘 생활을 했으며, 이후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기도 했다. 1564년 식년 문과 장원 급제까지 9번에 걸쳐 장원을 했다고 하여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는 별칭도 있...
-
정조대왕(正祖大王)이 지은 시. 「정조대왕어제시」는 신라 공신 박제상(朴堤上)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경양사(鏡陽祠)에 보관되어 있다. 「정조대왕어제시」가 언제부터 경양사에 보관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경양사는 강릉박씨 종중에 의해 1900년 초에 건립되었으므로 그 이후가 될 것이다. 박제상은 고구려와 왜에 인질로 잡혀간 신라 눌지왕의 두 동생을 충성과 절개로써...
-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 허난설헌이 지은 한시. 여인의 내면을 연꽃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채련곡」을 지은 허난설헌(許蘭雪軒)[1563~1589]은 조선 중기의 여류시인으로 본관은 양천이며, 본래 이름은 초희(楚姬)이며,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이다. 강원도 강릉(江陵) 출생으로 허엽(許曄)의 딸이고, 허균(許筠)의 누이이다. 남편에게 소박맞고 자식마저 잃는 불행한 생애를 보냈...
-
조선 중기의 문인 하곡(荷谷) 허봉(許篈)[1551~1588]이 36세 때에 쓴 편지. 허봉은 강릉 출신으로 초당 허엽(許曄)의 둘째아들이다. 1568년(선조 1)에 생원, 1572년 친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사가독서를 했다. 33세에 성절사(聖節使)로 명나라에 다녀온 기행문 「하곡조천기(荷谷朝天記)」를 1574년에 썼으며, 이듬해 이조좌랑, 1577년 교리,...
-
조선 중기의 문인 허봉(許篈)이 서장관으로 중국에 다녀온 과정을 쓴 기행문. 하곡 허봉[1551~1588]의 기행문인 「하곡 조천기」는 귀양길에 얻은 병으로 객사한 형 허봉을 대신하여 동생 허균(許筠)이 1605년에 편찬한 것이다. 허균의 문집 「학산초담(鶴山樵談)」에는 “둘째 형이 남긴 글이 임진왜란에 불탔는데, 강릉에 살 때 5백여 편을 모아 세상에 사라지지 않도록...
-
강릉 한송정을 소재로 한 작자 미상의 고려 초기 가요. 『고려사(高麗史)』 「악지」 속악조(俗樂條)에 오언절구의 한역 시와 그 내력이 수록되어 있으나,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고려사(高麗史)』악지에 「한송정곡(寒松亭曲)」에 관련된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세상에 전하는 말에 의하면 이 노래는 거문고 밑바닥에 써서 둔 것이 중국 강...
-
신라 성덕왕 때의 고시가. 『삼국유사(三國遺事)』 권2 「기이편(紀異篇)」 수로부인조(水路夫人條)에 배경설화와 함께 실려 전한다.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純貞公)이 강릉태수(江陵太守)로 부임하는 도중 바닷가의 한 정자에서 제를 올리는데, 돌연 용이 나타나 순정공의 아내 수로부인을 바다 속으로 납치하였다. 순정공이 어찌할 바를 몰라 하자 한 노인이 말...
-
조선 중종조 문신인 어촌 심언광의 별당에 걸려 있는 시문 현판. 해운정에는 명나라 사신인 공용경(龔用卿), 이이(李珥), 송시열(宋時烈), 박광우(朴光佑), 김창흡(金昌翕) 권숙(權潚), 심순택(沈舜澤), 이헌위(李憲瑋), 한정유(韓廷維), 윤봉구(尹鳳九), 채지홍(蔡之洪), 이민서(李敏叙), 일완(日暖) 낙중(樂仲), 조경망(趙景望), 김진상(金鎭商), 송규...
-
조선 중기의 문신 허균(許筠)이 동해용왕신을 기리는 내용을 쓴 비문. 허균이 동해신묘를 양양으로 옮기고 난 후 신라 때부터 강릉 정동진에 있다가 양양으로 옮겨진 경위를 적고, 을사년에 비바람의 재해가 있자 신의 강복을 기리기 위해 쓴 글이다. 1370년(고려 공민왕 19) 사해 가운데 첫 번째로 동해지신의 신호를 내렸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 강릉 정동진에 동해신묘가 만...
-
4구체 형식의 신라의 향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실려 있으며, 성덕왕 때 작품이지만 지은이는 알 수가 없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기록에 의하면 견우노옹(牽牛老翁), 즉 소를 끌던 늙은이가 지어 수로부인(水路夫人)에게 바쳤다고 전한다. 다음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헌화가」 원문이다. 紫布岩乎邊希(자포암호변희) 執音乎手毋牛放敎遣(집음호수무우...
-
조선 중기의 문신·소설가 허균(許筠)이 지은 한글소설. 「홍길동전」은 17세기에 창작된 허균의 고소설로서 1610년을 전후하여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대기 소설로 전기적 유형을 갖고 있으며, 영웅의 일생이라는 구조를 지닌다. 적서차별문제, 지배층의 억압에 대한 민중의 위력을 보여준 작품으로 왕도정치의 실현, 이상국가 건설 등을 열망하였다. 허균이 「홍길동...
현대 문학 작품
-
강릉 출신 작가 이순원의 자전적 장편 소설. 한 소년의 열세 살에서 열아홉 살까지 삶의 기억을 담은 작가의 자전적 성장 소설이다. 「19세」는 어른 세계로의 입사를 치러내기 위한 성장기의 열병을 다룬 통과 제의라고 할 수 있다. 세계사에서 1999년 처음 출간된 이래, 2005년 원작의 스토리를 580매로 개작해 문이당에서 ‘청소년 현대 문학선 10’으로 발간하였고, 2...
-
강원도 원주시 문막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활동한 시인 원영동의 시. 시인 원영동(元永東)[1930~2003]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95년 출간한 시집 『감자꽃 태산』의 표제작이며, 2005년 월간 한맥 문학사와 한맥 문학가 협회 주관으로 시비로 제작되어 경포 호숫가에 세워졌다. 시비는 조각가 장윤우가 조각을 했다. 4연 16행의 시로, 마지막 연은 그가 후기에 즐겨 사용...
-
강릉 출신 작가 이순원의 단편 소설. 「강릉 가는 옛길」은 1997년 출간된 소설집 『말을 찾아서』에 수록되었던 단편을 어린이들이 읽을 수 있게 고쳐 단행본으로 펴낸 책으로, 도서출판 다림에서 ‘한빛문고’ 시리즈 제17권으로 출간되었다. 이순원은 ‘작가의 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미국에서 보내온 구호 양곡으로 옥수수죽을 먹고 자란 한 소년이 이제 또 한...
-
강릉에 대한 고향 의식을 압축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홍성암의 단편소설. 어느 포장 술집을 배경으로, 강릉에 고작 3년을 살았을 뿐인데도 불구하고 그곳에 대해 모두 다 아는 것처럼 호기롭게 떠드는 한 취객과 강릉이 고향인 서술자 사이의 짧은 갈등을 통해, 고향의 정체와 지극한 그리움을 표출하고 있다. 2008년 제이앤씨에서 펴낸 소설집 『다리가 없는 통닭』의 ‘제2부 생활의...
