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요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남도민요. 「둥당기타령」은 호남 지역의 남도민요이자, 전라남도 서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여성들이 부르는 부요(婦謠)로 전승되는 가창유희요이다. 「둥당애타령」, 「둥당애당」, 「둥당에타령」, 「흥글소리」 등의 이름으로 일컫기도 한다. 제목의 ‘둥당기’는 가야금 소리를 흉내 낸 것이다.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둥...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대리에 전하여 오는 노동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은 예부터 넓은 평야 지역으로, 벼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민요가 전하여 오고 있다. 「등짐소리」는 익산의 벼농사 관련 운송노동요 중 하나이다. 무거운 등짐을 진 채로 부르는 소리이기 때문에 가락이 길고 구성지며, 사설은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이 많다. 「나락등짐소리」, 「벼등짐소리」 등으로 불...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모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모심는소리」는 전라북도 익산시를 비롯한 논농사가 행해지는 지역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지역마다 다양한 「모심는소리」가 전하는데, 익산 지역을 비롯한 전라북도의 「모심는소리」는 후렴구에 ‘상사뒤여’가 반복되기 때문에 「상사소리」라고 한다. 노동 행위에 맞춰서 「모내기노래」, 「이앙가」라...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에 전하여 오는 농업노동요. 「모심는소리」는 농촌에서 모를 심는 집단 노동을 행할 때 부르는 기능적 농업노동요를 말한다. 「모심는소리」는 지역마다 지역성을 띤 노래가 다양하게 전하여 오고 있는데, 전라북도 지역의 「모심는소리」는 후렴에 ‘상사디여’가 반복되기에 「상사소리」라고도 한다. 전라도 지역을 대표하는 「모심는소리」 중 하나가...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해오는 통속민요이자 어업노동요. 「뱃노래」는 해안가나 섬 지역에서 노동요로서 전하여 오는 민요이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에 일부 국악인들이 방송 등을 통해서 부르기 시작하면서 일반에 두루 알려지고 지역에 상관없이 널리 불렸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뱃노래」가 전하여 오는 지역은 강과 바다가 접하고 있어서 과거 노동 현장에서도 가창되었...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농업노동요. 「벼방아찧는소리」는 전국에 분포하는 노동요인 「방아소리」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방아소리」는 논을 맬 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데,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추수한 벼를 찧으면서 「벼방아찧는소리」를 부른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소리는 빠른 장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노동의 효율을 높이고자 불렸다. 한편, 판소...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농업노동요. 「벼베는소리-벼베는산야」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대리와 성당면 대선리에서 전하여 온다. 「벼베는소리-벼베는산야」는 논에서 낫으로 벼를 베거나 묶으면서 부르는 노동요로서, 일하는 주변 풍경을 묘사하거나 일꾼들의 노동을 격려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원래 농업노동요 중 기능상 ‘벼베는소리’로 분류되는 소리는 전국 거의...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농업노동요. 「벼타작소리-개상질소리」는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에서 전하여 오는 민요로, 가을 추수를 끝내고 나서 벼 이삭을 덜어서 낟알을 거둘 때 부른다. 벼타작은 벼 털기, 도리깨질하기, 검불 날리기 등 세 과정으로 진행되는데, 「벼타작소리-개상질소리」는 벼 털기 과정에서 부른다. 벼 털기는 이삭을 떨어내는 농기구인 개상...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부녀요. 「아기 어르는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아기 어르는 소리」는 아이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로, 특히 아이를 재울 때나 칭얼대는 아이를 달랠 때 부른다. 노래가 아이를 대상으로 하지만, 주요 전승 집단이 여성인 부녀요이다. 