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수토의 흔적, 각석문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D02010003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태하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호동

삼척영장 등 조선 후기 울릉도를 수토하러 온 관리와 검찰사 등은 이곳 태하로 주로 들어왔다. 그 흔적이 각석문으로 남아 있다. 바로 태하리의 각석문과 1936년 도동항 수축공사지에서 발견된 각석을 들 수 있다. 앞의 각석문은 영조 11년(1735)에 수토관 삼척영장 구억(具億) 군관(軍官) 최린(崔燐) 왜학(倭學) 김선의(金善義)가 순찰한 기록이고, 뒤의 각석문에는 수토관인 절충장군삼척영장겸첨절제사(折衝將軍三陟營將兼僉節制使) 박석창(朴錫昌)의 이름과 이를 수행한 군관 절충 박성삼(朴省三)·절충 김수원(金壽元), 왜학 한량 박명일(朴命逸), 군관 한량 김원성(金元聲), 도사공 최분(崔粉), 강릉통인 김만(金蔓), 영리 김사흥(金嗣興), 군색 김효랑(金孝良), 중방 박일관(朴一貫), 급창 김시운(金時云), 고직 김심현(金芯玄), 식모 김세장(金世長), 노자 김예발(金禮發), 사령 김을태(金乙泰) 등의 명단이 보인다. ‘신묘5월(辛卯五月)’이라는 간지만이 전하지만, 그가 1711~1712년 삼척영장으로 재임한 사실로 보아 신묘년은 숙종 37년(1711)으로 확인된다.

박석창은 울릉도를 수토한 후 지도를 그려 바쳤는데, 이 지도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울릉도도형”(규12166)이란 이름으로 소장되어 있다. 이 지도의 옆에는 당시 수토와 관련된 기록이 있는데, 그 전문은 다음과 같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신묘년 3월 14일에 왜선창에서 대풍소로 배를 옮기고, 한 구절을 써서 표식을 만들어 후일에 상고하도록 했다.(나무에 새겨 동쪽 방향의 바위 위에 세워 놓았다.)

  만 리나 되는 푸른 바다에 장군으로 계수나무 배를 타도다.

  평생을 충성과 신의를 다했으니

  험난함을 겪어도 걱정이 없노라.

수토관 절충장군삼척영장겸첨절제사 박석창 군관 박성삼 김수원 왜학 박명일

지도에 의하면 ‘刻石立標所’, ‘刻板立標’가 구분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앞엣것이 도동항에서 발견된 것이고, 뒤엣것이 태하항 대풍소에 나무로 새긴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태하항 물양장 시설로 제거되었다는 이경정정재천의 각석문이 있다. 태하항 입구 우측 암벽에 있었다고 한 이 각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장 정재천 지인 정화길 안응진 배리 김영우

도광신묘 영장 이경정 배행 설영호 이한욱 전광주

(營將 鄭在天 知印 鄭和吉 安應辰 陪吏 金永祐

道光辛卯 營將 李慶鼎 配行 薛永浩 李漢郁 田光周)

이 각석문을 통해서는 영장 정재천이경정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도광신 묘는 순조31년(1831)인데, 이 해는 영장 이경정이 왔다 간 기록이고, 앞에 나오는 영장 정재천 일행은 그보다 먼저 왔다 간 모양이나 연대 기록이 없다.

아쉽게도 “실록” 등에서도 이 시기와 관련하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그러나 “관동읍지”에서 영장 정재천은 1846년 7월부터 1847년 6월까지, 그리고 뒤에 나오는 영장 이경정은 1830년 3월에서 6월까지 삼척영장으로 근무하였다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이경정이 먼저 수토관으로 울릉도를 다녀갔으며, 1847년 봄에 정재천이 그의 수토 사실을 이경정의 각문이 있는 암벽의 빈자리에 새로 새겨 넣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 각석문은 물양장 시설을 하면서 제거되었다고 한다. ‘삼척영장 이경정정재천 각석문’은 사진 한 장만을 남기고 개발의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말았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