-
강릉 출신 시인 이영섭의 시. 시인 이영섭[1937~1988]의 대표작 중 하나인 「고향 얘기」는 그의 시 세계의 한 축을 이루는 고향 인식과 고향 탐구 계열에 속하는 작품으로, 고향의 자연과 유년을 회고하며 현재의 심사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고향 얘기」를 새긴 시비가 경포 호숫가에 서 있다. 1981년 청하 출판사에서 간행한 이영섭의 시집 『원시의 벼랑』에 실...
-
강릉 출신 작가 서영은의 중편 소설. 「관사 사람들」은 ‘K사범 학교’ 관사를 배경으로, 이 학교 박창민 선생과 결혼해 서울에서 이사를 온 ‘숙희’라는 그의 아내를 상대로 한, 부인들의 집단 따돌림과 K사범 학교와 앙숙 관계인 인근 K여학교 여학생의 성폭력 사건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박 교사의 외로운 싸움을 다루고 있다. 「관사 사람들」에는 ‘옥천동’이라는 동...
-
강릉 출신의 아동 문학가 엄성기의 동시. 「꽃이 웃는 소리」는 1959년 강릉 사범 학교를 졸업한 뒤 초등학교에 재직하며 아동 문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했던 엄성기(嚴成基)[1940~1998]의 대표작이다. 엄성기는 1970년 『월간 문학』 신인 공모에 동시 「별열매」가 당선되어 등단했으며, 동시집 『산골아이』, 『그림 위에 누워서』, 『꽃이 웃는 소리』, 유고...
-
강릉 출신의 시인 김동명(金東鳴)이 지은 시. 1930년 김동명이 상재한 처녀시집 『나의 거문고』에 수록되어 있는 시 작품이다. 김동명은 1900년 2월 4일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하노동리 54번지에서 출생하여 1968년 1월 21일 작고한 시인으로, 아호는 초허(超虛)이다. 일본 도쿄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신학과를 졸업(1925~1928)하였으며, 1945년 함남중학...
-
강릉에서 활동했던 아동 문학가 장영철의 동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리에서 태어난 장영철(張榮喆)[1947~2006]은 강릉 교육 대학 부설 교원 양성소, 한국 통신 대학교 초등 교육과를 졸업한 뒤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강릉 아동 문학계에서 활동했다. 1987년 『솔바람』 4월호[28호]에 「산골에서 온 아이」·「가게 앞을 지날 때」 등을 발표했으며,...
-
강릉 출신 시인 김동명의 시. 「내 마음은」은 김동명(金東鳴)[1900~1968]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38년 출간된 두번째 시집 『파초』에 수록되어 있다. 「수선화」와 함께 김동진에 의해 가곡으로 작곡되어 널리 불려지고 있으며, 1985년 강릉시 사천면 미노리에 세워진 김동명 시비에 「파초」와 함께 새겨져 있다. 4연 16행의 시로, 각 연이 4행으로 이...
-
일제 강점기 강릉 출신 시인 심연수의 대표작. 시 「눈보라」는 일제 강점기에 굴하지 않고 시혼을 불태웠던 강릉 출신의 시인 심연수(沈連洙)[1918~1945]의 대표작 중 하나로, 동시대를 살다간 시인 이육사의 시 「절정」과 함께 1940년대의 암흑기를 밝힌 작품으로 손꼽힌다. 2003년 「눈보라」를 새긴 시비가 경포 호숫가에 건립되었다. 2연 10행으로 이루어진 시로, 각 행의...
-
장용학(張龍鶴)이 대관령을 소재로 하여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감을 그려낸 소설. 「대관령」은 무죄로 밝혀지기는 했으나 달빛으로 인해 도끼로 사람을 죽였다는 내용으로, 한국판 「이방인(異邦人)」이라는 설익은 현대인의 모습을 통해 현재의 욕망에 사로잡혀 이해타산 없이 행동하는 비극적 인간상을 보여준 작품이다. 프랑스의 작가 카뮈가 1942년에 쓴 소설 「...
-
1898년 이근원이 강릉과 금강산의 명승을 유람하며 쓴 기행문. 근대 학자 이근원(李根元)[1840~1918]은 경기도 지평현[현 경기도 양평군] 금리(錦里)에서 출생했는데, 그 거처를 따라 호가 금계(錦溪)이며, 그의 글을 수록한 『금계집(錦溪集)』이 있다. 이 『금계집』에 강릉을 여행한 기행문 「동유일기(東遊日記)」가 수록돼 있다....
-
강릉 출신 작가 윤후명의 단편 소설. 윤후명의 고향인 강릉에 대한 실체와 기억 사이의 인식론적 번민을 다루고 있는 작품이다. “뜬구름 속에서의 일”처럼 여겨지는 고향이라는 이름의 ‘기억의 압박’에서 벗어나, 고향이 주는 현실과 몽상의 양가 감정[ambivalence]을 마침내 긍정하게 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결여되어 있는 고향의 실체감으로...
-
강릉 단오제의 배경 설화인 범일국사의 일대기를 다룬 이광식의 단편소설. 「범일국사」는 역사적 실존 인물인 범일국사의 탄생담과 그가 입적하기까지의 일대기, 더 나아가 그가 대관령 국사성황으로 좌정하기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역사 소설이자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작가적 해석과 논평을 겸한 메타픽션(metafiction)이다. 『사랑하는 아들에게』[강릉 오죽문학회, 198...
-
강릉에서 문단 활동을 한 시인 최인희의 시. 강원도 삼척에서 출생한 시인 최인희(崔寅熙)[1926~1958]는 1950년 『문예』에 「낙조」·「비 개인 저녁」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강릉 현대 시단의 초석을 놓은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했으나 33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강릉 여자 고등학교와 강릉 사범 학교에 재직하며 많은 문인들을 길러냈다. 1982년...
-
강릉의 「양어지 전설」을 바탕으로 한 황순원(黃順元)의 소설. 경주의 서생과 강릉의 처녀가 양어지에서 사랑을 나누다 헤어졌으나 잉어가 편지를 전달해주어 결혼했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다. 소설에서는 강릉 경포마을에 사는 은영이가 꿈속에 잉어가 되어 나에게 잡혔다는 편지를 보냈는데, 그것은 결혼 날짜를 잡은 은영이가 새 생활로 접어들기 전에 잉어처럼 헌 비...
-
강릉 출신의 문인 김원기의 창작 동시. 김원기는 1937년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여찬리에서 출생하여 강릉사범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했다.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으며, 1980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강원도문화상, 한국아동문학작가상을 수상하였다. 강릉문인협회, 한국아동문학회, 조약돌아동문학회, 해안문학회, 솔바람동요문학회에서...
-
1913년 강릉에 살던 강릉 김씨가 서울을 구경하고 쓴 기행문. 「서유록(西遊錄)」의 저자인 강릉 김씨(江陵金氏)[1862~1941]는 1862년(철종 13) 강릉에서 태어나 인근 장현 마을[현 강원도 강릉시 강남동] 강릉 최씨(江陵崔氏)에게 시집가서 7남매를 낳고 살았다. 나이 52세 되던 1913년에 서울을 다녀오면서 37일의 여정을 한글로 기록한 여행기를 썼다. 강릉에서 서쪽...