민요 분류법에 따르면 가사노동요 중...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둥당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다섯 번째 노래이다. 특별한 기능성은 보이지 않으며 남녀가 모두 어울려서 굿거리장단에 맞춰 흥겹게 부른다. 「둥당기타령」은 다양한 기능(유희요, 시집살이요 등)을 지니고 있는데, 전북 익산의 「둥당기타령」은 남자들이 지게목발을 두들기면서 부르는...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두 번째 노래이다. 무거운 등짐을 진 고됨을 노래하기에 느린 중모리장단에 맞춰 구성지게 부른다. 1973년 6월 30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익산목발노래」는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총 여섯 편의 민요를 모아 하나의 구성으로 묶은 것...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일대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두 번째 노래이다. 노동 현장을 묘사하며 인생사의 회한을 토로하는 내용이기에 느린 진양조장단에 맞춰 구성지게 부르고, 노래를 마치면 풍물을 치고 다음 노래인 「익산목발노래-등짐소리」로 넘어간다. 1973년 6월 30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상사소리」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여섯 번째 노래이다. 전라북도 지역 「모심는소리」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는 노래로, 노동 현장에서 노동의 리듬감은 살리고 피로감은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중중모리장단에 맞춰 구성지게 부른다. 1973년 6월 30일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작대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네 번째 노래이다. 특별한 의미나 기능을 지닌 독립적인 노래라기보다는 놀이판의 흥을 고조시키려고 부른 노래이기에, 굿거리장단에 맞춰 흥겹게 부른다. 지게 작대기로 목발[지겟다리]을 치며 부른 데에서 ‘작대기타령’이라는 제목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익산목발노래-지게목발노래」는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익산목발노래」 중 세 번째 노래이다. 일꾼들이 목발[지겟다리]을 작대기로 두드리며 엇모리장단으로 흥겹게 부르는 노래로, 콩을 수확하는 기쁨을 표현하는 가사를 담고 있어 「콩꺾자」라고도 불린다. 〈산타령·긴육자배기〉, 〈등짐소리〉, 〈지게목발노래·콩 꺾자〉, 〈작...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민요. 「작대기타령」은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이다. ‘작대기타령’이라는 제목은 농군과 나무꾼들이 작대기로 지겟다리를 치면서 부르는 노래라는 데에서 연유한 제목이다. 2010년 12월 28일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신대리의 제보자 강매실에게서 채록된 「작대기타령」의 가락과 노랫말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증편 한국...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유희요. 전통 시대에 농사꾼들은 넓은 들에 모를 심고 음력 7월 보름인 백중까지 논매기를 마친다. 논매기가 끝나면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대충 끝난 것으로, 가을 추수까지 농사의 풍흉은 하늘에 맡기게 된다. 마지막 논매기는 일명 ‘만도리’라 불리는데, 만도리를 끝내고 농사가 가장 잘된 집의 일꾼을 농사 장원으로 뽑아서 풍장[풍물]을 치면서...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기능요.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지경소리」는 집을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를 다지면서 부르는 기능요이다. 일꾼들은 터를 다질 때 쓰는 돌인 지경돌을 줄로 묶어 여러 갈래에서 부여잡고 「지경소리」를 신호로 맞춰서 땅을 다진다. 「지경소리」는 집터를 다지는 노동의 기능성을 담지하고 있기에 신호성, 질서성, 능률성을 높이려...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죽촌리에 전하여 오는 육아요.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죽촌리 도촌마을에서 채록된 「풀무타령」은 아기를 어르면서 부르는 유희적 민요이다. 본래 대장간에서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던 노동요였으나, 여성이 아이를 키우면서 부르는 노래로 기능이 변이된 것이다. 「풀무타령」이 아이를 어르는 소리로 불리게 된 데에는 대장간에서 센 불을 만지듯이 아이들...
