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부녀요. 「아기 어르는 소리」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오는 「아기 어르는 소리」는 아이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부르는 노래로, 특히 아이를 재울 때나 칭얼대는 아이를 달랠 때 부른다. 노래가 아이를 대상으로 하지만, 주요 전승 집단이 여성인 부녀요이다. 민요 분류법에 따르면 가사노동요 중...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해 내려오는 아버지와 아들의 이야기. 「아버지의 북소리」는 너무 어려서 첫날밤을 치르지 못한 아들을 가르치는 아버지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버지의 북소리」는 2010년 12월 31일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낭산리에서 임복순에게서 채록하였다. 「아버지의 북소리」는 2011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수록되어...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정자. 아석정(我石亭)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행정마을에 살던 소진홍이 자신들의 선조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터에 낡은 정자를 헐고 1934년에 다시 지은 정자이다. 송나라의 성리학자 주희가 정사를 짓고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지은 시 중에 “거문고와 책을 벗한 지 40년, 어느덧 나도 천석을 좋아하는...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정자. 아석정(我石亭)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행정마을에 살던 소진홍이 자신들의 선조들이 대대로 살아오던 터에 낡은 정자를 헐고 1934년에 다시 지은 정자이다. 송나라의 성리학자 주희가 정사를 짓고 자연 속에서 은거하며 지은 시 중에 “거문고와 책을 벗한 지 40년, 어느덧 나도 천석을 좋아하는...
-
전라북도 익산에서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24절기 중의 하나. 동지는 양력 12월 22일이나 23일 무렵인데, 태양의 황경이 270°이며 북반구에서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하는 시기이기에 동지에는 이듬해의 달력을 주위에 선물하였다.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으로 많은 사람이...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서 전하여 내려오는 옥룡천 인석에 대한 이야기. 「아전들의 기를 꺾기 위해 세워진 인석」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의 중심을 지나는 옥룡천(玉龍川) 양쪽에 세워진 사람 모양의 인석(人石)에 얽힌 이야기이다. 「아전들의 기를 꺾기 위해 세워진 인석」은 2011년 1월 11일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서 오훤철에게서 채록하였...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석탑을 배경으로 창작한 작가 문신의 현대시. 「아침 왕궁으로부터 저물녘 석탑에 내리는 늦은 빗줄기처럼」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석탑을 배경으로 창작한 시이다. 작가인 문신은 1973년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났다. 문신은 200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로 문단에 나왔으며, 이후 동시와 평론을 통하여 문단 활동...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군 안대동에 있던 천주교 성당. 안대동성당은 1878년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블랑 신부가 전교를 시작한 뒤 1910년 전라북도 용안군 용안면 안대동에 본당이 설립되었다. 1959년 1월에 본당을 용안군 용안면에서 익산군 함열읍으로 이전하면서 함열성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안대동성당은 건물 골조만 남아 있다. 안대동성...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천주교 성당. 함열성당의 전신은 안대동성당이며, 1959년 1월 익산시 함열읍으로 옮기면서 ‘함열성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주보 성인는 ‘그리스도 왕’이다. 함열성당은 1959년에 설립되었지만, 전신은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있던 안대동성당이다. 천주교 전주교구는 안대동성당의 위치가 교통이 불...
-
남북국 시대 익산 지역에 있던 보덕국의 왕. 안승(安勝)[?~?]은 『삼국사기』의 「고구려본기」에는 왕의 서자라고 기록되어 있고, 「신라본기」에는 연개소문(淵蓋蘇文)의 동생인 연정토(淵淨土)의 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는 등 정확한 가계는 알 수 없다. 안승은 고구려의 귀족으로, 고구려 부흥운동을 일으킨 검모잠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다. 670년(문무왕 10) 부...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서동농촌테마공원 안에 있는 체험 동물농장. 액션하우스는 이용객이 직접 농장에서 동물에게 먹이를 주고, 만지고, 함께 뛰어놀 수 있는 공간 및 체험 행사를 제공하는 체험 동물농장이다. 액션하우스는 2012년 3월 2일에 개장하였다.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서동농촌테마공원 안으로 이...
-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고 있는 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는 삵은 벵골살쾡이의 아종으로 러시아 서남부 지역, 중국 동북부 지역, 시베리아와 한반도에서 서식하고 있다. 고양이보다 몸집이 크며,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먹이활동을 한다. ‘살쾡이’라고도 불리며, 산에 서식하기 때문에 한자로는 ‘야묘(野猫)’, ‘산묘(山猫)’라고도 한다. 맹수가...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박사국(朴士國)[1888~1934]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호는 야은(野隱)이다. 아버지는 박병돈(朴秉敦)이다. 박기상(朴岐爽)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박사국은 1888년 9월 12일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9일 원수리 정영모(鄭永模)의 집에서 이정(李侹)·이병석...
-
개항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항일 의병장. 박이환(朴駬桓)[1873~1953]의 본관은 밀양(密陽)이며 호는 야은(野隱)이다. 아버지는 박윤서(朴潤瑞), 형은 박영환(朴永桓)이다. 박이환은 1873년 3월 12일 익산에서 태어났다. 1906년 4월 25일 정읍군 태인면 종성리에서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이 의병을 일으키자 이규홍(李圭弘)·문형모(文亨謨) 등...
-
조선 전기 익산 출신의 문신. 소세양(蘇世讓)[1486~156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언겸(彦謙), 호는 양곡(陽谷)·퇴재(退齋)·퇴휴당(退休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군사정 소희(蘇禧)이고, 할아버지는 한성부판관 소효식(蘇效軾)이다. 아버지는 의빈도사를 지낸 소자파(蘇自坡)이며, 어머니는 왕석주(王碩珠)의 딸 개성왕씨(開城王氏)이다. 형은 남원부사 소세량(蘇...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인 조선 전기 문장가 소세양의 시문집. 『양곡집(陽谷集)』은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도천마을 출신으로, 조선 전기에 활동한 문신이자 문장가였던 소세양(蘇世讓)[1486~1562]의 시문집이다. 소세양이 중국에 사신으로 갔을 때와 벼슬을 그만두고 은퇴한 이후 지은 시가 많다. 비문과 제문, 기문과 서문, 발문, 사직을 청한 글도...
-
조선 시대 전라도 익산 지역의 지배계층. 양반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지배층을 통칭하는 용어였으나, 처음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다. 양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초기부터였다. 처음에는 문반(文班)인 동반(東班)과 무반(武班)인 서반(西班)을 지칭하였다. 하지만 고려 말부터 점차 지배층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 오면서부터 양반은 지배층을 의미...