-
강릉 출신 시인 김동명의 시. 「수선화」는 김동명(金東鳴)[1900~1968]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38년 출간된 두 번째 시집 『파초』에 수록되어 있다. 5연 15행의 시로, 각 연이 3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대는 차듸찬 의(意志)의 날개로/ 끝없는 고독(孤獨)의 우를 날르는/ 애달픈 마음.// 또한 그리고 그리다가 죽는/ 죽었다가 다시 사라 또다시...
-
강릉 출신의 작가 서영은의 중편소설. 중편소설 「시인과 촌장」은 폐쇄된 유년기의 한 공간을 배경으로 소년과 그의 형의 시선에서 경험하게 되는 세계상을 다룬 일종의 성장 소설이다. 특히, 적산 가옥과 술청이 늘어서 있었던 남문동과 국극단(國劇團)이 북소리와 나팔소리를 울리며 광고지를 뿌리던 성남동, 소년의 아버지가 등허리에 냄비를 집어넣고 꼽추춤을 추며 술을 얻어마시던 임...
-
강릉 출신의 작가 이순원의 자전적 장편 소설. 「아들과 함께 걷는 길」은 작가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에 두고 있는데, 『수색, 그 물빛 무늬』[1997] 출간 직후, 심란했던 심리적 정황을 배경으로 13살인 맏아들 '상우'와 함께 대관령 길을 걸으며 나눈 진솔한 지혜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1996년 도서출판 해냄에서 처음 출간된 뒤, 2002년 동 출판사에서...
-
강릉 출신 시인 김유진의 시. 1952~1953년, 강릉 현대 시단의 출발이라 할 수 있는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한 시인 김유진(金有振)[1926~1987]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99년 시비로 제작되어 경포 호숫가에 세워졌다. 1985년 강원일보사 출판부에서 펴낸 시집 『산계리』에 수록되었다. 「아침에」는 연 구분 없이 총12행으로 이루어졌다. 3~7행은...
-
남진원의 동시. 남진원이 지은 동시로 6차 교육 과정 초등학교 4학년 읽기 교과서에 수록되었던 시이다. 남진원은 1953년 10월 18일 정선 골지리에서 태어나, 문래초등학교, 경포중학교, 강릉고등학교, 강릉교육대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했다. 『월간문학』 신인상(시조부문), 『강원일보』 신춘문예로 데뷔하였다. 계몽사어린이문학상, 강원아동문학상, 문교부장...
-
강릉 인근 마을인 영진리 어촌의 공동체적 삶의 모습을 그린 홍성암의 단편소설. 「영진리 어촌 마을」은 농촌과 어촌으로 나누어져 있는 영진리를 배경으로 어촌을 중심으로 한 그들의 생활 양식과 어로 활동에 대한 보고서이자, ‘훈이’라는 초점 인물과 그의 이모댁을 중심으로 한 어촌 공동체의 삶의 방식이 핍진하게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 「영진리 어촌 마을」은 과거 영...
-
강릉을 배경으로 한 최성각의 단편 소설. 「진또배기 그늘」은 서술자가 동년배 동향 출신인 함영호 씨로부터 고향 강릉에서 벌어진 이상한 일에 관한 편지를 받으면서 시작된다. 그는 진또배기 그늘에서 나무오리를 쥐고 패륜의 이야기를 나누는 예닐곱 명의 할머니들에 의구심을 갖다가, 그들이 폐건물의 잔해 속에서 발견된 할머니들의 억울한 영(靈)임을 알게 된다. 그들의...
-
강릉 임당동에서 태어난 시인 박기원의 시. 박기원(朴琦遠)[1908~1978]은 강릉에서 태어나 일본 니혼 대학 문과대를 졸업했다. 1929년 『민성』에 「실향」을 발표하고, 같은 해 『문예 공론』에 시 「홍수」가 입선하여 등단했다. 1938년 첫 시집 『호심의 침묵』을 출간했으나 일본 경찰에 압수되어 현재 전하지 않는다. 1953년 부산 피난기에 최재형과 공...
-
강릉을 배경으로 한 이광식의 엽편 소설. 동명의 소설집 『초희의 사랑』[도서출판 일문, 2015]의 표제작으로 수록되어 있다. 엽편 소설은 인생에 대한 유머, 기지, 풍자가 들어 있는 가벼운 내용의 아주 짧은 이야기로 정의되는데, 최근에는 스마트 소설, 미니픽션 등의 용어로 칭해지고 있다. 20세기 후반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초단편 소설이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으면서 이...
-
강릉 출신의 시인 김동명의 창작시. 김동명이 1938년에 상재한 시집 『파초(芭蕉)』에 수록되어 있는 현대시이다.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에 있는 김동명시비에 「파초」 전문이 암각되어 있다. 이 시는 김동명의 중기 시로 1930년대의 민족적 염원을 서정화한 것이다. 이 무렵은 김동명이 일제의 탄압을 피하여 농촌에 묻혀 살던 시기이다. 일제의 침략적인 정황에 동조하...
-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 해랑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정한숙(鄭漢淑)의 소설. 동해안 마을에는 억울하게 바다에 빠져 죽은 처녀신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서 나무로 깎은 남근 형태의 제물을 바치면 고기가 많이 잡힌다는 믿음이 남아 있다. 이러한 안인진 해랑의 신화를 소재로 하여 죽은 삼봉이와 해랑의 혼을 불러 결혼을 시켰고, 과부인 삼봉이 어머니도 그날 밤 다른...
-
김찬윤(金燦潤)의 시집. 『가슴 채우는 노래가 되어』는 1990년 원영사에서 발간되었다. 시인 김찬윤은 강릉 출생으로 제10회 예술계 신인상 수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인협회·한국시인협회·한국사진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해안·관동문학·예술시대·오죽문학 등에서도 동인 활동을 하였다. 『가슴 채우는 노래가 되어』에는 ‘시와 사진’이라는 부제...
-
남진원(南鎭源)의 동시집. 『가을바람과 풀꽃 그리움에게』는 1989년 도서출판 화술에서 발간되었다. 작가 남진원은 1953년 10월 18일 정선 골지리에서 태어나 문래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강릉의 경포중학교, 강릉고등학교, 강릉교육대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월간문학』 신인상(시조부문), 『강원일보』 신춘문예로 문단에 데뷔하였다. 계몽사...
-
강릉 출신의 시인 이충희의 시집. 『가을회신』은 1989년 도서출판 서울에서 발간되었다. 작가 이충희는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현대문학』 추천으로 문단에 등단하였다. 한국문인협회,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원이며, 관동문학회, 설악문우회, 산까치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관동문학상과 강원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시집에 『가을회신』, 『마음 재우며 보는 먼 불빛』, 『...
-
최갑규의 수필집. 『강 건너 마을에서』는 1989년 2월 20일 교음사에서 발간되었다. 최갑규는 1924년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서 태어나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 교사, 교감,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전쟁문학회, 강릉오죽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회 전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이야기’에 이어 수필 73편이 5부로 나누...
