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려장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01186
한자 高麗葬-
영어의미역 Tale of Goryeoja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집필자 조은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설화|효행담
주요 등장인물 아들|어머니|임금
관련지명 울릉도
모티프 유형 고려장을 하지 않은 효성 지극한 아들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려장 이야기.

[개설]

육지에서도 고려장이 없어지게 된 유래에 관한 설화는 두 가지의 유형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나는 중국에서 낸 문제를 효자가 맞혀 그 상으로 고려장이 없어졌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할아버지를 지고 온 지게를 손자가 가지고 가려고 하여 아버지가 어린 아들에게 그 이유를 묻자 다음에 아버지가 늙으면 버리려고 가지고 간다는 말에 불효자가 뉘우친다는 이야기이다.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전해 오는 전설은 효자가 등장하고 지리적 특징 때문에 중국은 거론되지 않고 지역의 특징에 맞게 변용되어 전승되고 있다.

[채록/수집상황]

2007년 울릉군지편찬위원회에서 편찬한 『울릉군지』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옛날 고려시대 울릉도에 효성이 지극한 아들과 나이 일흔이 되는 어머니가 있었다. 아들은 나이가 일흔이 넘으면 고려장을 하는 나라의 법을 따라야 했으나, 살아 있는 어머니를 묻을 수가 없어 망설였다. 결국 아들은 산속 높은 곳에 넓고 평평한 반석이 있어 이곳에 어머니를 고려장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어머니는 아들이 괴로워할까 봐 걱정이 되어 말도 못하고, 아들은 어머니에게 죄스러워 말도 못하고 서로의 가슴은 찢어지는 것처럼 괴로웠다.

길이 매우 멀어서 몇 번씩 쉬면서 가는데, 어머니는 먼 길을 업고 오느라고 힘들 아들 생각을 하니 혹시 아들이 길을 잃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 쉴 때마다 나뭇가지를 꺾었다. 드디어 목적지에 도착하였다. 어머니는 슬펐지만, 아들의 섭섭해하는 마음을 잘 알고 있어 겉으로 드러내지 않았다. 아들은 어머니가 아들이 잘 살기를 바라는 말을 하자, 가슴이 메어지는 것 같았다.

해가 서산으로 뉘엿뉘엿 넘어가려고 하자 아들은 거짓말로 집에 가서 저녁밥을 가져온다고 하였다. 어머니는 혹시 내려가는 길을 모르면 나뭇가지 꺾인 것을 보고 따라가라고 하였다. 이 말을 듣고 아들의 가슴은 더욱 찢어지는 것 같았다. 집에 돌아와서 어머니가 살림 걱정이며 길을 잃을까 걱정하여 나뭇가지를 꺾어 두었더라는 이야기를 아내에게 하자 아내는 어머니를 다시 모셔오자고 하였다.

고려장을 하지 않고 어머니를 모셔 온 일이 나라 전체에 알려지면서 아들은 임금 앞에 불려 가게 되었다. 아들의 전후 사정 이야기를 들은 임금도 아들의 효성과 어머니의 자식 사랑에 감동하여 어명을 내려 고려장을 없애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고려장 이야기」의 모티프는 부모가 일흔 살이 되면 반드시 고려장을 해야 하는데, 효성이 지극한 아들이 자신보다 자식을 더 걱정하는 어머니를 보고 고려장을 하지 않는다는 효행담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부모에 대한 효의 실천도 강조하지만, 더 나아가 노인 공경에 대한 사회 인식을 더욱 확산시키려는 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