-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는 척삭동물문 양서강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 양서류는 수중과 육지에서 번갈아 살아가는 척추동물이다. 물과 육지 두 곳에서 산다는 의미로 양서류라고 한다. 어류에서 진화하여 최초로 육지로 올라온 척추동물이다. 데본기[Devonian Period, 4억 1920년 전~3억 5890만 년 전] 다음 시대인 석탄기[Carboniferous Period,...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종교인. 정용근(鄭瑢根)[1873~1938]의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자는 문진(文振), 천도교의 도호(道號)는 양암(樑菴)이다. 아버지는 정순경(鄭淳敬),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이다. 족보상의 이름은 정두채(鄭斗采)이고, 동학 내에서의 이름은 정양채(鄭亮采)이다. 정용근은 1873년 11월 1일 지금의 익산시 신동에서 태...
-
개항기 익산 출신의 항일 의병. 양중석(楊重錫)[?~1907]은 지금의 익산시 왕궁면 출신으로, 일제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여 의병 활동을 전개하였다. 양중석이 속한 의병 부대는 알 수 없지만 주로 익산, 강경, 여산 등지에서 활동한 것으로 보아 이 지역 의병부대에 참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의병들의 항일투쟁은 일본군와의 직접적인 전투뿐만 아니라 군자금 모집, 친일...
-
고려 후기 익산 지역으로 유배된 문신. 권근(權近)[1352~1409]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가원(可遠) 또는 사숙(思叔), 호는 양촌(陽村)·소오자(小烏子)이다. 어릴 적 이름은 권진(權晉)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고려 후기 삼중대광을 지낸 권부(權溥), 할아버지는 검교시중 권고(權皐), 아버지는 검교정승 권희(權僖)이다. 부인은 장사감무 이존오(李存吾)의 딸 경...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다리. 어동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어량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1970년대까지는 가뭄이 지속되면 어동교 부근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어동교는 어량리에 속한 어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어동’은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량리...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다리. 어동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에 있는 어량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1970년대까지는 가뭄이 지속되면 어동교 부근에서 기우제(祈雨祭)를 지냈다. 어동교는 어량리에 속한 어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어동’은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량리...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와 군산시 나포면 나포리에 걸쳐 있는 삼국 시대 산성. 어래산성(御來山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와 군산시 나포면 나포리 경계 어래산 정상에 있는 삼국 시대 석축 산성이다. 현재 어래산성은 정상부와 성벽을 따라 등산로가 개설되어 있으며, 정상부 평탄지에는 몇 기의 민묘가 있다. 석축 성벽 대부분이 붕괴되었으나 북벽·서벽 일...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어량리(漁梁里)라 하였다. 마을 앞에 내가 있어 비가 오면 하구에서 물고기가 많아 올라와 어살을 치고 잡았고, 물이 마를 때에도 근처에서 물고기를 잡던 곳이라 ‘고기똘’이라 하였다.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어량(漁梁)’이라고 한다. ‘으랭이’, ‘어랭이’라고도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의 금강과 춘포면의 만경강 일대에 서식하는 물고기. 어류는 척추동물문 어상강에 속하는 동물군을 말한다. 어류는 물 속에 살고, 아가미로 호흡하며, 지느러미로 이동하고, 환경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어류의 외부 형태는 머리, 몸통, 꼬리, 지느러미로 나뉜다. 겉모양은 방추형, 측편형, 장어형, 리본형, 구형, 종편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전 세계에 어...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전라북도 익산시 어양동은 북쪽으로 익산시 부송동, 동쪽으로 익산시 삼성동, 서쪽으로 익산시 영등동과 접하고 있고, 남쪽으로 지방도720호선을 기준으로 익산시 팔봉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어곳리와 양지리에서 한 글자씩 따서 ‘어양(於陽)’이라 명명하였다. 어곳(於串)은 마을의 지형이 낮은 들쪽으로...
-
조선 전기 익산 출신의 문신. 소세양(蘇世讓)[1486~1562]의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언겸(彦謙), 호는 양곡(陽谷)·퇴재(退齋)·퇴휴당(退休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중군사정 소희(蘇禧)이고, 할아버지는 한성부판관 소효식(蘇效軾)이다. 아버지는 의빈도사를 지낸 소자파(蘇自坡)이며, 어머니는 왕석주(王碩珠)의 딸 개성왕씨(開城王氏)이다. 형은 남원부사 소세량(蘇...
-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이루어지는 언론 및 출판 활동의 총칭.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언론과 출판은 근대적 매체인 방송과 신문 기술이 유입되기 시작한 개화기 이후의 신문, 잡지, 방송 활동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익산 지역의 방송은 1938년 조선방송협회가 설립한 이리방송국이 출발점이었고, 신문은 1949년에 창간한 『삼남일보』가 시초였다. 익산 지역의 출판은 1...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쓰이는 말. 한 언어에 속하면서 특정 지역에서 쓰이는 말을 방언 또는 지역어라고 하는데, 사투리와는 차이가 있다. 표준어와 대비되는 것이 사투리라면, 특정 지역에서 쓰이는 말은 모두 방언이다. 서울말도 서울 지역에서 쓰이니 ‘서울 방언’이라 지칭된다. 서울 방언 중에서 특정 기준에 의하여 규정된 말을 표준어라고 한다. 그러니 서울 사투리와 서울 방...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엄창섭(嚴昌燮)[1892~1973]은 1892년 12월 12일 태어났다. 익산 제석교회 출신의 기독교인이며, 엄병옥(嚴秉玉)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1919년 3월 5일, 당시 군산 영명학교(永明學校)에 다니고 있던 강금옥(姜金玉)으로부터 3.1운동에 관한 소식을 전해 듣고 만세 시위를 결심하였다. 이틀 후인 3월 7일...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엄창섭(嚴昌燮)[1892~1973]은 1892년 12월 12일 태어났다. 익산 제석교회 출신의 기독교인이며, 엄병옥(嚴秉玉)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졌다. 1919년 3월 5일, 당시 군산 영명학교(永明學校)에 다니고 있던 강금옥(姜金玉)으로부터 3.1운동에 관한 소식을 전해 듣고 만세 시위를 결심하였다. 이틀 후인 3월 7일...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엄칠중(嚴七仲)[1898~1961]은 1898년 1월 1일 익산에서 태어났다. 1919년 3월 5일, 당시 군산 영명학교(永明學校)에 다니고 있던 강금옥(姜金玉)으로부터 3.1운동에 관한 소식을 전해 듣고 만세 시위를 결심하였다. 이틀 후인 3월 7일 지금의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으로 간 엄칠중은 강금옥을 통해 만난 엄창섭(...