-
강릉 출신의 작가 윤후명의 소설집. 『강릉』은 작가 윤후명에게 있어 인생의 출발점이자 귀환점인 고향 ‘강릉’을 모티프로 한 10편의 소설을 엮은 책이다. 신작 소설로 채워진 책의 말미에 강릉을 무대로 한 등단작 「산역」[1979]을 함께 엮음으로써 하나의 테마 소설집으로의 의미를 더했다. 2016년 4월 은행나무 출판사에서 윤후명 소설 전집 1권으로 발간하였다...
-
1998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이홍섭의 시집. 『강릉, 프라하, 함흥』에는 프라하의 카프카(Kafka, Franz)[1883~1924] 시인, 함흥의 백석(白石)[1912~1996] 시인의 이미지를 함께 변주하면서 강릉을 비롯하여 강원도에 대한 애정을 품은 이홍섭 시인의 색채를 드러낸 시집이다. 표제가 된 「강릉, 프라하, 함흥」과 짝을 이룬 「춘천, 프라하, 함흥」이란 작품도...
-
강릉 주문진 출신 시인 강우식의 시 전집. 시인 강우식[1941~ ]은 강릉 주문진에서 출생하여 성균관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6년 『현대 문학』지에 「박꽃」, 「사행시초(四行詩抄)」 등을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시집으로 『사행시초』, 『고려(高麗)의 눈보라』, 『꽃을 꺾기 시작하면서』, 『설연집(雪戀集)』, 『어머니의 물감상자』, 『물의 혼』,...
-
김원기(金元起)의 창작 동화집. 『거꾸로 가는 달력』은 1990년 꿈동산에서 발간되었다. 작가 김원기는 1937년 강원도 명주군[지금의 강릉시] 구정면 여찬리에서 출생하여 강릉사범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2년 「아기와 바람」으로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권두에 지은이의 자서 ‘창작 동화를 내면서’가 실려 있고, 창...
-
강릉 출신의 시인 이충희의 시집. 『겨울 강릉행』은 2000년 강원도민일보사 출판부에서 발간되었다. 이충희는 강릉 출생으로 『현대문학』 추천으로 등단했다. 한국문인협회,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원이며, 관동문학회, 설악문우회, 산까치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관동문학상과 강원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시집에 『가을회신』, 『마음 재우며 보는 먼 불빛』, 『겨울 강릉행』...
-
김완성(金完成)의 시집 『결』 은 2002년 도서출판 아티스트에서 발간되었다. 김완성은 강원도 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에서 출생하여, 춘천교육대학교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월간문학』 신인상 동시부문 당선, 중앙아동문학상 동시 당선,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 『문학세계』 시 당선 등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한국아동문학...
-
엄창섭(嚴昌燮)의 시집. 『골고다의 새』는 1993년 도서출판 아티스트에서 발간되었다. 엄창섭은 1945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여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시집에 『바다와 해』, 『생명의 나무...
-
김찬윤(金燦潤)의 시집. 김찬윤이 1993년 혜화당을 통해 펴낸 것이다. 김찬윤은 강릉 출생으로 제10회 예술계 신인상 수상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인협회, 한국사진작가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해안, 관동문학회, 예술시대, 강릉오죽문학회 등에서 동인 활동을 하였다. 『구름따라 물길따라』에는 작가의 ‘시집 머리에’에 이어 「수석일...
-
김원기의 동시집. 1989년 김원기 시인이 남긴 동시들을 묶은 유고 시집이다. 김원기 시인은 1937년 강원도 명주군[지금의 강릉시] 구정면 여찬리 출생으로, 강릉사범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62년 「아기와 바람」으로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귀뚜라미 시계』는 서두에 김원기의 약력이 소개되어 있고, 아동문학가 엄성...
-
강원도 강릉에서 활동한 시조 시인 정태모(鄭泰謨)의 시조집. 『귀소』는 1991년 동녘신문사 출판부에서 발간되었다. 정태모는 1927년 강원도 평창에서 출생하였으나,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초등 교직에 봉직하면서 문학활동을 하였다. 196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새 판도를 그려야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서울문...
-
엄성기(嚴成基)의 동시집. 『그림 위에 누워서』는 1980년 을지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엄성기는 1940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였으며,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1970년 제6회 『월간문학』 신인상에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조약돌문학회, 한국문인협회, 한국아동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책에는 저자의 ‘책머리 시’에 이어 동시 65편이 4부로 나누...
-
강릉 출신의 시인 박세현이 1989년 문학과 비평사에서 펴낸 시집. 박세현[1953~]은 본명이 박남철(朴南澈)로 관동 대학교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한양 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김유정 소설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문예 중앙』 여름호 제1회 신인상 공모에 「오랑캐꽃을 위하여」를 포함한 10편의 시가 당선되면서 등단하였다. 그동...
-
조영수(曺永秀)의 시집. 『꽃은 꽃으로 피게』는 1993년 미래문화사에서 발간되었다. 조영수는 강릉시 주문진읍에서 출생하여 춘천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였다. 강릉명륜고등학교 교장으로 정년 퇴임하였다. 제31회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하였고, 제4회 윤동주 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미래시, 관동문학회, 해안문학회...
-
강릉 출신의 작가 윤후명의 소설집. 『꽃의 말을 듣다』는 새[『새의 말을 듣다』]에 이어 꽃을 상징적인 화두로 삼음으로써 결국 한 점의 화조도(花鳥圖)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는데, 강릉을 직접적인 배경으로 삼고 있는 「강릉/모래의 시(詩)」, 「강릉/너울」을 통해 고향에 대한 강렬한 장소애(topophilia)와 함께 존재의 근원성을 표상하는 꽃의 이미지를 다...
-
엄성기(嚴成基)의 동시집. 『꽃이 웃는 소리』는 1990년 대성문화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엄성기는 1940년 강릉에서 출생하여 1959년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를 역임하였다. 1970년 『월간문학』에 동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하였고, 1987년 제9회 아동문학 작가상을 수상하였다. 조약돌아동문학회, 한국문인협회, 관동문학회, 강릉문학회 회원으로...
-
강릉 출신의 시인 박세현이 1987년 청하출판사에서 펴낸 시집. 시인 박세현[1953~]은 본명이 박남철(朴南澈)로 관동 대학교 국어교육학과를 졸업했으며, 한양 대학교 대학원 국문학과에서 「김유정 소설 연구」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문예 중앙』 여름호 제1회 신인상 공모에 「오랑캐꽃을 위하여」를 포함한 10편의 시가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그동안 시집 『...
-
강릉 출신으로 강릉과 춘천에서 활동해 온 시인 박기동의 시 선집. 시집 『나는 아직도』는 박기동[1953~ ] 시인이 그동안 펴낸 세 권의 시집 『어부 김판수』[민족문화사, 1985], 『내 몸이 동굴이다』[세계사, 1997], 『다시 벼랑길』[한결, 2000]에서 직접 추린 시들로 엮은 자선 시 선집이다. 박기동은 1974년 『시문학』의 『대학시집』에 시 「개」가 당선...
-
1991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박용하의 첫 시집. 1963년 강릉에서 태어난 시인 박용하는 1989년 『강원 일보』 신춘문예에 「비」가 당선되었으며, 『문예 중앙』 신인문학상으로도 등단했다. 『나무들은 폭포처럼 타오른다』는 박용하의 첫 시집이다....