유희요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서 전해 오는 경기 통속민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상낭마을에서 채록된 유희요인 「군밤타령」은 흔히 경기민요의 하나로 분류되지만, 20세기에 들어 창작된 신민요 중 하나이다. 1932년에 녹음된 유성기 음반에 전수린이 작곡한 「군밤타령」이 수록되어 있어 창작민요임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군밤타령’이라는 제목은 “얼싸...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에서 전하여 오는 신민요. 「꽃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 신촌마을에서 채록된 호남 지역의 신민요이다. 원래는 박헌봉이 작사하고 박귀희가 작곡하여 가야금 병창으로 부르는 노래이며, 여인들이 봄에 꽃놀이를 하면서 부르기도 하고, 시집간 딸이 친정 부모의 생일을 축하하며 부르기도 하였다고 한다. 익산 지역에서 불렀던 「꽃타령...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경기도 지역 신민요. 「노들강변」은 1930년대 초에 신불출이 노랫말을 짓고 문호월이 작곡한 신민요로, 발표된 이후 여러 경기민요 명창들에 의해 불러지면서 전국적으로도 널리 애창되며 크게 유행하였다.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의 장암마을과 상낭마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의 신촌마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의 상조...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전승되는 경기 지역 신민요. 「도라지타령」은 1930년대 이후에 형성된 매우 인기 있는 경기민요풍의 신민요이다. 「길경타령(桔梗打令)」이라고도 한다. 「도라지타령」의 노래 제목은 “도라지 도라지”로 시작되는 독창 사설에서 연유된 것이다. 「도라지타령」은 본래 다양한 독창 사설에 후렴이 붙고, 후렴도 세 종류나 되어 가창자의 기호에 따라 선...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 전승되는 경기 통속민요. 「매화타령」은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 상낭마을에 구전되어 오는 경기 통속민요이며,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주제로 한 유희요이다. 「매화가」라고도 한다. 원래는 경기잡가의 하나인 「달거리」의 끝에 불리던 노래가 민요로 독립하여 여러 지역으로 퍼진 것이다. ‘매화타령’이라는 노래 제목은 후렴의 가사...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전해오는 경기민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 신촌마을에 전하여 오는 「사랑가」는 남녀 간의 깊은 사랑을 노래한 통속민요 중 하나이다. 「사랑가」는 일반적으로 판소리 「춘향가」 중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사랑을 표현한 대목에 부르는 소리를 이르거나, 민요·잡가 중에서 남녀의 사랑을 주제로 한 여러 노래를 통칭하는 것이기도 한다...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해 오는 가창유희요. 1910년대 서울 지역에서 많이 불리던 「사발가」는 20세기 이후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불리던 유희요이다. 사설 내용은 고정성에서 벗어나 노래하는 이의 능력에 따라 현장 상황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주되는데, 초기에는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울분을 토로하는 내용을 담았다가, 나중에는 임에 대한 그리움이나 기다림을 다루었다. 노래가...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남도잡가.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전승되는 「새타령」은 여러 새를 대상으로 소리와 모습을 묘사한 남도잡가이다. 「새타령」은 조선 후기부터 불린 것으로 추정되며, 남도잡가 중에서도 역사가 오래된 것으로 분류되는 가창유희요이다. 판소리의 삽입가요로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이날치, 박유전, 이동백 등의 명창들이 「새타령」에 능하였다고...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에 전하여 오는 민요.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대선리 회선마을에서 채록된 「선화공주」는 익산에만 전하는 지역 민요로서, ‘서동요’라 부르기도 한다. 익산 지역에 전승되는 ‘선화공주와 서동’ 설화를 활용해서 창작된 민요로 보인다. 현재 전하는 「선화공주」는 1절과 2절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래는 3절로 된 노래였다고 한다. 1절 내용...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에 전승되는 함경도 신민요. 「신고산타령」은 함경도 민요로, 개화기에 만들어진 신민요이다. 후렴에 “어랑 어랑”이라는 노랫말이 나오기에 「어랑타령」이라고도 한다. ‘신고산타령’이라는 제목은 “신고산이~”로 시작된 가사의 첫머리 때문에 붙여졌다. 