-
호남 명칭의 유래와 익산의 황등호에 얽힌 이야기. 우리나라 전통 역사 및 지리 관련 기록에 나타난 광역 공간에 대한 표현은 삼국 시대 거점 중심의 성(城)을 지역의 명칭으로 사용하던 전통을 신라가 삼국 통일 이후 전국을 9주(州) 체제로 바꾸면서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즉, 신라는 고구려·백제를 통합한 후 685년(신문왕 5) 전국의 행정 구역을 9주·5소경으로 재조직하여...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에 있는 미륵산을 배경으로 하여 윤흥길이 쓴 장편소설. 소설가 윤흥길(尹興吉)[1942~ ] 은 1942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났다. 윤흥길은 1973년 원광대학교 문리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였으며, 1968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회색 면류관의 계절」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에미』는 1982년 윤흥길이 총 360쪽 분량으로 집필...
-
전라북도 익산시 팔봉동에 있는 자동차 내장재 생산 회사. 에스에이치글로벌은 자동차 내장재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자동차 부품 회사이며, 동광그룹의 자회사이다. 국내에는 에스에이치글로벌 익산공장 외에도 부평공장, 인천공장[2개], 김해공장이 있으며 해외에는 중국에 3개 공장. 멕시코에 2개 공장, 우즈베키스탄에 1개 공장이 있다. 에스에이치글로벌 익산공장을 설립한...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에 있는 주거복지 관리 기관. LH 한국토지공사 전북지역본부 산하기관으로 익산 지역 무주택 시민들의 주거 여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운 기관이다. 익산 지역 무주택 시민들이 작은 비용으로 입주가 가능하도록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한편, 임대주택 입주자들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2...
-
전라북도 익산시 용제동 익산 제2일반산업단지에 있는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공장. LG화학은 1947년 창립된 락희화학공업주식회사로 시작된 회사이다. 1995년 주식회사 LG화학으로 바뀌었다. LG화학 익산공장은 3개가 있다. 익산 제1국가산업단지[전라북도 익산시 신흥동 740-49]에 있는 산업재 소재를 생산하는 공장과 익산 제2일반산업단지[전라북도 익산시 용...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천주교 순교 성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1820~1898]이 섭정(攝政)으로 조선을 통치하던 시기, 흥선대원군은 강력한 쇄국정책(鎖國政策)을 펼쳤다. 서양과 일본 등의 지속적인 교섭 요구가 궁극적으로는 왕조(王朝)를 뒤흔들고 국가의 자주권을 상실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을 두려워한 것이다. 더구나 영국·프랑스 연합군이...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서예가이자 교육가. 권갑석(權甲石)[1924~2008]은 1924년 1월 4일 지금의 익산시 춘포면에서 태어났다. 호는 여산(如山)이다. 1944년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한 뒤 교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익산시와 군산시의 교육장을 역임하였고, 1989년 전라여자중학교 교장을 끝으로 정년퇴임하였다. 권갑석은 1973년 한국서예연구회를...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에 있는 공립고등학교. 교육 비전은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공동체’이며, 교육목표는 ‘삶 사랑, 꿈 실천’이다. 1972년 12월 26일 설립인가를 받아 1973년 3월 10일 개교하였다. 교육 비전인 ‘함께 배우며 성장하는 행복한 교육공동체’를 이룩하기 위하여 ‘하나보다 모두’, ‘실력보다 인성’, ‘최고보다 최선’, ‘결과보다...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동헌 건물. 여산은 조선 초기 여량과 낭산을 합쳐 여산현이 되었다. 1436년(세종 18) 태종의 왕비 원경왕후의 고향이라 하여 군(郡)으로 승격되어 충청도에 속하였다가, 1444년(세종 26) 다시 전라도로 복귀되었다. 1699년(숙종 25) 단종 비 정순왕후의 관향(貫鄕)이라 하여 여산도호부로 승격되었으며,...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동헌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느티나무. 여산동헌의 느티나무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동헌 주변에 느티나무와 팽나무 등 7그루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여산동헌이 만들어질 때 심은 것으로 추측한다. 여산동헌의 느티나무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동헌 서쪽 끝에 있으며, 수령은 약 600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산리(礪山里)는 과거에 여산군 군내면(郡內面)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었다. ‘여산(礪山)’이란 지명은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에서 한 자씩을 따 붙여 지어진 것으로 전해 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주막리(酒幕里), 북변리(北邊里), 창전리(倉前里), 화류리(花柳里), 파청리(把靑...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의 동부에 있는 면으로, 면 소재지인 여산리와 두여리, 원수리, 제남리, 태성리, 호산리 등 6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화산면, 서쪽으로 익산시 낭산면·금마면,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북쪽으로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과 접하고 있다. 여산(礪山)은 여량현(礪良縣)과 낭...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천주교 순교 성지. 여산백지사터 성지는 병인박해 당시 전라도 여산군의 속읍(屬邑)이었던 고산, 금산, 진산 등의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장소이다. ‘백지사(白紙死)’는 얼굴의 물을 뿌리고 한지를 여러 번 붙여 질식시켜 죽이는 방법으로 ‘도모지사(塗貌紙死)’라고도 한다. 천주교 전주교구는 1983년 12월 16일 여산동헌 앞 백지사...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성당. 여산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과 망성면 내촌리 일부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일부를 관할하고 있으며, 주보 성인은 순교자의 모후이다. 여산 숲정이 순교성지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여산성당 소속 공소는 6곳이 있다. 여산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지역 순교 역사와 성지를 기념하기 위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있는 천주교 전주교구 소속 성당. 여산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과 망성면 내촌리 일부와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일부를 관할하고 있으며, 주보 성인은 순교자의 모후이다. 여산 숲정이 순교성지 맞은편에 위치해 있다. 여산성당 소속 공소는 6곳이 있다. 여산성당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지역 순교 역사와 성지를 기념하기 위해...