-
김동명 문집 간행회가 1964년 신아사에서 펴낸 김동명의 사화집. 첫 시집 『나의 거문고』를 제외한 김동명의 모든 시집이 수록된 사화집으로, 김동명 시 세계의 전모를 알 수 있게 해준다. 김동명 문집 간행회는 시 전집에 해당하는 사화집 『내 마음』 외에 수필, 수기집 『모래 위의 낙서』, 평론집 『나는 증언한다』를 묶어 전3권 문집으로 펴냈다. 1964년 신아...
-
2000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김선우의 첫 시집. 1970년 강릉에서 태어난 시인 김선우는 1996년 『창작과 비평』 겨울호에 「대관령 옛길」 등 10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
강릉 출신의 시인 심재상의 두 번째 시집. 시집 『넌 도돌이 표다』는 1995년 첫시집 『누군가 그의 잠을 빌려』[문학과 지성사]을 펴냈던 심재상이 8년 뒤에 펴낸 두 번째 시집이다. 첫 시집을 통해 동시대의 시인들과는 다른 개성적인 어법을 보여주었던 시인은 『넌 도돌이 표다』를 통해서 첫 시집에서 펼쳐보였던 자신만의 어법을 한층 강화해 보여주었다. 심재상은...
-
남진원(南鎭源)의 시집. 『넘치는 목숨으로 와서』는 1987년 10월 명지사에서 발간되었다. 이 시집은 1996년 12월 저자의 문학 경력과 표지화를 덧붙여 다시 간행되었다. 남진원은 1953년 10월 18일 정선 골지리에서 태어나 문래초등학교를 나온 뒤, 강릉의 경포중학교, 강릉고등학교, 강릉교육대학과 한국방송대학교를 졸업했다. 『월간문학』 신인상...
-
조영수(曺永秀)의 시집. 『네 안에서 내안으로』는 1988년 도서출판 모모에서 발간되었다. 조영수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 출생으로, 제31회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제4회 윤동주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강릉 지역의 문학동인인 미래시, 관동문학회, 해안문학회, 석우문인회 동인이며,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丘英珠)의 수필집. 1993년 구영주 시인이 출간한 수필집이다. 구영주는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선리가 본적이며, 출생지는 서울 정릉이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9년 『월간문학』제27회 신인작품상 당선으로 등단했다. 제1시집 『마음 준 파도 못 잊어요』[1980], 제2시집 『호미ㅅ날 쟁기ㅅ날』[19...
-
강릉 출신의 시인 심재상의 첫 시집. 심재상은 1992년 『문학과 사회』 겨울호에 「꿈 위의 그림자」 외 4편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첫 시집 『누군가 그의 잠을 빌려』는 등단 전후의 작품들이 묶인 시집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의 암울하고 혼돈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진실, 혹은 진리에 대한 새로운 암중모색의 시적 발현을 보여주었다. 심...
-
엄창섭(嚴昌燮)의 시집. 『눈부신 약속』은 1990년 도서출판 인문당에서 발간되었다. 엄창섭은 1945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하였다. 이 책에는 저자의 ‘책머리에’에 이어 시 54편...
-
염근수(廉根壽)의 시집. 『다래아가씨』는 1989년 오상출판사에서 발간되었다. 구영주(丘英珠) 시인이 쓴 서문에 의하면 염근수는 강릉시 송정동 팔송정 부근에 살았으며, 80 평생 써 놓았던 시편들을 자녀들이 함께 읽기 위해 출간했다고 한다. 이 시집에는 147편의 시가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다. 제1부 ‘이름 두 자 문패’에 「물새 발자국」 외 32편, 제...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丘英珠)의 수필집. 1988년 오상출판사를 통해 간행한 수필집이다. 구영주 시인은 1944년 서울 정릉에서 태어났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1년까지 KBS 대전방송국·강릉문화방송사 등 언론사에 재직하였고, 1980년 무렵 강릉의 명륜고등학교 국어교사로 근무했다. 1979년 『월간문학』제27회 신인작품상...
-
최갑규의 수필집. 『달빛 뿌려진 강물』은 1987년 한도문화사에서 발간되었다. 최갑규는 아호가 심영(深影)이며, 1924년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서 태어나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학교 교원으로 재임하였다. 한국문인협회·한국전쟁문학회·강릉오죽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회 전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이 책에는 저자의 머리말에 이어 수필 66편이 6부로 나...
-
김완성(金完成)의 시집. 『담배 같은 여자』는 1994년 도서출판 아티스트에서 발간되었다. 김완성은 강원도 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에서 출생하여, 춘천교육대학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월간문학』 신인상(동시부문) 당선, 중앙아동문학상 동시 당선,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 『문학세계』 시 당선 등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한국아동문학상(1983...
-
최갑규의 수필집. 『돌아온 제비』는 1984년 도서출판 문학교육원에서 간행되었다. 최갑규는 아호가 심영(深影)이다. 1924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했다. 강릉중학교 교사를 거쳐 초등학교 교장으로 퇴임했으며, 한국문인협회 회원이다. 각종 문예지에 수필, 동화 등을 발표하며 활발한 문학 활동을 했다. 이 책에는 저자의 머리말, 정순응의 축하의 말에 이...
-
엄창섭(嚴昌燮)의 시집. 엄창섭이 1987년 한국회화연구회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엄창섭은 1945년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이 책에는 저자의 ‘시집을 펴내며’에 이어 연...
-
2016년 간행한 강릉 출신 작가 윤후명의 장편 소설집. 강릉에서 출생한 작가 윤후명(尹厚明)[1946~]은 소설가 이전에 시인으로 먼저 문단 생활을 시작했으며, 시집도 발행하였다. 196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빙하의 새」가 당선되었으며, 1977년 시집 『명궁』을 문학과 지성사에서 발행했다. 197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 소설 「산역」이 당선되면서 소설가의 길...
-
강릉 출신의 시인 이충희의 시집. 『마음 재우며 보는 먼 불빛』는 1995년 도서출판 마을에서 발간되었다. 이충희는 1938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여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고, 30여 년간 초등교사로 봉직했다. 『현대문학』[1979~1982] 추천으로 등단한 후 첫시집 『가을회신』을 출간했다. 갈뫼, 산까치, 해안, 관동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 책에...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丘英珠)의 시집 『마음 준 파도 못 잊어요』는 구영주가 1980년 월간문학사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구영주는 1979년 『월간문학』 제27회 신인작품상 당선으로 등단했다. 이 책에는 서문과 시평에 이어 창작 시 51편이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고, 권미에 시 해설과 시인의 후기가 실려 있다. 서문은 구상이, 시평은 「자연과...
-
김좌기(金佐起)의 시조집. 『먹을 갈다가』는 김좌기가 1989년 대성문화출판사를 통해 펴낸 시조집이다. 김좌기는 1926년 강원도 강릉시 포남동에서 출생하였다. 『시대문학』으로 등단하였으며, 한국시조학회, 한국아동문학연구소, 강원시조문학회, 강릉문인협회, 관동문학회, 강릉오죽문학회, 해안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서예가로도 활동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장으로 퇴...
