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500937 |
---|---|
한자 | 鬱陵島-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
지역 | 경상북도 울릉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동순 |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을 작품 배경으로 한 대중가요.
[개설]
울릉도에 사는 처녀와 육지에 고향을 둔 청년의 비극적 사랑을 주요 내용으로 한 노래이다. 대중가요의 전형적 투식이라 할 수 있는 사랑과 이별이 등장하는데 울릉도에서 사랑을 나누던 남녀는 어떤 연고로 헤어지게 된다. 남자는 묵호로 떠나고 여자는 울릉도에 그대로 남아 떠난 남자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일방적 사랑을 그리고 있다.
[구성]
전체 2절 구성으로, 1절에서는 울릉도의 동백꽃을 작품 이미지로 떠올리며 이별의 아픔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남녀의 사랑이 비련임을 일깨워주는 뱃고동 소리는 일종의 시적 소도구이다.
[내용]
1. 울릉도 동백꽃이 곱게나 피면/ 섬 처녀 빨간 순정 안으로 타네./ 묵호로 떠난 님이 돌아올까 봐/ 뱃고동 울 때마다 가슴 설레는/ 포구에 피는 사랑 울릉도 사랑
2. 울릉도 동백보다 새빨간 정을/ 버리고 가신 님은 오시지 않네./ 묵호로 떠나가는 뱃고동 소리/ 나도야 님에게로 찾아 갈까나./ 포구에 지는 사랑 울릉도 사랑
[의의와 평가]
이 노래의 작사가 월견초의 본명은 서정권이다. 서술 방식이 지나치게 상투적이어서 대중적 미학의 진실성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작사자 이종묵의 연보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 노래를 부른 가수가 김세레나인 것을 보면 1970년대 작품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