-
송유익을 시조로 하고, 여산을 본관으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여산송씨(礪山宋氏)는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여산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여산은 지금의 익산시 여산면 일대이며, 조선 시대에는 여산현이었다. 여산송씨는 고려 충렬왕 때 찬성사중찬에 오른 송송례(宋松禮)[1207~1289]의 증조할아버지인 송유익...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여산 지명에 대한 이야기. 「여산의 지명 유래」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礪山) 지역의 지명과 역사에 대한 이야기이다. 「여산의 지명 유래」는 2011년 8월 13일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서 정관에게서 채록하였다. 「여산의 지명 유래」는 2011년에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설화 편에 수...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교육 비전은 ‘인성의 꽃이 활짝 피어나는 학교’이고, 교육지표는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인성 영재 육성이다. 교훈은 ‘꾸준히 생각하고, 서로 도우며, 열심히 배우자’이다. 1952년 1월 7일 설립인가를 받아 1953년 4월 25일 개교하였다. 2006년 전라북도교육청 지정 ICT[정보통신기술]교육 연구학교로 선정되었다...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동헌에 있는 척화비. 여산척화비(礪山斥和碑)는 1866년 병인양요 이후 서양 제국이 개항을 요구하는 가운데 1871년 신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에 대한 항전 의식을 고양하기 위하여 전국 여러 곳에 세운 석비 중 하나이다. 1882년 임오군란 이후 흥선대원군이 실각하자 일본공사관의 요구로 철거되었다가 1915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의 기본 방향은 ‘오늘이 즐겁고 내일이 희망찬 여산교육’이며, 교훈은 ‘슬기롭고 바르고 튼튼하게’이다. 1907년 3월 1일 김영진이 설립한 사립호산학교와 1909년 3월 1일 김문환이 설립한 사립보성학교가 합병하여 1909년 8월 1일 사립호성학교가 설립되었다. 여산초등학교는 사립호성학교가 여산공립보통학교로 개편되...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지방 교육 기관. 여산향교(礪山鄕校)는 1403년(태종 3)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매월 음력 초하루[1일]와 보름[15일]에 봉심[향을 피우고 절을 올림]을 올리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던 곳이다. 대성전, 명륜당, 동재와 서재, 내삼문과 외삼문, 그리고 교직사가 있다. 여산향교 대성전은...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향교에 있는 조선 후기 전각. 여산향교 대성전(礪山鄕校大成殿)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여산향교의 전각이다. 향교는 고을의 크기에 따라 대설위(大說位), 중설위(中設位), 소설위(小設位)로 나뉘었는데, 여산향교는 중설위로 여산향교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다섯 명의 성인(五聖)[공자, 안자, 증자, 자...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전하여 오는 전통주. 여산호산춘은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서 전해 내려온 가양주이다.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밀주 단속 탓에 많은 종류의 우리 전통주가 맥이 끊어졌는데, 현재 여산호산춘은 여산면에서 대를 이어 온 시조 시인인 가람 이병기(李秉岐)[1981~1968]의 가문을 통해 제조 방법이 계속 전승되었다. ‘호산춘’이라는 명칭은 뛰어...
-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였지만 지금은 멸종한 식육목 개과의 포유류.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였던 여우는 ‘붉은 여우[Red fox]’라고도 불렸다. 아시아·유럽·북아프리카·북아메리카 등 전세계에 골고루 분포하지만, 우리나라는 1980년 이후 멸종하였다. 지금 소백산에서 토종 여우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여우의 몸길이는 보통 60~90㎝, 어깨높...
-
전라북도 익산시에 전하여 내려오는 소세양에 관한 이야기. 「여인 혼령들을 만난 소세양」은 조선 전기 익산 출신의 문신 소세양(蘇世讓)[1486~1562]이 과거를 보러 가는 길에 원한이 맺힌 여인의 혼령을 만나서 한을 풀어 준다는 이야기이다. 「여인 혼령들을 만난 소세양」은 2011년 8월 17일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에서 소병창에게 채록하였다. 「...
-
고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전라북도 익산의 역사. 익산은 백제 때 금마저(金馬渚)로 불렸으며, 무왕 대에는 왕궁과 미륵사가 건립되었다. 백제 멸망 후 보덕국(報德國)이 잠시 설치되었고, 통일신라 경덕왕 때는 금마군(金馬郡)으로 바뀌어 고려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금마군은 1344년(충혜왕 복위 5) 원나라 순제 황후 기씨(奇氏)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익주(益州)’로 이름...
-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비구니 사찰. 연국사는 1910년 창건하였다고 전하나 확실한 기록은 전하는 것이 없다. 이후 1954년 비구니 보인이 연국사를 수행 도량으로 택하여 대지, 임야, 전답 등을 사재로 매입하고 극락전, 삼성각, 염불당, 요사채 등을 차례로 건립하였다. 1974년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에 조계종 사찰로...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연동(蓮洞)마을의 이름을 따 연동리(蓮洞里)로 불리게 되었다. 연동은 본래 방죽이었던 연등동제(蓮等洞堤) 또는 연동제(蓮洞堤)가 있었던 지역이였다. 연등동(蓮等洞)은 ‘연들골’을 이두로 표기한 것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동(蓮洞)과 석불(石佛), 채산(采山) 그리고 장항(長項)의 전체...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에 있는 사립 박물관.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기산리에 있는 충간공보물제651호박물관은 연안이씨 가문의 기증·기탁 유물 1600여 점을 통해 조선 시대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박물관이다. 충간공보물제651호는 충간공 이숭원에게 내려진 공신록과 공신회맹문 6책, 교지 18매로 이루어져 있다. 충간공 이숭원은 조선 초기의 문...
-
정종은을 시조로 하고, 정덕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정종은(鄭宗殷)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연일(延日)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익산에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인 판서 정덕성(鄭德成)[?~?]이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익산시 모현동의 원모인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연일정씨의 시조...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있는 연일정씨의 주요 세거지.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정종은(鄭宗殷)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연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익산에 들어와 정착한 연일정씨 입향조는 정덕성(鄭德成)[?~?]이며, 후손들이 익산시 모현동2가 원모인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익산시 모현동은 고려 시대에 옥야현이 있던 곳이었으나, 조선 시대...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다리. 연화교(蓮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산북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연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안의 ‘연화리’라는 마을명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연화리가 풍수지리적으로 연화도수형(蓮花到水形)의 지형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연화도수형은 연...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다리. 연화교(蓮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에 있는 산북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연화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안의 ‘연화리’라는 마을명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연화리가 풍수지리적으로 연화도수형(蓮花到水形)의 지형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연화도수형은 연...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혜봉원에 있는 조선 후기 부도. 부도(浮屠)란 입적한 승려의 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건립한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는데, 승탑 혹은 사리탑이라고도 한다. 모현동 부도(慕懸洞浮屠)는 조선 시대 승려 연화당의 후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제자들이 건립한 것이다. 1960년대 전라북도 군산시 서수면 장군리 및 전라북도 익산시 갈산동 민가 정원에 있던 것을 익산시...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연화마을에서 정월대보름을 전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의 연화마을 사람들은 정월대보름을 전후한 시기인 양력 3월 두 번째 토요일이 되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연화마을 당산제를 지낸다. 연화마을 당산제는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신성시하는 당산나무를 중심으로, 연화마을 사람들이 모두 참여하는...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전해 내려오는 연화마을 지명에 대한 이야기. 「연화마을 지명 유래」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연화마을의 지명에 대한 이야기이다. 「연화마을 지명 유래」는 2011년 1월 14일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에서 김기철에게서 채록하였다. 「연화마을 지명 유래」는 2011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에...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절개를 지킴으로써 칭송을 받거나 포상을 받은 인물.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부터 유학의 가르침이 있었고, 이에 따라 유학의 기본 도리인 삼강오륜에 대한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삼국사기』「열전」에 도미 부인이나 설씨녀 등 열녀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며, 고려 시대에 들어와서도 『고려사(高麗史)』「열전」 열녀 조에 이동교의 처 배씨 등...