-
강릉 출신의 시인 이언빈의 첫 시집. 시인 이언빈[1954~ ]은 명주군[현 강릉시] 사천면에서 태어나 강원 대학교 국어과를 졸업했고, 1976년 『심상』지를 통해 등단했다. 이언빈은 이 시집으로 1984년 한국 문화 예술 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문학상 신인부문을을 수상했다. 1983년부터 신승근, 박기동, 심재상 등과 함께 강릉에서 '바다시낭송회'를 열어 큰 호응을...
-
1983년 발표된 강릉 출신 작가 서영은의 단편 소설. 「먼 그대」는 서영은의 단편 소설로 『한국 문학』 1983년 5월호와 『제7회 이상문학상 수상 작품집』에 수록되었다. 중단편 소설집의 제목으로 채택한 『먼 그대』[사피엔스, 2012]도 출판되어 있다. 여주인공 '문자'는 삶에 대한 자신감이 있을 정도로 강인한 내면을 지녔다. 남자[한수]에게 자신의 아이를 뺏기고, 돈을 뜯기면...
-
염근수의 동시집. 염근수의 풍물 시집으로 표제에 ‘어른들을 위한 동시’라고 밝히고 있다. 염근수는 1907년 황해도 배천 출생이다. 1921년 양정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2학년 때 동아일보에 「피꽃」이라는 시를 투고하여 발표한 바 있다. 소년소녀 잡지인 『백두산』과 아동문학지인 『새벗』의 주간과 조선일보 기자를 각각 역임하였다. 1931년에 결혼한 뒤 강릉에...
-
2005년 간행한 강릉 출신 작가 김별아의 장편 소설. 김별아의 장편 소설 『미실(美室)』은 세계일보사가 1억 원 고료를 걸고 진행한 제1회 세계 문학상 수상작이다. 심사평에서 문학 평론가 김윤식은 “미실은 왕후도, 사제도, 기생도 아니었지만 작가의 적극적인 탐구 정신, 거침없는 상상력, 호방한 서사 구조에 의해 진지하게 형상화됨으로써 시공을 뛰어넘어 아름다운 신라 여인으로 되살아...
-
엄창섭(嚴昌燮)의 시집. 『바다와 해』는 엄창섭 시인이 1980년 시문학사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엄창섭은 1945년 강릉에서 출생하여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이 책에는 김영돈의 권두언과 문덕...
-
강릉시 주문진 출신의 시인 김영현의 첫 시집. 김영현[1944~ ]은 강릉시 주문진읍에서 출생하여 주문진 수산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월간 『해륙 문화』 주간을 역임했다. 1987년 영동 지역 문화 무크지 『새벽들』 창간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2007년 오랜 침묵을 깨고 『시경』 상반기호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시작 활동을 재개하였다. 시집 『바다의 일생』은 문단...
-
엄성기(嚴成基)의 동시집. 『바람의 속삭임』은 엄성기의 유족이 2000년 도서출판 아동문예를 통해 펴낸 유고 동시집이다. 엄성기는 1940년 강릉시 구정면 제비리 등고비에서 출생하여 강릉사범학교[1959년]를 졸업했다. 1970년 『월간문학』에 동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1987년 제9회 아동문학작가상, 1993년 제33회 강원도문화상을 수상하였다. 조...
-
박순정의 동요곡집. 강릉 지역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봉직한 박순정이 1999년 도서출판 한국음악교육연구회를 통해 펴낸 노랫말 동요곡집이다. 박순정은 1950년 서울 출생으로 경희여자고등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93년 『포스트모던』을 통해 등단하여, 한국문인협회, 조약돌아동문학회, 솔바람동요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직에 몸담았다....
-
함택균의 소설집. 『비 오는 날의 광상곡』은 1995년 도서출판 북토피아에서 발간되었다. 함택균은 강원도 양양 출생으로 양양중학교와 양양고등학교를 거쳐 강릉교육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하였다. 『문학세계』에 소설 「달구지」를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갈뫼, 발원문학, 관동문학, 열린문학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문학세계 문인회, 강릉문인협회의 임원으로도...
-
이훈·엄창섭(嚴昌燮)의 공동 시집. 『비탈』은 1968년 1월 이훈·엄창섭이 함께 펴낸 시집이다. 이훈은 1945년 11월 11일 강릉에서 출생하여 명주초등학교, 강릉사범대학 병설중학교, 강릉상업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관동대학교 재학 당시 『선문학(線文學)』, 『해안문학(海岸文學)』 동인, 『지평선문학(地平線文學)』 주간으로 활동하였다....
-
김종영(金鍾榮)의 장편 동화집. 『사랑의 종소리』는 1992년 3월 도서출판 아동문예에서 발간되었다. 김종영은 1947년 속초 출생으로 속초영랑초등학교, 속초고등학교, 춘천교육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을 졸업하고, 1972년 『아동문학』 입선 및 『조선일보(朝鮮日報)』 신춘문예 당선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1989년 3월부터 2000년 8월까지 강릉의 연곡초등학교·...
-
강릉 출신의 시인 김유진의 시집. 김유진이 1985년 강원일보사 출판부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이 책에는 박두진의 서문, 김영기의 시 해설에 이어 시 48편이 5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고, 각 분장의 시작 부분에 이종만과 최상집이 촬영한 흑백 사진이 각각 실려 있다. 권미에는 시인의 후기가 실려 있다. 시 해설은 「자연과 고향의 언어-김유진 시인 산계리의 세계...
-
강릉 출신의 시인 엄성기의 시집. 엄성기가 1975년 영진문화사를 통해 펴낸 동시집이다. 엄성기는 1940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사범학교[1959년]를 졸업했다. 1970년 『월간문학』에 동시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조약돌아동문학회, 한국문인협회, 관동문학회, 강릉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초등 교직에 몸담았다. 이 책에는 지은이의 ‘책머리에’에 이어 동...
-
박화의 시집. 박화가 1986년 혜진서관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박화는 본명이 박무화이다. 1932년 경주 출생으로 경북대 국어교육과[1961]를 졸업했다. 『현대문학』[1978년]을 통해 등단하였으며, 사임당교육원 연구사, 강원도교육청 장학사 등 교직에 몸담았다. 이 책에는 시인의 서(序)에 이어 시 77편이 편장 구분 없이 수록되어 있고 권미에 자서, 시...
-
강릉 출신으로 속초에서 주로 활동해온 시인 최명길의 유고 시집. 시인 최명길[1940~2014]의 유고 시집으로, 최명길은 『산시 백두대간』의 서문까지 써놓고 발간을 보지 못한 채 타계했다. 강릉에서 출생한 시인은 강릉 사범 학교와 경희 대학교 교육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1975년 『현대 문학』지에 시 「해역에 서서」·「자연서경」·「은유의 숲」 등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
강원도 강릉에서 활동한 시조 시인 정태모의 시집. 정태모가 1991년에 펴낸 시집이다. 정태모는 1927년 강원도 평창 출생으로 초등 교직에 봉직했다. 196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새판도를 그려야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서울문우회 회원, 교단시 동인, 돌기와 동인으로 활동했다. 이 책에는 작가의 서문에 이어...
