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울릉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0489
한자 鬱陵記
영어음역 Ulleungg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시문집
관련인물 이영옥(李英玉)
저자 이영옥(李英玉)
책수 3책
가로 20.6㎝
세로 31㎝
소장처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처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 56-1

[정의]

조선 후기 이영옥이 울릉의 역사·지리 등에 관해 쓴 문헌.

[편찬/발간 경위]

서문이나 발문 등이 일체 없어 간행 관계는 미상이며 목차도 없는데다 권별로 분류되어 있지도 않다. 또 내용별로 분명하게 구분되어 있지도 않다. 저자에 관해서도 부록이 수록되어 있지 않아 상세히는 알 수 없다.

제1책과 제2책 맨 앞에 ‘왕고실암선생부군유고(王考實庵先生府君遺稿)’라고 한 다음 ‘실암이영옥자형저(實庵李英玉子衡著)’라고 쓰여 있어 저자의 성명, 호(號), 자(字)를 알 수 있으며 기타 본서의 내용을 통해 본관은 전주, 활동 시기는 순조 때라는 것과 경전, 특히 성리학에 밝은 학자라는 사실을 알 수 있을 뿐이다.

[형태]

판본은 필사본이며, 3책이다. 크기는 가로 20.6㎝, 세로는 31㎝이다. 전 3책 중 제1책에 「울릉기(鬱陵記)」라는 글이 실려 있다.

[구성/내용]

제1책에는 「치택십책(致澤十策)」·「수차책(水車策)」·「서주문답(西疇問答)」·「울릉기(鬱陵記)」·「악역불가불위지성설(惡亦不可不謂之性說)」·역자해(易字解) 등 문 20수, 「상사(尙辭)」·「상이장별지(上李丈別紙)」·「답이장별지(答李丈別紙)」·「아송고정이단(雅誦考訂二段)·「성수명호(星宿名號)」·「분지구영(分至晷影)」·「영추경(靈樞經)」·「생생결(生生訣)」·「제양와설하(題養窩說下)」·「제최동표화상(題崔東表畵像)」·「책제(策題)」 등 잡저(雜著) 11수가 있다.

「치택십책」은 치군오책(致君五策)과 택민오책(澤民五策)을 밝힌 것으로 치군오책은 ‘척가호지의 익수겸광지실(斥加護之議 益守謙光之實)’, ‘제각탕지거 익진보색지도(除却湯之擧 益軫保嗇之道)’, ‘간행행지절 익특존엄지체(簡行幸之節 益特尊嚴之體)’, ‘원형옥지사 익소청명지배(遠刑獄之事 益昭淸明之輩)’, ‘찰붕당지점 익회화평지치(察朋黨之漸 益恢和平之治)’를 말한 것이며, 택민오책은 ‘개폐군이광토지(開廢郡以廣土地)’, ‘금남초이전가색(禁南草以專稼穡)’, ‘손공첩이권본업(損空帖以勸本業)’, ‘견잡역이서민력(見雜役以舒民力)’, ‘한전장이균생리(限田庄以均生理)’를 말한 것이다.

「치택십책」은 붕당(朋黨), 형옥(刑獄), 지리, 농사, 공첩, 잡역 등 정치, 경제, 사회 문제 등을 다룬 것이다. 「수차책」은 물을 이용하는 것 중에는 수차의 이익이 크다고 지적한 후 수리(水利)를 넓히려면 수차를 만드는 것이 으뜸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이유 13개 항을 들었다 . 「서주문답」은 「수차책」의 부록으로 수차의 이점을 부연·강조한 것이다. 「울릉기」에는 울릉도의 역사, 위치, 지리 등이 밝혀져 있다.

잡저 11수의 내용은 경전 설명, 서(書), 발(跋) 등으로 이 중 「상사」는 주역 등 경전 76절을 이천(伊川), 주자(朱子), 호운봉(胡雲峰) 등의 주석 등을 인용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이장별지」와 「답이장별지」는 주로 대학(大學)의 명덕(明德) 등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제2책에는 시 250여 수가 있다. 제3책에는 시 120여 수, 문 18수[「과시백선서(科詩百選序)」, 「설시첩발(雪詩帖跋)」 등], 묘갈문 5편[「도총관증병판류공묘갈명(都摠管贈兵判柳公墓碣銘)」 등], 통문 2편, 잡저 5편[「태학향(太學鄕)」, 「음주례시정대사성단(飮酒禮時呈大司成單)」, 「위인잠(委人箴)」, 「답서판관별지(答徐判官別紙)」, 「제여사제강후(題麗史提綱後)」] 등이 있다.

별고(別藁)로 시 「대찬정종대왕만사(代撰正宗大王挽詞)」 등 89수, 문 「대공충도유생송재덕등상소(代公忠道儒生宋在德等上疏)」, 「과제자방유유자기상론(科題子房有儒者氣像論)」, 「과제일월재행론(科題日月在行論)」, 「이광주판관문(移廣州判官文)」 등 4수, 「삼재랑연보유수장(三齋郞聯報留守狀)」, 「상판금오별지(上判金吾別紙)」, 「대요원저호판소지초(代僚員抵戶判小紙草)」, 「의윤대소회(擬輪對所懷)」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