-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위치한 산이나 언덕을 넘어 다니도록 길이 형성된 곳. 고개란 산봉우리와 산봉우리를 연결하는 길을 지칭하거나, 산 능선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를 가진 지형을 뜻 한다. 현대처럼 교통이 발달하기 전에는 낮고 다니기 쉬운 고갯길을 이용하여 사람과 물자를 빠른 속도로 이동 시킬 수 있었다. 또한 험준한 산악지대에 있는 고개의 경우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1동은 2003년 익산시조례 제662호에 따라 영등동이 분동되면서 형성된 동으로, 산업도로를 기준으로 남쪽에 위치한다. 마을 주변 구릉이 모두 남과 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서, 긴 등성이라는 뜻으로 ‘영등(永登)’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조그만 마을이었던 영등리가 1974년 7월 1일에 지방행정 구역으로 설...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2동은 2003년 익산시 조례 제662호에 따라 영등동이 분동되면서 형성된 동으로, 산업도로를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다. 마을 주변 구릉이 모두 남과 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서, 긴 등성이라는 뜻으로 ‘영등(永登)’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조그만 마을이었던 영등리가 1974년 7월 1일에 지방행정 구역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영등도서관은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과 어양동 주민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 공간이다. 아파트 밀집 지역에 위치하여 이용 계층이 다양하다. 영등도서관은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과 어양동 주민의 문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문화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3년 11월 25일 개관하였다....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동.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은 1동과 2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2003년에 산업도로를 기준으로 남쪽을 영등1동, 북쪽을 영등2동으로 구분하였다. 동쪽으로는 익산시 어양동, 서쪽으로 익산시 신동, 남쪽은 익산시 남중동, 북쪽으로 익산시 부송동과 접하고 있다. 마을 주변 구릉이 모두 남과 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서, 긴 등성이라는 뜻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와 원삼국 시대의 유적. 영등동 유적(永登洞遺蹟)은 전라북도 익산시 영등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와 원삼국 시대의 유적이다. 영등동 유적이 있는 지역은 비교적 낮은 구릉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원삼국 시대까지 사람이 살기에 가장 좋은 자연환경이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1996년 조사에서 청동기 시대 장방형 주거지 1기와 원삼...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통합된 지역 중 평영리(坪永里), 만상리(萬上里)에서 한 자씩 따서 영만리(永萬里)라 하였다. 본래 전주부 서일면에 속하였으나, 1899년에 익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평리(蓮坪里), 내검리(內劍里), 신평리(新坪里), 평영리(坪永里), 장후리(獐後里), 만상리(萬上里)[만...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장신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튼튼한 몸으로 부지런히 공부하여 푸른 꿈을 키우자’이다. ‘인성과 실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지향하며 ‘도덕인, 창의인, 세계인, 건강인’ 육성을 교육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영만초등학교는 1967년 6월 1일 오산초등학교 영만분교로 설립인가를 받았다가 1968년 3월 1일 영만국민학교로 설립...
-
전라북도 익산시 부송동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영생교회는 1972년에 전라북도 익산시 창인동에서 설립된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이다. 1996년 익산시 신시가지 중심인 부송동으로 옮겼다. ‘가르치며 선교하는 교회, 사랑을 나누고 봉사하는 교회’를 표어로 지역사회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영생교회는 1972년 6월 전라북도...
-
정종은을 시조로 하고, 정덕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정종은(鄭宗殷)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연일(延日)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익산에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인 판서 정덕성(鄭德成)[?~?]이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익산시 모현동의 원모인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연일정씨의 시조...
-
전라북도 익산시 마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의 익산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익산지회는 한국문인협회 익산지회, 한국음악협회 익산지회, 한국미술협회 익산지회, 한국국악협회 익산지회, 한국사진작가협회 익산지회, 한국무용협회 익산지회, 한국연예예술인협회 익산지회, 한국연극협회 익산지회 모두 8개 산하 협회로 회원으로 있다. 전라북도 익산시 문화 예술 발...
-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동에 있는 김녕김씨 문중 서원. 오강서원(五岡書院)은 전라북도 익산시 석암동에 있는 김녕김씨 문중 서원이다. 시조 김시흥(金時興)을 주벽으로 김향(金珦)과 김관(金觀), 김문기(金文起), 김준(金遵)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제사는 음력 3월 5일에 지방 유림들과 후손들이 모여 지내고 있다. 김시흥은 본관은 김녕이고 고려 인종 때...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었던 삼국 시대 사찰 터. 오금사지(五金寺址)는 오금사가 있었던 터를 말한다. 오금사(五金寺)는 백제 30대 무왕이 어린 시절 마를 캐던 곳에서 다섯 금덩이[五金]를 얻은 자리에 지은 절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오금사가 세 차례 언급된다. 「불우」 조에서 “오금사(五金寺)는 보덕성의 남쪽에 있다. 세상...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는 백제 시대 석성. 익산 토성(益山土城)은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는 백제 시대 성곽이다. 흙으로 축성되었다고 알려져 토성이라고 이름 붙여졌으나, 4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석성으로 밝혀졌다. 오금산[해발 125m] 정상부와 남쪽 계곡을 두른 포곡식 산성으로 오금산에 있어 일명 ‘오금산성’ 혹은 ‘보덕...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전하여 오는 오금산에 얽힌 설화. 「오금산의 유래」는 백제 30대 왕인 무왕(武王)[?~641]과 관련한 이야기이다. 임금이 되기 전 서동(薯童)이 마를 캐다가 발견한 금을 그냥 묻어 두었다고 하여 ‘오금산(五金山)’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금산의 유래」는 2010년 12월 29일 전라북도 익산시 금...
-
전라북도 익산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명절 풍속.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에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가지 풍속을 행하고 있다. 이는 한 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익산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은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익산 사람들은 정월대보름이 되면 푸짐한 음...
-
전라북도 익산에서 음력 1월 15일에 행하는 명절 풍속.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서는 음력 1월 15일인 정월대보름에 마을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가지 풍속을 행하고 있다. 이는 한 해 농사의 풍요와 안정을 기원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였던 익산 지역에서 정월대보름은 설날 이후 처음 맞는 보름날로, 익산 사람들은 정월대보름이 되면 푸짐한 음...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한 종교인이자 독립운동가. 오덕근(吳德根)[1861~1950]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오길영(吳吉泳)이다. 여동생은 오덕순(吳德順)이고, 아들은 오성환(吳成煥)이다. 오덕근은 1861년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오길영이 고창군수로 부임하면서 전라도로 이주하였다. 오덕근이 아홉 살...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오룡쟁주형(五龒爭珠形)의 형태. 즉 다섯 마리의 용이 하나의 구슬을 놓고 다투는 모양이라 하여 오룡리(五龍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룡리(五龍里), 제내리(堤內里), 구정리(九政里), 옥실리(玉實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사오랑리(沙五郞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제과 회사 공장. 1980년 전라북도 익산시 신흥동 익산 제1국가산업단지에 동양제과 익산 제2공장을 설립하였다. 1983년 익산시 영등동에 동양제과 익산 제3공장을 증축하였다. 1993년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을 도입하여 프로세스를 전면적으로 바꾸었으며, 동양제과 익산공장에서는 핵심 브랜드 중심으로 제품 합...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제과 회사 공장. 1980년 전라북도 익산시 신흥동 익산 제1국가산업단지에 동양제과 익산 제2공장을 설립하였다. 1983년 익산시 영등동에 동양제과 익산 제3공장을 증축하였다. 1993년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을 도입하여 프로세스를 전면적으로 바꾸었으며, 동양제과 익산공장에서는 핵심 브랜드 중심으로 제품 합...