-
강원도 강릉에서 활동한 시조 시인 정태모의 시조집. 정태모가 1977년 도서출판 예문관을 통해 펴낸 시조집이다. 정태모는 1927년 강원도 평창 출생으로 초등 교직에 봉직했다. 1964년 『서울신문』 신춘문에에 시조 「새판도를 그려야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서울문우회 회원, 교단시 동인, 돌기와 동인으로 활동했다. 이...
-
엄창섭의 시집. 엄창섭이 1991년 종로서적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엄창섭은 1945년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시집에 『바다와 해』, 『생명의 나무』, 『열매따기』 외 5...
-
조영수(曺永秀)의 시집. 조영수가 1983년 월간문학사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조영수는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 출생으로 제31회 『월간문학』 신인작품상을 수상하여 문단에 데뷔하였다. 제4회 윤동주문학상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미래시·관동문학회·해안문학회·석우문인회 동인으로, 강릉문인협회, 한국시인협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책은 세로쓰기로 편집되어 있으며, 권...
-
1995년 간행한 강릉 출신 작가 김형경의 장편 소설집. 『세월』의 저자 김형경은 1960년 강릉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정숙이다. 소설에도 등장하는 강릉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경희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1983년 『문예 중앙』에 시로 먼저 등단했으며, 1985년 『문학 사상』에 중편 소설 「죽음 잔치」가 당선되면서 소설가로 출발했다. 1993년 첫 장편 소설...
-
최갑규의 수필집. 최갑규가 1993년 교음사를 통해 펴낸 수필집이다. 최갑규는 아호가 심영(深影)으로 1924년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서 태어났다.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 교사, 교감,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전쟁문학회, 강릉오죽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회 전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수필집에 『돌아온 제비』, 『달빛 뿌려진 강물』,...
-
김완성의 시집. 김완성이 1992년 9월 24일 도서출판 오상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김완성은 강원도 원주군 문막면 동화리에서 출생하여, 춘천교육대학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했다. 『월간문학』의 신인상(동시 부문) 당선, 중앙아동문학상 동시 당선,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조 당선, 『문학세계』 시 당선 등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1983년 한국아동문학상...
-
1979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박명자의 첫 시집. 1939년 강원도 강릉시 홍제동에서 출생한 박명자 시인은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고 1958년 강릉의 경포초등학교에 첫 부임하였다. 1961년부터는 남편을 따라 속초로 이주하여 생활하다가 1993년에 다시 강릉으로 돌아와 초당초등학교, 포남초등학교 등 강릉지역에서 교편을 잡았다. 1999년 포남초등학교에서 명예퇴직하였으며, 2017...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의 시집. 구영주가 1989년 도서출판 오상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구영주 시인은 충남 서천군 마서면 장선리 102번지가 본적이며, 출생지는 서울 정릉으로 1944년 1월 28일생이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1년까지 KBS대전방송국, 강릉문화방송사와 1980년 무렵 강릉의 명륜고등학교 국어교사...
-
최인희(崔寅熙)의 시와 수필을 함께 묶은 유고집. 문인 최인희는 1926년 강원도 삼척에서 출생하였으며, 삼척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오대산에서 한문과 불경을 공부하였다. 대구 대륜중학교를 거쳐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였다.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문예지를 통해 등단했다. 강릉여자고등학교, 강릉사범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등에서 교사로 재직하다 1958년 8월 31...
-
강릉 출신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신봉승이 자신의 삶을 정리하며 쓴 자전 에세이집. 신봉승(辛奉承)[1933~2016]은 시인으로 출발해 문학평론가, 라디오 및 TV 드라마 작가, 영화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 역사 에세이스트, 대중가요 작사가, 희곡 작가 등으로 예술 전반에 걸쳐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역사가 지식이다』는 이러한 그의 삶의 궤적을 한눈에 살펴...
-
엄창섭의 시집. 엄창섭이 1994년 도서출판 아티스트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엄창섭은 1945년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 관동대학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1968년 시집 『비탈』을 출간하였으며, 1977년 『시문학』을 통해 문단에 데뷔했다. 시집에 『바다와 해』, 『생명의 나무』, 『열매따기...
-
박화의 시집. 박화가 1992년 도서출판 오늘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박화는 본명이 박무화이다. 1932년 경주 출생으로 경북대학교 국어교육과(1961)를 졸업했다. 1978년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하였으며, 사임당교육원연구사, 강원도교육청장학사 등 교직에 몸담았다. 이 책에는 저자의 ‘책머리에’에 이어 시 80편이 4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고, 권미에 시...
-
강릉 출신 시인 이영섭의 시집. 『원시의 벼랑』은 이영섭이 생전에 펴낸 유일한 시집으로, 이영섭의 시적 염결성과 고향 인식을 잘 보여준다. 시인 이영섭은 1973년 『현대 문학』지에 「겨울 들에서」와 「앉아서 죽는 한낮」이 박두진 시인에 의해 추천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시적 염결성이 강했던 이영섭은 작품을 많이 발표하지 않은 과작의 시인이었다. 처음이자 마지...
-
윤명의 시집.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윤명이 창작시 64편을 묶어 1986년에 출판한 처녀 시집이다. 윤명은 평안남도 평양 출생으로, 본명은 윤의영이다.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58년 『자유문학』에 「흑인상」, 「산가모경」, 「밤바다에서」가 추천되어 등단하였다. 저서로는 『윤명시집』[나남, 1986], 『달맞이꽃』[한누리, 1991]이 있다....
-
강원도 화천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성장한 시인 이인수의 시전집. 강릉 농업 고등학교[현 강릉 중앙 고등학교]와 국학 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시인 이인수(李仁秀)[1928~2003]는 강릉 농업 고등학교에서 발간한 문예지 『영동』에 작품을 발표하면서 지도 교사인 황금찬, 최인희의 영향을 받았다. 황금찬, 함혜련, 최인희, 김유진 등과 함께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
-
1993년에 출간한 시인 김영욱의 창작시집. 김영욱은 1954년 강원도 명주[강릉] 출생으로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식품개발대학원을 각각 수료하였다. 강릉 지역 문화운동단체인 ‘새벽들’의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거지여행』[참세상], 『술』[예가], 『자라자지』[눈]가 있고, 수기로 『낮과 밤의 지옥 부산형제복지원』...
-
김인기의 시집. 김인기가 1991년 도서출판 대한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김인기는 1948년 강원도 강릉 출생으로 1991년 『문학세계』를 통해 등단했다. 관동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직 행정공무원이다. 이 책에는 박재삼의 발문에 이어 시 88편이 4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고, 권미에 시해설이 실려 있다. 제1부 과수원집 딸 「촛불」 외 21편, 제...
-
1997년 간행한 강릉 출신 작가 전세준의 첫 동화집. 전세준은 1940년 강릉에서 태어났다. 1975년 신춘문예 소설 부문 「늪의 소리」로 등단한 후 1993년 한국아동문학연구 신인상을 수상했다. 1997년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에 있는 인쇄소인 '주문인쇄'를 통해 첫 동화집 『잘 키워 드릴게요』를 출판했다. 소설로 등단한 지 24년, 동화로 등단한 지 4년 만에 나온 첫 작품집...