「신고산타령」의 ‘신고산(新高山)’은 1914년 경원선 개통으로 당시 함경남도 안변군 고...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남도잡가.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채록된 「육자배기」는 원래 호남 지역에서 논매기를 하거나 나무꾼이 나무를 하면서 불렀던 향토민요였는데, 1900년대 초반에 잡가와 서양식 악곡의 활성화 등의 영향으로 남도잡가로서의 사설과 악곡이 완성되었다. 이후로는 남도잡가 또는 남도선소리를 대표하는 주요 악곡으로 노래되고 있으며, 전라도 지역에서...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유희요.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전하여 오는 「이거리 저거리 각거리」는 아이들이 다리세기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동요이자 유희요이다. 다리세기놀이 또는 다리짚기놀이는 두 사람 이상이 마주 앉아 서로 다리를 엇갈리게 끼우고, 순서대로 다리를 짚으며 노래를 부르다가 노래가 끝났을 때 짚은 다리를 빼는 것을 여러 차례 반복하여 맨 나중에 다...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여성들이 부르는 통속민요. 「이별가」는 주로 여성이 떠나는 님을 그리며 슬픈 감정을 담아 부르는 민요이다. 「이별가」의 사설과 장단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고 불리는데, 예컨대 판소리 영향이 강한 지역은 판소리 「춘향가」에서 이몽룡과 성춘향이 이별하는 대목을 「이별가」로 지칭하기도 한다.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채록된 「이별가」는 작자 미상...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에 전승되는 유희요. 「쾌지나칭칭나네」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에 전하여 오는 경상도 민요이다. 「쾌지나칭칭나네」는 ‘쾌지나칭칭소리’, ‘치기나 칭칭나네’, ‘칭칭이소리’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데, 익산 지역에서는 ‘칭칭가’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노래 명칭은 받는소리에서 “쾌지나 칭칭 나네.”라는 노랫말을 반...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경기민요. 「태평가」는 경기민요 양식의 신민요이다. 「태평가」의 원제목은 「태평연」으로, 1935년에 정사인이 작곡하고 강남월이 작사한 노래다. 광복 후의 경기민요 명창 이은주가 일부 가사와 노래 제목을 바꿔 부르게 되면서 ‘태평가’라는 명칭으로 칭하게 되었고, 이후 경기민요 명창들이 「태평가」를 애창하게 되면서 경기민요 중 하...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기양리에 전하여 오는 강원도 민요. 「한오백년」은 「정선아리랑」, 「강원도아리랑」 등과 함께 강원도를 대표하는 민요로, 강원도 향토민요 아리랑류 노래 중 「긴아라리」에서 변형된 민요이다. ‘한오백년’이라는 노래 제목은 후렴에 ‘한 오백 년’이라는 노랫말이 나온 데에서 유래하였다. 부재하는 임에 대한 원망과 자탄을 느리고 낮은 가락으로 부...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에 전하여 오는 유희요.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내촌리 방축마을에서 불리는 「화투노래」는 화투의 열두 패를 1년 열두 달에 비유하여 노래한 도구유희요이다. 화투에는 정월부터 섣달까지 각 달을 상징하는 열두 종류의 그림이 있다. 「화투노래」는 1년 열두 달이라는 시간의 흐름을 열두 종의 화투 그림에 투영하여 각 달의 특색과 부르는 이...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에 전하여 오는 남도민요.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소맹마을에서 불러지는 「흥타령」은 전라도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하여 오는 대표적인 남도민요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불리는 「흥타령」은 「천안삼거리」로 알려진 「경기도흥타령」과 구분하기 위해 「남도흥타령」이라 부르기도 한다. ‘흥타령’이라는 명칭은 “아이고 대고 흥/ 성화가 났네...
의식요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장례의식요. 전라북도 익산시에서는 사람이 죽었을 때 죽은 이의 친지들은 죽음을 슬퍼하며 애도의 시간을 가지고 나서 죽은 이의 시신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여꾼들이 선창자의 가사에 맞추어 부르는 노래가 「상여소리」[「상엿소리」]이다. 「상여소리」는 과거에 장례 현장에서 많이 불렸던 노래로, 가사와 장단의 구성에서...
무가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전하여 오는 남도민요. 「성주풀이」는 처음에는 집안의 무사태평과 번영을 빌고자 벌이던 성주굿에서 무당이 부르던 무가(巫歌)였다가 민간에 퍼져 민요화된 남도민요이다. 원래 무가로서의 「성주풀이」는 집터를 관장하는 성주신의 근본을 푸는 본풀이 무가로, 집을 새로 짓거나 이사를 하였을 때 성주받이를 하면서 불렀다. 민요화된 「성주풀이」도 성주받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