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독도 사철나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530001
한자 獨島-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보호수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55[독도리 30]
시대 현대
집필자 신재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최초 식재 시기/일시 1916년 - 추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12년 10월 5일연표보기 - 독도 사철나무 천연기념물 제53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독도 사철나무 천연기념물 재지정
소재지 독도 사철나무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이사부길 55[독도리 30]
학명 Euonymus japonicus Thunb.
생물학적 분류 현화식물문 목련강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
수령 100년[추정]
관리자 경상북도 울릉군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일대에 자생하는 사철나무.

[개설]

사철나무는 우리나라 중부지방 이남의 바닷가 산기슭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상록 떨기나무로서 세계적으로는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필리핀 등지에서 자생하거나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줄기의 높이는 대체적으로 2~6m이다. 가지는 녹색이며 매끈하다. 잎은 마주 나며 가죽질,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윤이 나고 뒷면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은 6~7월에 잎겨드랑이의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녹색이 도는 흰색을 띈다. 꽃받침은 네 갈래로 갈라진다. 꽃잎은 네 장이며 난형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붉게 익으면 네 갈래로 갈라져서 씨가 나온다. 씨는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 껍질에 싸여 있다.

[형태]

독도 사철나무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대표적인 수종 중 하나이다. 높이 0.5~1m, 뿌리목의 굵기는 0.3m, 수관둘레는 7m 내외이며 수령은 약 100년으로 추정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우리나라에서 사철나무는 주로 바닷가 지역에서 정원수, 방풍림, 울타리로 심어졌으며 근피와 열매는 약용하기도 한다. 독도는 전역이 천연기념물 보호구역인 동시에 독도 사철나무에 대한 별도의 천연기념물 지정은 정부의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강화를 위한 조치로도 평가된다.

[현황]

사철나무는 독도를 구성하는 두 개의 섬인 동도서도동도천장굴 급경사 지역 위쪽 끝자락에 서식하고 있다. 이는 조류가 그 열매를 먹고 배설한 것이 분산·정착되어 서식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개체는 식재된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독도는 토심이 얕고 염분 농도가 매우 높으며 연중 공급되는 해무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식물의 정착이 지극히 어려운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식물구계학적[특정지역 식물 종의 구성 상태를 연구하는 학문분야] 특정식물이 비교적 많이 자라고 있는 편이다. 이는 독도의 가장 가까운 종 급원지인 울릉도 식물상의 영향 때문이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내륙에서 자생하는 특정식물을 식재하여 우리의 영토의식을 고취하려 했던 민관의 노력의 결과이기도 하다.

현재 자연 상태 그대로 보존되고 있으며 생육 및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2012년 10월 5일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이에 따라 소유기관은 국토해양부이며 관리기관은 경상북도 울릉군이다. 강한 해풍과 열악한 토양 조건에서 자생하고 있어 식물학적 가치뿐 아니라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이상 지켜왔다는 상징적인 가치 또한 크다.

[참고문헌]
  • 경북대학교 울릉도·독도연구소, 『독도의 자연』(경북대학교출판부, 2008)
  • 국립생물자원관(http://nibr.go.kr)
  • 문화재청(http://www.cha.go.kr/korea/heritage)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