-
1999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권현형의 첫 시집. 시인 권현형은 1966년 강릉에서 태어나 강릉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시와 시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중독성 슬픔』은 시인 권현형의 첫 번째 시집이다....
-
신봉승의 시집. 신봉승이 1990년 1월 5일 도서출판 나남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신봉승은 1933년 강릉 출생으로, 아호는 초당(草堂)이다. 강릉사범학교와 경희대학교 국문학과, 동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현대문학』으로 등단하였으며, 한양대학교, 동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한국방송대상, 아시아영화제 각본상, 한국펜문학상, 서울시문화상,...
-
신봉승의 시집 신봉승이 1993년 갑인출판사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신봉승은 1933년 강릉 출생으로, 아호는 초당(草堂)이다. 강릉사범학교와 경희대학교 국문학과, 동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했다. 『현대문학』으로 등단(시, 평론)하였으며, 한양대학교, 동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한국방송대상, 아시아영화제 각본상, 한국펜문학상, 서울시문화상, 대한...
-
강원도 강릉에서 문단 활동을 하고 있는 이구재의 다섯 번째 시집. 1943년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나 대전에서 성장한 시인 이구재는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1979년 『시문학』에 「친구야」와 「감자 캘 무렵」이 추천되어 등단한 이구재 시인은 강릉으로 이주한 후 강릉 지역에 관한 작품을 창작하는가 하면 지역 문학 단체 활동도 활발하게 펼쳤다. 전국 문단에서는 한국문인협...
-
박영규가 1981년 월간문학사를 통해 펴낸 동시집. 박영규는 1936년 강원도 강릉에서 출생하였으며, 강릉사범학교를 졸업하였다. 1980년 『월간문학』 신인상에 당선되었으며, 조약돌아동문학회, 한국아동문학회 등의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초등학교 교원을 역임하였다. 『초여름 바다』에는 박경종의 ‘머리말’에 이어 동시 64편이 4부로 나누어 수록되어 있고...
-
김영욱의 시집. 김영욱의 개인 시집으로 1995년 백문사에서 간행하였다. 김영욱은 1954년 강원도 명주[강릉] 출생으로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의 식품개발대학원을 각각 수료하였다. 강릉 지역 문화 운동 단체인 ‘새벽들’의 대표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민족문학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제1시집 『거지여행』[참세상], 제2시집 『술』[예가], 제3시...
-
강릉 출신의 시인 김동명이 1938년 신성각에서 펴낸 시집. 『파초』는 시인 김동명(金東鳴)[1900~1968]이 『나의 거문고』[1930]에 이어 두번째로 출간한 시집으로, 「파초」, 「수선화」, 「내 마음은」 등 김동명의 대표작들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김동명이 함경남도 서호진의 전원에 우거할 때 지은 시들을 묶은 것이다. 1938년 신성각에서...
-
강릉 출신의 시인 김동명의 세 번째 시집. 시인 김동명(金東鳴)[1900~1968]이 1936년부터 1941년까지 쓴 시들을 묶어 해방 이후인 1948년에 출간한 시집으로, 『나의 거문고』, 『파초』에 이은 세번째 시집에 해당한다. 산문 「암흑에의 서설」에 따르면, 김동명은 월남하기 전 원고를 정리하여 해방 이전의 시들은 '하늘'이란 제목을, 해방 이후의 시들은 '진주만...
-
최갑규의 수필집. 최갑규가 1990년 1월 30일 도서출판 미리내를 통해 펴낸 수필집이다. 최갑규는 1924년 강원도 강릉시 학동에서 태어나, 강릉농업학교를 졸업한 후 초등학교 교사, 교감, 교장으로 재임하였다. 한국문인협회 강릉지부, 한국전쟁문학회, 강릉오죽문학회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제2회 전쟁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이 책에는 ‘지은이의 이야기’, 정순응의...
-
강원도 양양에서 태어나 강릉에서 자라난 시인 함혜련이 1992년 서문당에서 펴낸 시전집. 시인 함혜련(咸惠蓮)[1931~2005]은 강릉 사범 학교를 졸업한 뒤 황금찬, 최인희, 이인수, 김유진 등과 '청포도' 동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59년 박기원의 추천으로 『문예』지를 통해 등단했다. 함혜련은 다수의 시집과 수필집을 출간하고 미국, 일본에서도 작품을 발표하는 등 왕...
-
최승학의 시집. 최승학이 1999년 한맥문학을 통해 펴낸 시집이다. 최승학은 1948년 강릉 출생으로 강릉고등학교, 춘천교육대학, 관동대학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한맥문학 신인상으로 문단에 데뷔하였으며, 관동문학회, 강릉문협, 태백문협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현재 교직에 몸담고 있다. 이 책에는 원영동의 서문에 이어 시 90편이 6부로 나누어 수...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의 시집 구영주의 창작 시집으로 1981년 심상사에서 간행되었다. 구영주 시인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선리 102번지가 본적이며, 출생지는 서울 정릉으로 1944년 1월 28일생이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1년까지 KBS대전방송국, 강릉문화방송사와 1980년 무렵 강릉의 명륜고등학교 국어...
-
강릉 지역에서 활동한 시인 구영주의 시집. 구영주의 개인 시집으로 1988년 오상출판사에서 간행하였다. 구영주 시인은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선리 102번지가 본적이며, 출생지는 서울 정릉이다.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1965년]를 졸업하였으며, 1979년 『월간문학』제27회 신인작품상 당선으로 등단했다. 제1시집 『마음 준 파도 못 잊어요』[1980], 제...
-
김원기의 유고시집. 김원기의 유족들이 1989년 시인의 1주기를 맞아 대성문화사를 통해 펴낸 유고시집이다. 김원기는 1937년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여찬리에서 출생하여 강릉사범학교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를 졸업했다. 1962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었으며, 1980년 『현대시학』을 통해 등단했다. 강원도문화상, 한국아동문학작가상을 수상하였다. 강릉문협, 한...
-
김교현의 동시집. 김교현이 1993년 도서출판 아동문예를 통해 펴낸 동시집이다. 김교현은 1945년 충북 단양에서 태어났다. 영월 주천초등학교[1958], 영월 주천중학교[1961], 춘천고등학교[1964], 춘천교육대학[1967]을 졸업하였으며, 강릉시 노암초등학교 등에서 초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 한국아동문학인협회, 한국아동문예작가회, 한국아동문학연구소,...
-
정태모의 시집. 정태모가 1978년 삼진사를 통해 펴낸 시집이다. 정태모는 1927년 강원도 평창 출생으로 초등학교 교직에 봉직했다. 1964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조 「새판도를 그려야지」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한국문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서울문우회 회원, 교단시 동인, 돌기와 동인으로 활동했다. 이 책은 세로쓰기로 편집되어 있으며, 작가의 서...
-
2009년 간행한 강릉 출신 시인 심은섭의 첫 시집. 『K 과장이 노량진으로 간 까닭』은 시인 심은섭[1957~]이 2004년 시 전문지 『심상』 등단 이후부터 활동한 작품들을 모은 시집이다. 이 시집에는 일상에서 만나는 사물의 의미를 새로운 상상의 체계를 통해 재해석하는 작품과 '나'에 대한 자아의 성찰을 통해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시적 상상력을 보여 주는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