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한 서예가. 고재봉(高在烽)[1913~1966]의 본관은 제주(濟州)이며, 호는 석당(石堂)이다. 고재봉은 1913년 8월 23일 지금의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성덕리에서 태어났다.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1903~1981]에게 서예를 배웠다. 1938년 이리 북창동[현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1가]으로 이사하여 광고사인 청...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서예가이자 교육가. 권갑석(權甲石)[1924~2008]은 1924년 1월 4일 지금의 익산시 춘포면에서 태어났다. 호는 여산(如山)이다. 1944년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교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익산시와 군산시의 교육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 전라여자중학교 교장을 끝으로 정년퇴임하였다. 권갑석은 1973년 한국서예연구회를...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거문고 명인. 김용근(金容根)[1885~1963]은 1885년 익산에서 태어나 1920년 지금의 정읍시 신태인읍으로 이주하였다. 호는 금사(琴史)이다. 가곡 반주에 능했던 김경남(金景南)의 문하에서 거문고를 배웠다. 1935년 정읍 아양정(峨洋亭)에서 정악원(正樂院)을 설립하였고, 1954년 정읍, 고창, 부안, 김제 등의 율객을 모아 초...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거문고산조 명인. 신쾌동(申快童)[1910~1977]의 호는 금헌(琴軒)이며, 거문고산조를 완성하고 거문고 병창을 처음 창작하여 연주하였다. 신쾌동은 1910년 지금의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뜻에 따라 9세부터 20세 무렵까지 박생순에게 양금·대금·단소, 박학순에게 가야금, 정일동에게 거문고 정악, 백낙준(...
-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한 국악인. 오정숙은 1967년 스승인 동초 김연수의 전수 장학생으로 들어가면서 남성고등학교 인근에 있는 소라단에서 본격적인 소리 공부를 하여 춘향가, 수궁가 등 판소리 5마당을 완성시켰다. 2002년부터 2008년 사망하기 전까지 익산시 남중동에 거주하며 국악 인재 양성에 헌신하였고, 익산이 판소리 등 국악활동이 활발한 전통문화...
-
개항기 익산 출신의 판소리 명창. 유공렬(劉公烈)[1864~?]은 익산 출신의 동편제 판소리 명창이다. 유공렬은 1864(고종 1) 익산에서 태어났다. 15세 때부터 박만순(朴萬順)에게서 소리를 배웠으며, 이후 운봉과 남원에서 5년간 홀로 공부하였다. 조선 후기 8명창 중 한 사람인 정춘풍의 수제자라는 설도 있다. 유공렬은 30세 무렵에 ‘전주 통인...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교사이자 시인. 이광웅(李光雄)[1940~1992]은 1940년 8월 2일 익산에서 태어났다. 이리중앙초등학교와 남성중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59년 한국외국어대학교 불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가정 형편이 어려워 자퇴하였다. 1963년 전북대학교 국문학과에 입학하였으나 다시 자퇴하였다. 시인 신석정(辛夕汀)[1907~1974]과 친분을 쌓으며...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국문학자이자 시조시인. 이병기(李秉岐)[1891~196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호는 가람(嘉藍)이다. 아버지는 변호사 이채(李俫)이다. 국문학자이자 시조시인으로 고전 연구와 시조의 혁신에 기여하였다. 이병기는 1891년 3월 5일 지금의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전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1912년...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영화배우. 이집길(李集吉)[1923~1955]은 1940년대 말과 1950년대 중반까지 활약한 익산 출신의 영화배우이다. 이집길은 1923년 지금의 익산시 함라면에서 태어났다. 일제 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음악대학을 졸업하였다. 1945년 광복 후 귀국하여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중반까지 최고의 배우로 활약하면서 김진규...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서예가이자 사업가. 이집천(李集阡)[1900~1959]의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호는 하당(荷堂)이다. 할아버지는 이석순이고, 아버지는 이배원(李培源)이다. 아들은 이화영이다. 이집천은 1900년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에서 태어났다. 보성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유학하여 1919년 니혼대학[日本大學] 법학...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판화가이자 출판인. 이항성(李恒星)[1919~1997]은 판화가이자 출판인으로 해외 예술 활동과 다양한 미술 서적 발간으로 미술계 발전에 기여하였다. 본명은 규성(奎星)이고 항성은 필명이다. 이항성은 1919년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서 태어났다. 1947년부터 초중등학교 미술교과서를 발간하였고, 1956년 미술 전문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시인. 정사섭(鄭四燮)[1910~1944]은 익산 출신으로 에스페란토(Esperanto)로 쓴 시집을 1938년 프랑스 파리에서 발간한 한국인 최초의 에스페란토 시인이다. 정사섭은 1910년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서 태어났다. 1922년 공립 전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으며, 1924년 학교 교무 개정을 요구하는 동맹휴...
-
일제 강점기 익산 출신의 판소리 명창. 정정렬(丁貞烈)[1876~1938]은 1876년 지금의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에서 태어났다. 소리꾼으로서의 재능을 보여 부모의 뜻에 따라 7세 때부터 정창업(丁昌業)[1847~1889]과 이날치의 문하에서 소리 공부를 하였다. 1891년부터는 익산의 심곡사(深谷寺)와 충청남도 홍산(鴻山)의 무량사(無量寺), 공주의 갑사(甲寺) 등에서...
-
개항기 익산 지역에 거주한 판소리 명창. 정창업(丁昌業)[1847~1889]의 본관은 금성(錦城)이다. 아들은 명창 정학진(丁學珍)[1863~1912]이고, 손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인 정광수(丁珖秀)[1909~2003]이다.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2호 수궁가 보유자 정의진(丁意珍)이 증손녀이다. 정창업은 1847년(헌종 13) 함평에서...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활동한 관료 출신 화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의 본관은 평강(平康)이고 자는 대유(大有), 호는 석지(石芝)·석강(石江)·정산(定山)이다. 어릴 적 이름은 채동근(蔡東根)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 채권영(蔡權永)이다. 채용신은 1850년(헌종 14)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에서 태어났다. 1886년(고종...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활동한 서예가이자 대학교수. 최정균(崔正均)[1924~2001]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호는 남정(南丁)이다. 원광대학교에 우리나라 최초의 서예학과를 개설하여 서예와 문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최정균은 1924년 4월 20일 전라북도 임실군 지사면 금평리에서 태어났다. 1956년 원광대학교 문학부 교학과를 졸업한 뒤 원광중...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시조시인이자 국문학자. 황희영(黃希榮)[1922~1994]은 1922년 9월 18일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서 태어났다. 시조시인이자 국문학자이며, 호는 추강(秋江)이고 필명은 삼영(三永)·곰개·보람이다. 황희영은 1941년 고창중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전라북도 지역 내 국민학교 교사로 근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