-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무신. 오방언(吳邦彦)[1588~1637]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길보(吉甫), 호는 순풍정(順風亭)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오하몽(吳下蒙)이고, 할아버지는 정유재란 때 남원성전투에서 전사한 오응정(吳應鼎)이다. 아버지는 명의 후금 정벌에 원병으로 출진하였다가 전사한 오직(吳稷)이다. 부인은 오방언의 장례를 치른 뒤 자결하여 정렬부인에 책봉된...
-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효자. 소동헌(蘇東獻)[1581~1621]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호는 오봉(五峯)이다. 의빈부도사 소자파(蘇自坡)의 후손이다. 삼촌은 소동준(蘇東俊)이다. 소동헌은 1581년(선조 14) 익산에서 태어났다. 열세 살 때 어머니가 중병이 들어 자리에 눕자 지극정성으로 간호하며 두 차례 자신의 허벅지를 베어 피를 먹이기도 하였다. 어머...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오산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오산교(五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있는 오산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마을 뒷산인 오산(鰲山)이 자라의 형상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오산리의 ‘오’ 자는 ‘자라 뫼[산]’라는 뜻을 가...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다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오산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오산교(五山橋)는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있는 오산리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마을 뒷산인 오산(鰲山)이 자라의 형상처럼 보인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오산리의 ‘오’ 자는 ‘자라 뫼[산]’라는 뜻을 가...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남전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부지런히 배우고 바르게 자라서 나라의 큰 일꾼이 되자’이다. ‘직접 느끼고 서로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는 어린이’를 지향하며 가능성을 믿어 주는 교육, 삶의 리듬을 회복하는 교육, 기질을 존중하는 교육, 감각을 열어 주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누구나 자신만의 꽃을 피울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오산남...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리(五山里) 지명은 이 마을의 뒷산인 오산(鰲山)에서 유래하였다. 마을 뒷산 형태가 자라와 비슷하다고 생겨 자라뫼라 불렸고, ‘자라 뫼’를 한자로 표기하여 ‘오산(鰲山)’이 되었다. 이후 ‘오(五)’를 사용하여 ‘오산(五山)’으로 바뀌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리(新里), 기린리(麒麟里), 신중리(新...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오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신동리, 동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천서리, 남쪽으로 봉개산,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삼포리와 접하고 있다. 과거 마을 일대에 오동나무가 많아 생긴 ‘오산(梧山)’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고, 외딴 산이 있어서 ‘외산’이 ‘오산’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다. 본래 두촌면 지...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철도역. 오산리역(五山里驛)의 이름은 오산면의 중심산인 오산(鰲山)에서 따온 것이다. 역명을 지명에 맞춰 ‘오산역’으로 제정하려고 했으나, 경부선의 오산역과 이름이 겹쳐 ‘오산리역’으로 명명하였다. 오산리역은 여객 수요가 적어 1931년 6월 15일 천안 기점 150.9㎞ 위치에서 군산선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은 동쪽으로 만석동·모현동·송학동·목천동과 경계를 이룬다. 서쪽의 신지리와 영만리는 만경강의 지류인 탑천을 경계로 하여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대야면과 접하고 있다. 남쪽의 신지리와 남전리·목천리는 만경강과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공덕면과 접하고 있다.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의 주산(主山)인 오...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큰 꿈을 지니고 슬기와 성실로 최선을 다하는 어린이’이다. 교육목표는 즐거운 배움으로 꿈을 키우는 어린이[자주적인 사람], 새로운 생각으로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창의적인 사람], 풍부한 감성으로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더불어 사는 사람],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건강한 사람] 육성이다....
-
조선 후기 전라도 익산과 관련한 작품을 남긴 문신. 신광수(申光洙)[1712~1775]의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성연(聖淵), 호는 석북(石北) 또는 오악산인(五嶽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행성현도찰방(行省峴道察訪)을 지낸 신흡(申潝)이고, 할아버지는 신태제(申泰濟)이다.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신호(申澔)이며, 어머니는 통덕랑 이휘(李徽)의 딸 전주이...
-
일제 강점기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한 종교인. 오원집(吳元集)[1885~1953]은 1885년 지금의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에서 태어났다. 할머니 집을 방문하였다가 만지산교회[현 지경교회] 교인들의 전도를 받았다. 만지산교회는 최관보, 정치선, 강채오, 정백현, 이양화와 부인인 최매리, 최흥서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오원집은 만지산교회에서 본격적인 신앙생활을 시작하였다....
-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무신. 오응정(吳應鼎)[1559~1597]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문중(文仲), 호는 완원당(翫元堂)이다.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오하몽(吳下蒙)이다. 아들은 오욱(吳稶), 오직(吳稷), 오동량(吳東亮)이다. 손자는 오방언(吳邦彦)이다. 오응정은 1559년(명종 14) 지금의 익산시 용안면에서 태어났다. 1574년(선조 7) 무과에...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의 종교인. 오지영(吳知泳)[1868~1950]은 1868년 고창군 무장면 덕림리에서 태어났다. 1891년 3월 12일 형인 오시영(吳時泳)과 오사영(吳泀泳)의 뒤를 이어 동학에 입도하였다. 1893년 11월 14일 일어난 익산농민항쟁의 우두머리로 활약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혁명이 일어나자 대접주(大接主) 김방서(金邦瑞) 휘하의 중견 간부...
-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무신. 오직(吳稷)[1575~1619]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사형(士馨), 호는 삼송정(三松亭)이다. 할아버지는 오하몽(吳下蒙)이고, 아버지는 순천부사 재임 시 남원성전투에서 전사한 오응정(吳應鼎)이다. 형인 오욱(吳稶)과 동생인 오동량(吳東亮)도 남원성에서 아버지 오응정과 함께 전사하였다. 아들은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싸우다 인조가...
-
정종은을 시조로 하고, 정덕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연일정씨(延日鄭氏)는 정종은(鄭宗殷)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연일(延日)로 하여 세계를 이어 오고 있다. 익산에는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인 판서 정덕성(鄭德成)[?~?]이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익산시 모현동의 원모인마을을 중심으로 세거하고 있다. 연일정씨의 시조...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해주오씨 가문의 사당과 묘역. 삼세오충렬 유적(三世五忠烈遺蹟)은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있는 해주오씨 오충신(五忠臣)의 무덤과 사당인 충렬사가 있는 곳이다. 충렬사에서는 국가를 위하여 목숨을 바친 오응정과 아들 오욱, 오직, 오동량과 오직의 아들 오방언 3대를 추향(追享)하고 있다. 오응정(吳應鼎)[1548~1...
-
개항기 익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규홍(李圭弘)[1881~1928]의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자는 원오(元五), 호는 오하(梧下)이다. 아버지는 중추원의관을 지낸 이기영(李棋榮)이고, 어머니는 장상문(張相文)의 딸 인동장씨(仁同張氏)이다. 이규홍은 1881년 지금의 익산시 팔봉동에서 태어났다. 1906년 4월 박이환(朴駬桓)·문형모(文亨謨)와 함께 태인에서 최...
-
전라북도 익산 출신인 조선 후기 유학자 송상현의 문집. 송상현(宋商鉉)[1824~1875]은 조선 후기의 유학자이다. 지금의 전라북도 익산 지역 출신이며, 경사(經史)에 밝은 유학자로 평가되고 있다. 문집으로는 5권 2책의 수고본(手稿本) 『오하잡언(梧下雜言)』을 남겼다고 하는데, 현재는 2권 2책의 복사본만이 전라북도 익산시 신용동에 있는 원광대학교 도서관에...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에 속하는 마을. 옥동마을은 과거에 옥두말이라고 불렸다. 옥동마을이 위치한 동고도리에는 금마면의 치소(治所)가 있었는데, 옥동마을 앞에 감옥(獄)이 있었다고 한다. 이에 ‘옥 옥(獄)’과 ‘뒤 후(後)’, ‘마을 리(里)’, 즉 감옥 뒤에 있는 마을이란 뜻으로 ‘옥후리(獄後里)’라고 하였다. 여기서 ‘옥’의 한자가 ‘구슬 옥(玉)...
-
임윤손을 시조로 하고, 옥야를 본관으로 하는 전라북도 익산 지역의 세거성씨. 옥야임씨(沃野林氏)는 임윤손(林允遜)[?~?]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옥야로 하여 세계를 이어 왔다. 옥야는 지금의 익산시 모현동 일대로, 고려 시대에는 옥야현이었고 조선 시대에는 전주부에 포함되어 월경지로 있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전주부」 성씨...
-
전라북도 익산시에 서식하는 비단벌레과에 속하는 곤충. 비단벌레는 우리나라 비단벌레과 곤충 중에서 가장 크며, 몸길이는 3~4㎝ 정도이다. 몸은 초록빛과 금빛이 돌며, 광택이 화려하다.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 선명한 붉은색 세로 줄무늬가 두 줄로 나 있다. 몸의 배쪽은 금빛이 도는 초록색이며, 가슴과 배의 중앙은 금빛이 도는 붉은색을 띤다. 머리는 오각형 형태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신금리, 남쪽으로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후정리, 어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쌍정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온수동(溫水洞)의 이름을 따서 온수리(溫水里)가 되었다. 온수리 일대의 샘물이 따뜻하다...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신금리, 남쪽으로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후정리, 어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쌍정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온수동(溫水洞)의 이름을 따서 온수리(溫水里)가 되었다. 온수리 일대의 샘물이 따뜻하다...
-
전라북도 익산시 남중동에 있는 체육시설. 국민생활관은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념하기 위하여 올림픽 잉여금으로 각 시도별로 1개소씩 건립하였다. 전라북도 익산시의 익산시 국민생활관은 1991년 개관하여 지역사회의 체육 활동을 중심으로 문화·예술 등 다목적 복합시설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민들의 스포츠 생활화와 건전한 여가 선용에 이바지하고 있다....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와리(瓦里)는 과거부터 비옥한 충적평야를 보유하였고, 하천의 자갈, 모래, 진흙 등이 풍부해 기와 제작이 발달하였다. 기와의 방언인 지와를 통해 ‘지와말’, ‘지와골’이라 불리게 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지리(冬至里), 미력리(未力里), 삼양리(三陽里), 와리(瓦里)와 함께 두...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에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하여 ‘디새’[기와의 옛말]라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와초(瓦草)’라 표기하였다. 본래 함열군 동일면(東一面)에 속하는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하와리(下瓦里), 신동리(新洞里), 간교리(艮校里)의 전 지역과 중와리(中瓦里), 상와리(上瓦里), 회선리(會仙里)의 일부가 통합되어 전라북...
-
조선 후기 익산 출신의 무신. 오응정(吳應鼎)[1559~1597]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문중(文仲), 호는 완원당(翫元堂)이다.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오하몽(吳下蒙)이다. 아들은 오욱(吳稶), 오직(吳稷), 오동량(吳東亮)이다. 손자는 오방언(吳邦彦)이다. 오응정은 1559년(명종 14) 지금의 익산시 용안면에서 태어났다. 1574년(선조 7) 무과에...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에 있는 백제 시대 궁성 및 사찰 관련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王宮里遺蹟)은 ‘왕궁평성’, ‘왕검이’, ‘왕금성’, ‘왕궁리성지’, ‘모질메토성’, ‘모지밀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는 일찍이 왕궁이 있었던 곳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발굴 조사 결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육목표는 따뜻한 어린이[따뜻한 마음의 꽃을 피우는 민주적 인재 육성], 끼 있는 어린이[나만의 빛나는 색깔을 꽃피우는 세계적 인재 육성], 실력 있는 어린이[자기 주도적 으뜸 실력의 꽃을 피우는 창의적 인재 육성], 건강한 어린이[해피 스쿨(Happy School) 환경구축으로 건강한 인재 육성] 양성이다....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에 있는 농공단지. 농촌 지역이 많은 전라북도 익산시는 농가에 취업 기회를 제공하여 농가 소득을 높이기 위해 삼기농공단지, 황등농공단지, 낭산농공단지에 이어 익산시에서 네 번째로 왕궁면에 조성한 농공단지이다. 왕궁농공단지는 전라북도 익산시와 완주군의 경계 구역과 접하고 있는 왕궁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익산 IC가 있어 물류 측면에서 유...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는 왕궁면 최서단에 위치하였으며, 북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를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백제 때 왕궁이 있었다는 설에 따라 왕궁리(王宮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는 왕궁면 최서단에 위치하였으며, 북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를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백제 때 왕궁이 있었다는 설에 따라 왕궁리(王宮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에 있는 백제 시대 궁성 및 사찰 관련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王宮里遺蹟)은 ‘왕궁평성’, ‘왕검이’, ‘왕금성’, ‘왕궁리성지’, ‘모질메토성’, ‘모지밀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는 일찍이 왕궁이 있었던 곳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발굴 조사 결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공립 박물관. 왕궁리유적전시관은 왕궁리 유적의 발굴 조사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소개하고 유적에서 출토된 9천여 점의 유물을 전시해 백제 문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자 건립되었다. 왕궁리 유적은 백제 무왕 대의 왕궁터이자 후대의 사찰터였던 복합 유적지이다. 왕궁리유적전시관은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제289호]이 있는 익...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는 호남고속도로와 익산·장수 고속도로 분기점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또한 마한·백제의 오래된 유적과 보석박물관이 있어 관광도 활성화되어 있다.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금마면(金馬面), 북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삼례읍과 접하고 있다. ‘왕궁’이라는 지명은 이 지역에 마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에 있는 저수지. 일제 강점기 대표적인 조직인 동양척식주식회사가 1928년 착공하여 1931년 완공하였다. 왕궁저수지는 익산시 왕궁면 일대 농민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업용수를 확보하고자 건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쌀을 일본으로 수탈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성된 농업용 저수지이다. 왕궁저수지는 전라북도 익산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 소속 교회. 왕궁중부교회는 1952년에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서 흥암교회로 설립되었다가 1982년 ‘왕궁중부교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왕궁면의 농촌을 기반으로 한 교회다. 왕궁중부교회는 1952년 5월 4일에 발산동부교회에서 분리하여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측 소속 ‘흥암교회’라는 이름으로 설...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 있는 공립중학교. 자율적·창의적·세계적 인재 육성을 위해 ‘21세기를 이끌어 갈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왕궁인’을 교육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교훈은 ‘자주 창조 성실’이다. 왕궁중학교는 1971년 12월 27일 설립인가를 받아 1972년 3월 6일 개교하였다. 2019년 1월 31일 제45회 졸업식을 하였으며, 총 5,107명의 졸...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과 춘포면 지역을 지나 만경강에 합류하는 하천. 만경강으로 유입되는 제2지류인 왕궁천(王宮川)의 발원지는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 갈매봉[무드래미재]이다. 왕궁천은 익산시 왕궁면에서 남쪽으로 흐르면서 익산시 춘포면을 지나 만경강에 합류한다. 발원지에서 시작하여 익산천과 합류하는 왕궁천은 총연장 13㎞, 유로연장 5.06㎞, 유역면적...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착하게, 튼튼하게, 슬기롭게’이다. ‘꿈·사랑·개성을 키우는 행복한 왕궁교육’을 지향하며 자율과 창의성을 갖춘 인재를 키우는 즐거운 배움터, 학생들이 자기 꿈을 펼칠 수 있는 배움터를 추구하고 있다. 왕궁초등학교는 1925년 8월 10일 4년제 왕궁공립보통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25년 11월 5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백제 시대 오층석탑.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益山王宮里五層石塔)은 익산 왕궁리 유적에 있는 오층석탑이다. 1965년부터 1966년에 보수를 위한 해체와 복원을 실시하였고 이때 흙 속에 묻혀 있던 돌로 만든 기단부가 발견되었다. 1층 옥개석 상면과 기단부 심초석 상면에 마련된 사리공에서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국보 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서 왕궁탑의 금책과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왕궁탑에서 나온 금책」은 국보 제289로 지정된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에 영험한 경전이 들어 있음을 알게 해 준 장닭에 관한 이야기이다.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은 ‘왕궁탑’으로도 불리는데, 높이 8.5m의 장중한 탑이다. 1965년 해체·복원 과정에서 탑의 제1층 지붕돌의 중앙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지역에 전하여 내려오는 왕궁탑 건립과 관련된 이야기. 「왕궁탑의 건립」은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일명 왕궁탑(王宮塔), 곧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益山 王宮里 五層石塔)의 건립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왕궁면 왕궁리 일대는 마한 기준(箕準)의 도읍설, 백제 무왕(武王)[?~641] 천도 및 별도설, 안승(安勝) 도읍설...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에 있는 백제 시대 궁성 및 사찰 관련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王宮里遺蹟)은 ‘왕궁평성’, ‘왕검이’, ‘왕금성’, ‘왕궁리성지’, ‘모질메토성’, ‘모지밀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는 일찍이 왕궁이 있었던 곳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발굴 조사 결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에 있는 백제 시대 궁성 및 사찰 관련 유적. 익산 왕궁리 유적(益山王宮里遺蹟)은 ‘왕궁평성’, ‘왕검이’, ‘왕금성’, ‘왕궁리성지’, ‘모질메토성’, ‘모지밀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와 금마면 동고도리 일대는 일찍이 왕궁이 있었던 곳으로 주목을 받아 왔다. 발굴 조사 결과...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미래를 선도할 바르고 슬기로운 왕북어린이’이며, ‘참 만남과 성장이 있는 행복한 학교’를 교육목표로 추구하고 있다. 1946년 지역 유지들의 발의로 설립이 추진되어 왕궁국민학교 용남분교로 개교하였다가 1949년 9월 1일 왕북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95년 12월 29일 「교육법」 개정으로 국...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의 석불사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석불사(石佛寺)는 익산시 삼기면 연동리에 있는 사찰이다. 마을 주민들은 석불사의 석불여래좌상(石佛如來坐像)을 미륵불(彌勒佛)이라 불렀다.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가 1989년 자체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6세기 후반경으로 추정되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석불사 터에 지어진 절은 고려 시대...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에 있었던 호수. 황등호수는 1922년 당시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호수였다. 황등호수의 축조 시기는 알 수 없으며, 저수량 감소로 말미암아 황등호수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황등호수를 기점으로 호남 경계를 정하였다는 설이 있다. 1780년(정조 4) 때 세운 요교비(腰橋碑) 2기가 1923년에 발굴되었다. 황등호수는 유형원(柳馨...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용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동쪽으로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 남쪽으로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서쪽으로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 흘산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이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반룡리(般龍里)과 한기리(閑機里)에서 각각 한 자를 빌려 용기리(龍機里)라 하였다. 반룡은 이 마을이...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동지산리에 있는 공립초등학교. 교훈은 ‘즐겁게 배우고 슬기롭게 생각하며 큰 뜻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고, 사랑과 꿈과 슬기가 가득한 용남교육을 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삼고 있다. 용남초등학교는 1951년 4월 15일 용안국민학교 송산분교로 설립되어 운영하여 오다가 1957년 4월 12일 용남국민학교로 승격되면서 정식으로 개교하였다. 199...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은 익산시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산리(九山里), 용성리(龍城里), 대조리(大鳥里), 흥왕리(興旺里), 화실리(花實里), 화배리(花盃里)를 관할하는 법정면이다. 북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동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남쪽으로 익산시 함열읍,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과 접하고 있다....
-